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통 분석

Search Result 3,516,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산업공장의 전력계통분석

  • 홍순경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no.10 s.202
    • /
    • pp.27-36
    • /
    • 1993
  • 전력계통의 분석은 첫 번째로 특수조건하에서 기존 또는 계획된 전력계통의 성능을 예측 하거나 개선하는데 사용되는 기술로서, 이 기술을 산업체의 전력계통에 적용할 때 안정성, 신뢰성, 고품질의 전력 그리고 초기투자와 운전비의 절감과 같은 전력계통 설계의 목적을 달성 하는데 크게 공헌하게 된다. 산업체의 전력계통 분석은 주로 단락사고, 보호설비의 협조, 전력조류, 전동기의 기동, 접지, 과도적 과전압, 역률개선, 기타의 설계 등을 위한 계산이 포함된다. 전력계통 분석은 전력계통을 신설 또는 개조할 때는 물론이고 기존시설의 부하나 용량이 현저하게 변경되었을 때 또는 기존시설의 고장을 진단할 때에 반드시 실행되어야한다.

  • PDF

Analysis of Surge Voltage according to Fault Inception Angle in 765kV transmission System (765kV 송전계통에서 고장 발생각에 따른 서지 분석)

  • Moon, Ji-Young;Lee, You-Jin;Kim, Chul-Hw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2233_2234
    • /
    • 2009
  • 낙뢰 또는 수목 접촉 등의 일시적인 사고가 발생하면 계통내 접촉 위치에 순간적으로 아크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일시 고장 원일을 제거하기 위해 기계적으로 전기의 흐름을 단절시켜 고장 원인을 제거하고, 재투입을 통해 계통 복구를 할 수 있다. 아크는 음극과 양극 사이의 방전으로 인한 플라즈마로 설명될 수 있는데 전력 계통에서는 저항으로서 취급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765kV 모델 계통의 아크 현상 시뮬레이션을 통해 고장각 발생 변화에 따른 아크 전압 특성을 분석할 것이다. 또한 아크 특성 분석을 통해 우리는 아크 발생 시 전력 계통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전력 계통의 과도현상 분석 프로그램인 EMTP(Electro Magnetic Transient Program)를 이용하여 아크현상에 대한 분석 및 765kV계통에서의 아크 고장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 PDF

Analysis of Distribution System and Power Quality Integrated with 1000kW Suncheon Photovoltaic Generations (1000kW 순천 태양광 발전시스템 계통해석 및 전력품질 분석)

  • Yoon, Gi-Gab;Lee, Hak-Ju;Jung, Won-Wook;Kim, Suk-Cheo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312-317
    • /
    • 2007
  • 최근 다수의 태양광 발전기가 배전계통에 연계되고 있으며 특히, 특정지역을 중심으로 대규모의 태양광발전 단지가 구성되어 배전계통에 연계되고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순천에 구축된 l000KW급 태양광발전소의 계통해석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PSCAD/EMTDC 툴을 이용하여 모델링 하고 태양광발전이 연계된 배전계통 조류해석과 태양광 발전의 출력에 의한 22.9KV 배전계통의 전압변동을 시뮬레이션 하였으며, 태양광발전에 따른 역조류에 의한 배전계통 전압변동을 분석하였다. 또한, 태양광발전기의 배전계통 연계 전,후의 배전선로의 임의의 지락고장 모의로 태양광발전기가 고장전류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태양광 발전이 양호, 불량한 경우에 대한 상전압, 고조파 전류, 역률 등의 측정결과에 의한 전력품질을 분석 하였다.

