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획예방정비

Search Result 133,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Study on Guideline for the Selection of Small Stream Implementation Projects (소하천정비사업 우선순위 선정기준에 관한 연구)

  • Cheong, Tae-Sung;Kang, Byung-Hwa;Jeong, Sang-M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1 no.2
    • /
    • pp.163-170
    • /
    • 2011
  • Natural stream disasters due to a localized torrential and flash flood has occurring in a small stream especially un-implemented small stream. The survey results during ten years from 2001 to 2010 show that the small stream implementation projects (SSIPs) expenses is increasing with the damages is generally decreasing with variableness in which SSIPs is contributing to disaster prevention in a small stream. This study develop guideline for the selection of SSIPs to support high risk stream at first and save the small streams located on the mountainous area, prevention area and agricultural area which streams have no implementation effects. Developed sub items in guideline are evaluated by stream data collected from 212 small streams where it is proved that sub distance of each item are well arranged by normal distribution. This SSIPs is useful for selecting high risk small stream at first to maximize disaster risk reduction with minimum SSIPs expenses. Also, this SSIPs is used for leading to save small stream on the upstream to minimize flood damages on the down stream with selection a SSIP purchasing agricultural land for preparing flood plane.

Development of Automatic Ultrasonic Testing Techniques of Low Pressure Turbine Blade of Nuclear Power Plants (원자력 발전소 저압 터빈 동익 자동 초음파 검사 기술 개발)

  • Yang, Seung-Han;Lee, Jeong-Bin;Kim, Young-Ho;Yoon, Byung-Sik;Kim, Yong-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24 no.4
    • /
    • pp.371-377
    • /
    • 2004
  • As the turbine running duration in nuclear power plants increases, cracks have been found in the pin finger type blade root area. The nondestructive examination for the blade root area has been carried out by manual ultrasonic examination during the overhaul period, but because of necessity to improve the reliability, we developed an automatic ultrasonic examination system and technique. To demonstrate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automatic ultrasonic examination system, low pressure turbine blades in the 2nd and 3rd stages of nuclear power plants were examined using the developed system. Its applicability nuclear power plant turbine roots of various types was also confirmed.

Study on Diagnosis of High Voltage Cables for Nuclear Power Plant (원자력발전소 고압케이블 열화진단에 관한 연구)

  • Ha, Che-Wung;Joo, Kwang-Ho;Han, Sung-Heum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2061-2062
    • /
    • 2011
  • 국내 원자력발전소에 설치되어 있는 고압케이블은 장기운전에 따라 열화진단 및 유지보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주기적 안전성 평가(Periodic Safety Review) 및 계속운전과 관련하여서도 고압케이블의 관리방안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자력발전소에 설치되어 있는 13.8kV급 고압케이블의 건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원자력발전소 계획예방정비 중 열화진단을 수행한 결과를 소개하고 있다. 특히 미국 NRC(Nuclear Regulatory Commission)에서는 케이블 진단 기법 11가지를 권고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 중 국내 원자력발전소에 적용이 가능한 최신 케이블 진단 기술인 HFCT(High Frequency Current Transformer)를 이용한 부분방전(Partial Discharge ; PD) 측정, VLF(Very Low Frequency) 장치를 이용한 $Tan{\delta}$ 측정 및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케이블 온도 측정을 사용하여 고압 케이블 진단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서술하였다.

  • PDF

Diagnostic Method of High Voltage Cable for Nuclear Power Plants using VLF and HFCT-PD Devices (VLF 및 HFCT-PD 장비를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고압케이블 진단 방법)

  • Ha, Che-Wung;Joo, Kwa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2067-2068
    • /
    • 2011
  • 국내 원자력발전소에 설치되어 있는 고압케이블은 장기 운전에 따라 열화진단 및 유지보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주기적 안전성 평가(Periodic Safety Review) 및 계속운전과 관련하여서도 고압케이블의 관리방안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자력발전소에서 경년열화로 진단되어 철거된 케이블을 수거하여 VLF(Very Low Frequency) 장비를 사용하여 가압을 한 후 HFCT(High Frequency Current Transformer)를 이용한 부분방전(Partial Discharge ; PD) 측정을 수행하여 향후 원자력발전소 계획예방정비 시 케이블을 대상으로 Off-line 부분 방전 진단이 가능한지를 검토하였고, 그 결과를 기술하였다.

