• 제목/요약/키워드: 고객유형의 조절효과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9초

인터넷 유료 정보콘텐츠 서비스 특성이 고객만족, 고객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콘텐츠 유형에 따른 조절효과 검증 -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Service Characteristics of Premium Internet Information Content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 최필진;심선희;김하균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0권3호
    • /
    • pp.1-2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의 광범위한 보급과 사용의 편리성으로 인해 최근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인터넷 유료콘텐츠 서비스 중 정보콘텐츠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유료콘텐츠 특성이 고객만족, 고객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인터넷 유료 정보콘텐츠 서비스특성을 정의하고, 이들이 고객만족과 고객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세워 359명의 유효표본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인터넷 유료 정보콘텐츠 서비스특성 요인 중 적시성과 다양성을 제외한 신뢰성, 비용성, 유용성, 편의성이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파악되었으며, 고객만족은 고객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인터넷 유료 정보콘텐츠의 다양한 서비스특성이 고객만족과 고객애호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검증을 통해, 유료화 된 정보콘텐츠를 구매하는 소비자의 태도 및 행동의지를 이해하고, 충성도 높은 고객의 호응을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정보콘텐츠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여 인터넷 콘텐츠 비즈니스 시장의 활성화를 거듭나게 하고자 한다.

  • PDF

외식기업 마일리지 프로그램(Mileage Program) 실패가 소비자의 부정적 감정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소비자의 몰입(Committment) 수준 조절 효과 검증 - (The Influence of Failures in a Mileage Program on Consumers' Negative Emotions and Behavior)

  • 김영훈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0-135
    • /
    • 2010
  • 본 연구는 기업의 마일리지 프로그램 실패 시 발생하게 될 고객의 감정과 행동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업의 마일리지 실패 상황을 3개 유형(거절, 연기, 혜택 축소)의 상황으로 설정하고, 기업에 대한 고객의 몰입 유형 2가지(정서적 몰입, 계산적 몰입)로 구분하여 6개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기업의 마일리지 프로그램 실패 시 고객의 부정적 감정을 확인하고, 그러한 부정적 감정이 고객의 부정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 설계로 확인하였다. 조사 대상은 서울과 부산 지역에 소재한 6개 학교 600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조사가 수행되었다. 조사 결과, 기업에 관해 정서적으로 몰입한 고객과 계산적으로 몰입 고객과 기업의 마일리지 프로그램에 대해 정서적 몰입과 계산적 몰입 고객 모두에게서 부정적 감정(실망감, 후회감)을 확인하였다. 해당 기업의 마일리지 프로그램 실패 상황이 발생하여 부정적 감정을 경험한 정서적 몰입 고객의 경우 해당 기업으로부터 이탈과 부정적 구전의 부정적 행동이 예상되며, 계산적 몰입 고객의 경우, 기업에 대한 항의와 부정적 구전이라는 부정적 행동이 예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항공사-여행사 관계에서 수요환경 및 영향전략에 관한 연구

  • 박진용;김성희
    • 한국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89-213
    • /
    • 2003
  • 본 연구는 최근 수요환경의 변화를 겪고 있는 항공사-여행사 관계를 중심으로 영향력 관계, 거래 집중화, 영향전략 등에 대하여 검토하고 있다. 항공권 판매 시장의 수요환경은 최종고객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적 변화는 항공사 유통역량 평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항공사의 낮아진 영향력은 여행사의 거래 집중화 경향을 감소시킬 것이라는 가설을 수립하였다. 추가하여 최종고객 중심의 수요환경 변화가 경로 구성원 상호 영향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가설을 수립하였다. 즉 영향력 관계가 비대칭적인 상황에서도 수요환경이 최종고객 중심으로 전개된다면 항공사의 영향전략에 대해서 여행사는 동일한 영향전략을 수행한다는 가설을 수려하였다. 그리고 항공사의 영향력과 여행사의 거래 집중화 관계에 경로 내 영향전략 유형에 따른 조절 효과를 가설화 하였다. 결과는 대체로 기대했던 가설이 채택되는 방향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강압적 전략의 사용과 관련된 두 가지 가설은 기각되었다.