  • PDF

하나로 냉중성자원 시설계통 배기수집탱크 내 수소가스 분석

  • Son, U-Jeong;Choe, Jeong-Un;Jeong, Chang-Yong;U, Sang-Ik;Kim, Yeong-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337-337
    • /
    • 2010
  • 하나로 반사체의 수직공 안에 설치된 냉중성자원 시설계통의 수조내기기는 원자로에서 생성되는 열중성자를 약 22K의 감속재로 감속시켜 0.1~10 meV 범위에서 높은 선속을 갖는 냉중성자를 생산한다. 냉중성자를 생산하기 위한 냉중성자원 시설계통의 구성은 감속재인 수소를 포함하고 있는 수소계통, 수소의 외부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블랭킷계통, 극저온의 액체수소를 생산하기 위한 헬륨냉동계통, 극저온인 액체수소 층을 감속재용기 내에 유지하기 위한 진공계통 등으로 되어있다. 이들 계통 중 진공계통은 냉중성자원 시설계통의 정상운전 시 액체수소 열사이펀, 감속재용기 등의 냉중성자원 극저온 부품의 단열을 위하여 진공용기의 내부 진공도를 공정진공도 이하로 유지하기 위한 계통이다. 정상운전 시 진공계통으로부터 발생되는 배기 가스는 배기 수집탱크에 포집된다. 냉중성자원 시설계통으로부터 발생되는 배기가스는 배기수 집탱크를 통하여 수소의 누출여부를 확인한 후 원자로홀로 배기되도록 되어 있으며, 만일의 경우 탱크내부의 배기가스 수소 농도가 기준치인 3.5%이상일 때는 유입 원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희석용 가스인 고압의 질소를 주입하여 수소의 농도를 기준치 이하로 낮춘 후 원자로 홀로 자동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냉중성자가 생산되는 냉중성자원 시설계통의 운전과정에서 진공계통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배기수집탱크로 포집하고, 이 가스에 대해 수소가스의 농도를 분석하여 원자로 홀로 안전하게 배기할 수 있도록 수행된 수소가스 분석에 대해 기술하였다.

  • PDF

액체금속로 피동 원자로용기냉각계통의 특성 분석

  • 위명환;심윤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b
    • /
    • pp.374-378
    • /
    • 1996
  • 피동 원자로용기 냉각계통은 원자로 용기를 둘러싸고 있는 격납공기 외부가 공기에 자연순환에 의해 냉각하는 방식으로 공기 흐름 구동력은 원자로용기의 외부 유로의 공기와 주변 대기와의 밀도 차이에 의하여 피동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높은 작동 신뢰성이 보장된 개념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입구 위치에 따른 영향 및 격납용기와 유로 벽면간의 복사 효과 까지를 고려 할 수 있도록 해석 모형을 개선 시키고 개선된 모형을 이용하여 계통을 구성하는 설계인자들이 계통의 성능 및 크기에 미치는 영향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공기의 입구 위치가 계통의 열제거용량에 미치는 영향, 상향공기 유로에서의 복사 열전달 고려 유무가 해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설계인자와 계통 성능간의 상관성을 밝혔다.

  • PDF

Analysis of 2006 Summer Peak Network Operation (06년 하계피크시 전력계통 운영실적 분석)

  • Joo, Joon-Young;Bae, Joo-Ch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11a
    • /
    • pp.314-316
    • /
    • 2006
  • 06년 하절기 최대부하시 EMS SE를 통한 최대부하 계통을 취득하여 PSS/E file로 변환하여 발전기 및 송변전선비 등 실제계통의 운전상황을 확보하였다. 이를 토대로 '06년도 하절기 실계통 전력계통의 특성을 도출하고, 조류계산 및 안정도 검토 등을 통해 금년 상반기에 수립된 하계운영방안의 적정성을 평가해 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계획단계의 최적화된 방안도출을 도모하고 분석내용은 향후 전력계통 안정운영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LVRT Capability Simulation & Dynamic Performance Analysis for grid tied Wind Power Generator using Hardware Simulator (하드웨어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계통 연계형 풍력발전시스템의 LVRT 동작 모의 및 동특성 분석)