  • PDF

Case on Actual Diagnosis of 4.16kV High Voltage Cables for Nuclear Power Plant (4.16kV 고압케이블 VLF Tan${\delta}$ 실측 사례)

  • Kwon, Hyun-Sook;Li, Kyoung-Yong;Kim, Ki-Sang;Hong, Dong-Su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521-522
    • /
    • 2011
  • 국내 원자력발전소에 설치되어 있는 고압케이블은 장기 운전에 따라 열화진단 및 유지보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압케이블의 열화진단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VLF Tan${\delta}$ 기술에 대해 소개하고 원자력발전소에 설치되어 있는 4.16kV급 고압케이블의 건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원자력발전소 계획예방정비 기간 중 VLF Tan${\delta}$ 측정 장비를 사용하여 고압 케이블의 열화진단을 수행한 결과를 기술하였다.

  • PDF

Integrated System Design of Stream Generator Tube and Chemistry Inspection Information for Nuclear Power Plant (원전 증기발생기 세관 및 수질 검사정보 통합시스템 설계)

  • 신진호;이봉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c
    • /
    • pp.271-273
    • /
    • 2002
  • 증기발생기(SG : Steam Generator)는 다수의 세관으로 구성되어 원자로에서 발생한 열을 이용하여 발전기 터빈을 구동시키는 원동력인 증기를 생성해 주는 기능을 하는 원자력발전소의 핵심 설비이다. 증기발생기 세관의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매주기 계획예방정비, 즉 가동중 검사마다 정기적인 와전류 검사를 수행하고, 검사결과에 따라 전열관 보수 등과 같은 제반 조치를 취하고 있다. 현재 검사데이터 DB 구축은 일부 발전소에 개발되어 운영 중에 있고, 세관 DB와는 별도로 통계정보만을 관리하는 증기발생기 성능관리시스템이 운영되고 있으며, 또한 각 발전소마다 수질을 계측하여 수화학 성분을 감시하는 수질관리시스템이 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원화된 DB 및 시스템을 통합하고 연계하여 전 원전의 증기발생기를 종합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장에 보관되어 있는 모든 세관 검사데이터를 취득하여 대용량 데이터베이스를 설계 및 구축하고 이기종의 분산된 수질관리시스템 DB를 연계하여, 증기발생기의 설계/제작부터 검사결과 Mapping, 추이 분석을 통한 수명 평가에 이르는 전 과정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그 구현방안을 제시한다.

  • PDF

Procedure and Consideration to Build Flood Disaster Prevention System (홍수재해대응시스템 구축을 위한 절차 및 고려사항)

  • Lee, Eul-Rae;Lee, Seung-Yoon;Hwang, Eui-Ho;Lee, Gwa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827-831
    • /
    • 2010
  • 홍수범람 또는 피해에 의해 발생한 인명피해 및 재산손실과 이를 치유하기 위해 구호 복구에 들어가는 노력 등 수해가 가져오는 여러 가지 사회경제적 역기능은 홍수의 특성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적절한 계획수립 및 시행을 포함하는 과학적인 홍수분석시스템을 도입해서 홍수를 사전에 예방하거나 경감할 수 있는 수방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방안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하천에 대한 홍수재해특성은 체계적인 하천정비의 미비, 하천제방, 호안시설의 붕괴 및 유실 등이 있을수 있으며, 또한 저수지 소류지 보 등의 파제가 홍수시 잦은 발생을 초래하고 있다. 하천부속시설물(수문, 갑문, 방수구 등)의 기능 및 제방과의 접속부실은 최근에 많이 발생하는 하천의 피해양상이 된다. 하천유역관리 및 방제의 비구조물적인 요인으로는 하천유역의 개발에 의한 유출요인의 증대가 있으며, 하천연안 저지대의 난개발로 인한 상습침수 지역조장 등이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소하천, 지방하천 및 국가하천의 분리관리로 인한 일관성있는 하천관리가 미비한 점도 있다. 항상 피해가 발생한 후 원상복구에 치중하는 복구계획과 환경단체 및 방제조직 그리고 제도 및 법규의 미비도 홍수재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지역특성 및 강우특성에 따라 많은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에 그 특성에 적합한 홍수재해대응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는 것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 PDF