  • PDF

항공사 서비스품질이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항공사 유형에 따른 인식의 차이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s of Service Quality on Brand Image and Brand Attitude)

  • 박혜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374-386
    • /
    • 2016
  • 본 연구는 나날이 다양화 되어 가는 항공사들을 대상으로 항공사의 서비스품질과 브랜드이미지, 브랜드 태도 그리고 재이용 의도와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항공사의 서비스품질은 유형적인서비스, 무형적 서비스, 인적서비스인 세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파악하였으며, 고객들이 갖게 되는 브랜드이미지, 브랜드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이러한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태도가 재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갖게 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또한 항공사의 유형(FSC와 LCC)에 따른 이용객의 인식하는 유형적 무형적서비스, 브랜드이미지, 브랜드태도, 재이용의도의 차이와 서비스품질과 브랜드이미지, 서비스품질과 브랜드 태도의 관계에서 항공사 유형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항공사의 서비스품질 중 유형적서비스, 무형적서비스, 인적서비스는 브랜드이미지, 브랜드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태도 또한 재이용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공사의 서비스품질은 인적요소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서비스품질과 브랜드이미지, 서비스품질과 브랜드 태도의 관계에서 항공사 유형은 순수 조절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분석의 결과, 항공사 유형에 따라 승객들은 항공사를 선택할 때 항공사의 서비스품질 뿐만 아니라 자신의 경험과 구전, 인지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 등을 통해 형성된 브랜드이미지, 브랜드 태도가 재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항공사마다 차별화 되고 개성 있는 서비스전략을 고안해 낼 필요가 요구되며, 항공사 인적자원을 위한 선발, 관리, 교육훈련이 매우 중요하다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중소 제조기업의 전략 유형에 따른 조직문화, 전략적 활동, 수출성과의 관계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Strategic Activities and Export Performance of Manufacturing SMEs based on the Type of Strategies)

  • 조연성
    • 통상정보연구
    • /
    • 제18권3호
    • /
    • pp.307-327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 중소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조직문화, 전략유형, 전략적 활동 그리고 수출성과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주요 개념 사이에 경로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전략유형의 조절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집단 간 비교분석을 실행하였다. 기존 연구를 기반으로 잠재변인과 20개의 측정문항을 설정하였다. 조직문화는 혁신형과 시장형으로 나누었으며, 전략유형은 공격형과 방어형으로 구분하였다. 200개 기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조직문화, 고객관계구축, 제품품질활동, 수출성과 사이에 모두 긍정적 영향이 나타났다. 집단 간 비교분석 결과, 공격형 전략 집단에서 혁신형 문화가 고객관계 구축 활동과 제품 품질확보에 더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공격형 전략의 경우 고객관계 구축과 수출성과의 관계에서도 혁신형이 시장형보다 더 큰 영향을 주었다. 분석결과는 해외시장 진출 중소 제조 기업이 공격형 전략을 선택할 때 고객관계구축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 PDF

소비자 쇼핑가치가 웹사이트 구전행위에 미치는 영향: 인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Online Consumer's Shopping Value for Word-of-Mouth Behavior: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ity)

  • 문윤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88-590
    • /
    • 2013
  • 본 연구는 웹사이트에서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가치가 소비자의 웹사이트에 대한 태도와 이용의도, 그리고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소비자들이 웹사이트 이용 시 추구하는 쇼핑가치는 경제적 가치, 정보적 가치, 오락적 가치로 구분된다. 소비자가 어떠한 쇼핑가치를 추구하느냐 하는 가치추구성향은 이후 소비자가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태도와 타인에게로의 홍보와 같은 구전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나아가 본 연구는 소비자의 개인적 성향을 사고형(thinking)-감정형(feeling) 성격유형으로 간주하며, 이러한 성격유형에 따라 추구하는 쇼핑가치와 태도 간 관계가 달라질 것이라는 가설을 조절효과를 통해 검증한다. 이 같은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오프라인 패밀리레스토랑 이용과 더불어 해당 레스토랑의 홈페이지를 함께 활용했던 경험이 있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Lisrel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소비자들의 경제적 쇼핑가치지향, 정보적 쇼핑가치지향, 그리고 오락적 쇼핑가치지향이 강할수록 패밀리레스토랑 홈페이지에 대한 보다 우호적인 태도가 나타나며, 이는 곧 홈페이지의 이용에 대한 의도 및 구전효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사고형-감정형 성격유형의 조절효과 분석결과를 보면, 사고형 성격을 지닌 소비자는 감정형 소비자보다 경제적 가치지향 및 오락적 가치지향에 몰입하여 이후 웹사이트 태도를 결정하는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인터넷 쇼핑몰에서 서비스 품질요인이 고객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인지된 커뮤니티 유형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in a Internet Shopping Mall : The Moderating Role of the Internet Community Type)