  • Lee, Jae-Wook;Han, Byung-Moon;Yoon, Young-D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3.11a
    • /
    • pp.65-66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계통 전압 사고 상황에서 계통 연계형 풍력 발전 시스템이 만족시켜야 할 LVRT(Low Voltage Ride Through) 동작 모의 및 동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작한 시뮬레이터는 유도전동기를 이용한 풍력터빈 모델과 영구자석 동기 발전기 그리고 컨버터와 인버터로 구성된 Back to Back Converter를 통해 계통과 연계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계통과 연계되는 부분에 슬라이닥스와 변압기 그리고 IGBT를 이용해 계통의 사고를 모의할 수 있는 계통 전압사고 모의 장치를 제작하여 연결하였으며, 이 계통 전압사고 모의 장치는 A, B, C 각 상을 독립적으로 제작해 다양한 계통사고를 모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하드웨어 시뮬레이터와 제안된 계통 전압 사고 모의 장치 분석을 위해 PSCAD/EMTDC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고 하드웨어 실험을 통해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Application on the Stabilizing device and Impedance analysis during The Power system Swing (전력계통 동요 시 계통임피던스 분석과 안정화 장치 적용)

  • Jang, S.I.;Park, S.K.;Lee, J.J.;Shin, M.C.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07a
    • /
    • pp.190-192
    • /
    • 2003
  • 전력계통망의 부하 구성에서 발생되는 갑작스런 변화는 계통의 부하 중심 사이에 전력 동요를 일으키는데 전력계통의 안정한 운영을 위해서는 계통안정도를 고려한 계통보호가 요구된다. 계통여건 변경 시 계통 임피던스 궤적의 변화가 있게 되는데 일반적인 거리 계전기들이 이러한 임피던스 변화에 따라 응동하게 되고 계통동요 시 거리계전기의 오동작이 있기도 하여 계통동요 방지 장치가 자주 이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실 계통 변화, 특히 계통 동요시 계통 임피던스를 분석하고 계통 안정도 향상을 위한 계전방식 적용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Insulation Coordination on 22.9kV HTS Power Cable for Applying to Real Grid (22.9kV 초전도 케이블 실계통 적용을 위한 절연협조 검토)

  • Yang, B.M.;Kang, J.W.;Kang, Y.W.;Park, J.W.;Jo, H.S.;Kim, T.H.;Jung, C.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497-498
    • /
    • 2011
  • 초전도 케이블을 실계통에 연계한 계통이 운용되고 있으므로 인해 많은 계통 과도현상의 모델링이 필요하다. 초전도 전력기기의 특성을 고려한 계통영향 분석을 통해 향후 초전도 기기의 확대 보급을 위한 적용기술 기반 확보가 필요하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초전도케이블의 실계통 적용을 위해서 이천변전소에 시범 적용된 초전도케이블 계통을 대상으로 전력계통의 뇌격 침입에 의한 계통의 과전압 현상을 파악하기 위한 전력계통 모델링 및 계통모의를 실시하였다. 최근 낙뢰로 인한 전력계통의 고장율도 증대되고 이로 인한 피해도 증가되고 있어, 향후 실계통 적용될 초전도 전력기기에 대한 과전압 특성에 대한 기술적 분석은 반드시 요구되고 있다.

  • PDF

Power Quality Analysis of Jeju System Due To Interconnecting Hangyung Wind Farm #2 (한경풍력 2단계 연계에 따른 제주계통의 전력품질 분석)

  • Chae, Woo-Ky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c
    • /
    • pp.170-173
    • /
    • 2008
  • 제주의 전력계통은 HVDC로 육지계통과 연계되어 있으며 3곳의 풍력발전단지가 연계되어 있다. 향후 대규모의 풍력발전이 연계된 상황에서 HVDC Overhaul을 시행하거나 어떤 사고로 HVDC가 끊어진다면 제주계통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도 있다. 이에 본 본문은 Overhaul 기간에 한경풍력 2단계가 제주계통의 전력품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Overhaul 기간에는 제주계통의 주파수가 매우 불안정하여 풍력발전량의 급격한 변동에 의하여 제주계통 전체의 주파수가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