Preference Analysis between Two Administrator Groups on Forest Road Facilities (임도시설에 관한 관리자 집단 간의 의식성향 분석)

  • Ji, Byoung Yun;Kweon, Hyeong-keun;Hwang, Jin Seong;Jung, Do 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5 no.4
    • /
    • pp.449-455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basic policy information for systematic forest road planning and maintenance management by surveying two different administrator group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high priorities of forest road planning were silviculture, disaster prevention, and timber harvesting, and main forest road type was preferred for future use. Also 92.9% of the respondents expressed difficulties due to insufficient manpower and budget. The expected damage types due to forest road construction were threat-to-life by slope failure and dispute on crossing private land. The current main maintenance tasks on forest roads included drainage and road surface maintenance works. Main forest road facilities that should be needed after the construction were installation of additional drainage structures, and slope revegetation and stabilization.

A Study on the Progression of Fire Control Policies in Joseon Dynasty - Regal & Administrative System, Planning Tools, Works and Facilities - (조선시대 금화시책(禁火施策)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 금화정책, 금화계획, 금화사업, 금화시설을 중심으로 -)

  • Kim, Sang-Hee;Lee, Kyung-Ch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1 no.3
    • /
    • pp.12-24
    • /
    • 2013
  • The cities of Joseon dynasty had weak structure against fire. Fires have resulted in damage on property and life. But they gave a chance to development various policies, planning tools, techniques and facilities for minimizing the damages of fi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rogression of fire control policy in Joseon dynasty. Fire control policies can b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 fire prevention, prohibition of fire spreading, fire extinguishing and rescue system. The progression of fire control policies can be divided into three steps. In the first step, from Taejong to Moonjong, various policy, such as regal & administrative system, planning tools, fire control works & appliances have been built and executed. In the second step, from Danjong to Hyunjong, fire control work have taken the central place of fire control policy. In the third step, from Sookjong to Sunjong, development of fire control appliances have taken the central place of fire control policy.

지방정부의 예산지출행태에 관한 지역주민 의식조사

  • 김용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Conference
    • /
    • 2000.11a
    • /
    • pp.109-125
    • /
    • 2000
  • 본 논문은 3개 기초자치단체 지역주민들을 중심으로 이들 지방정부의 투자우선지출 순위에 관한 지역주민의 의식을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분석은 근본적으로 지방정부의 공공지출을 통한 투자사업 활동이 지역주민의 선호순위와 일치하는지를 검증해보기 위한 선행연구로서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지역에 따른 행정기능별 우선지출 순위분석에서 볼 때 일반행정부문의 경우 세지역 모두 기획조정분야에 가장 큰 우선지출을 요구하고 있고 산업경제 부문의 경우 지역특산물생산과 지역공단육성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사회복지부문의 경우 쓰레기처리 및 폐기물관리 등에 우선적인 관심을 보여 생활환경의 정비에 큰 관심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역개발사업의 경우 도시계획 및 도시정비사업이 그리고 민방위부문의 경우 재난관리와 화재예방의 부문에 특히 우선지출의 관심을 보이고 있었다. 지방자치단체의 공공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들은 주민참여도, 정부.기업관계, 정치적 연계, 기획과 예산구조, 공공투자 재원보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각 요인별로 구성변인에 따른 지역주민간의 인식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지역주민들의 공공지출형태의 다양성과 여러 기대조건들을 충족시키고 그럼으로써 행정서비스에 대한 지역주민의 만족도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각 지방정부는 그들 지역내 특수한 사회 경제적 여건하에서 새로운 고객관리전략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