  • 김정욱;고준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9-184
    • /
    • 2005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ervice factors that satisfy customers in the internet shopping mail context. The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fy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explores the moderating role of the internet community type (i. e., transaction community group, interest community group and fantasy community group). By analyzing 188 questionnaires, we found that out of the five service quality dimensions, only reliability, tangibility, assurance and responsiveness dimensions have positive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We also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by the perceived type of internet community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디지털 사이니지의 유형별 효과에 개인특성 변수가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Type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Digital Signage)

  • 주태욱;김현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193-20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옥외광고매체인 디지털 사이니지에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관여도와 자기효능감이라는 조절변수를 통해 인터랙티브형 디지털 사이니지와 단순터치형 디지털 사이니지의 차별적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인터랙티브형 디지털 사이니지가 단순터치형 디지털 사이니지에 비해 긍정적인 광고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높은 경우, 인터랙티브형 디지털 사이니지가 단순터치형 디지털 사이니지에 비해 더욱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지만 자기효능감이 낮은 경우 디지털 사이니지 유형 간의 효과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여도는 디지털 사이니지 유형별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디지털 사이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맞춤형 고객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제품유형별 브랜드 원산지이미지와 브랜드 연상지식에 관한 연구- 소비자 자민족중심주의성향 정도에 따른 상호조절효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COO image on Brand Association Knowledge in Utilitarian and Hedonic product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s' ethnocentrism -)

  • 박성영;유성덕;나운봉
    • CRM연구
    • /
    • 제2권2호
    • /
    • pp.21-40
    • /
    • 2009
  • 본 연구는 브랜드를 구매할 때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들 중에서 소비자가 보유한 브랜드원산지에 대한 지각과 브랜드 연상지식과의 영향관계, 그리고 이들 영향요인과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이러한 영향관계에 소비자의 구매 동기로 구분되는 제품 유형 (효용적 vs 쾌락적)에 따라 영향관계가 차이가 있음을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소비자의 국내제품 혹은 외국제품에 대한 태도 및 타당성과 관련된 소비자의 신념으로 정의되는 소비자의 자민족중심주의 성향이 브랜드 연상지식과 구매의도간의 영향 관계에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 원산지이미지와 브랜드 연상지식이 브랜드 구매의도와의 영향 관계에 있어 브랜드 원산지이미지는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관계보다는 브랜드 연상지식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브랜드 연상 지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비자의 자민족중심주의 성향이 브랜드 연상지식과 심리적 또는 행동적 구매의도의 영향관계에 뚜렷하게 상호조절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소비자의 원산지에 대한 이미지가 호의적인 상황과 비호의적인 상황에 따라 집단간 비교를 통해 브랜드 연상지식에 미치는 영향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는 효용적 제품보다는 쾌락적 제품에 뚜렷하게 나타남을 찾아냈다. 본 연구를 통해 기업이 브랜드 경쟁력 확보를 위해 브랜드 원산지 정보와 브랜드 연상지식이라는 브랜드에 대한 외재적인 단서가 소비자의 선택 기준으로서의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제시함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실무적으로 기업 내 마케팅 담당자 혹은 고객관계관리 담당자들이 소비자 접점에서 소비자에게 긍정적 영향력을 제공하는 단서들을 파악하고, 구매 전 그리고 구매 후 적절히 소비자에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고객관계를 보다 긴밀하게 생성, 유지할 수 있도록 브랜드 전략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PDF

서비스 제공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onverbal Communication m the Service Provider)

  • 김유경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117-148
    • /
    • 2005
  • 본 연구는 서비스 산업에서 서비스 제공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서비스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서비스 제공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감정적 애착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신체적 언어, 공간적 행위, 의사언어, 신체적 언어 등으로 4가지로 구분된다. 둘째,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고객의 애착과 서비스 제공자의 사회 적격성, 신뢰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셋째, 서비스 제공자의 사회 적격성과 신뢰, 고객만족, 전환비용과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사한 모델에서 서비스 유형과 서비스 이용기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가설의 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비언어 커뮤니케이션과 감정적 애착과의 관계에서 의사언어를 제외한 신체적 언어, 공간적 행위, 외양은 감정적 애착에 유의하게 정(+)의 경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적 애착은 서비스 제공자의 사회 적격성과 신뢰에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 제공자의 사회 적격성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고객의 지각된 전환장벽에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고객만족은 전환장벽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신뢰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유형과 서비스 이용기간의 조절효과여부를 검증한 결과, 신체적 언어와 감정적 애착, 의사언어와 감정적 애착, 감정적 애착과 신뢰, 신뢰와 전환장벽 등의 관계에서 서비스 유형에 따른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이용기간에 따라서는 신체적 언어와 감정적 애착, 외양과 감정적 애착간의 관계에서 각각 차이가 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