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절 시작일

Search Result 20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Future Projections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Onset Date and Duration of Natural Seasons Using SRES A1B Data in South Korea (A1B 시나리오 자료를 이용한 우리나라 자연 계절 시작일 및 지속기간의 공간 분포 변화 전망)

  • Kwon, Young-Ah;Kwon, Won-Tae;Boo, Kyung-O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3 no.1
    • /
    • pp.36-51
    • /
    • 2008
  • As the global warming has influenced on various sectors including agriculture, forestry, fisheries and health, it is essential to project more accurate future climate for an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and adaptation strategy. This study examines spatial distribution of onset dates and durations of season decomposed by applying a lowpass filtering using observed 30-year (1971-2000) data and projected 2090s data based on the IPCC SRES A1B emission scenario in South Korea. In general, the distributions of spring and winter onset date are affected by latitudes, topography and proximity to oceans. However, onset dates of summer and autumn are a little affected by proximity to oceans and topography than by latitudes. In the 2090s (2091-2100), the onset dates of spring begin about 40 days earlier and the onset dates of summer begin 25-30 days earlier as compare with present time. On the other hand, the onset dates of winter begin about 50 days later in the southern and eastern coastal area and in the southern inland. The onset dates of autumn begin about 20 days later. In the 2090s, summer duration is longer and winter duration is shorter as compare with present time at southern and eastern coastal area.

Future Projections on the Change of Onset Date and Duration of Natural Seasons Using SRES A1B Data in South Korea (A1B 시나리오 자료를 이용한 우리나라 자연 계절 시작일 및 지속기간 변화 전망)

  • Kwon, Young-Ah;Kwon, Won-Tae;Boo, Kyung-O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2 no.6
    • /
    • pp.835-850
    • /
    • 2007
  • This study examines long-term trends of onset dates and durations of season decomposed by applying a lowpass filtering using observed 80-year(1921-2000) data and projected 2040s and 2090s data based on the IPCC SRES A1B emission scenario in South Korea. As recent climate changes on seasonal cycles in South Korea, the onset dates of spring and summer began earlier after 1970s. But onset dates of autumn and winter were delayed. Winter duration was more shortened during the post-1990 period. Summer duration is longer and winter duration is shorter at southern and eastern coastal area. The different of summer duration and winter duration in coastal area was longer than over the inland. The reduction in winter duration in South Korea agrees with results in overall global warming trends as a climate change signal. Future model output data predict that winter will disappear in Gangneung, Busan and Mokpo in the 2090s

마음이 들려주는 이야기 - 봄이 주는 설렘을 기억하세요?

  • Seon, An-Nam
    • 건강소식
    • /
    • v.37 no.3
    • /
    • pp.22-23
    • /
    • 2013
  • 새싹이 돋고 꽃이 피는 봄이 다가왔다. 춥고 힘들었던 겨울과 달리 다시 무엇인가를 시작할 수 있을 것만 같은 힘이 생기는 계절이다. 겨울이 기다림의 시간이었다면 새 학기가 시작되고 무겁고 두꺼운 외투를 벗고 활동이 편해지는 계절도 바로 봄이다. 무언가 해볼만하고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은 기분이 든다.

  • PDF

A Phenology Modelling Using MODIS Time Series Data in South Korea (MODIS 시계열 자료(2001~2011) 및 Timesat 알고리즘에 기초한 남한 지역 식물계절 분석)

  • Kim, Nam-Shin;Cho, Yong-Chan;Oh, Seung-Hwan;Kwon, Hye-Jin;Kim, Gyung-Soo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7 no.3
    • /
    • pp.186-193
    • /
    • 2014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spatio-temporal trends of phenological characteristics in South Korea by using MODIS EVI. For the phenology analysis, we had applied double logistic function to MODIS time-series data. Our results showed that starting date of phenology seems to have a tendency along with latitudinal trends. Starting date of phenology of Jeju Island and Mt. Sobeak went back for 0.38, 0.174 days per year, respectively whereas, Mt. Jiri and Mt. Seolak went forward for 0.32 days, 0.239 days and 0.119 days, respectively. Our results exhibited the fluctuation of plant phonological season rather than the change of phonological timing and season. Starting date of plant phenology by spatial distribution revealed tendency that starting date of mountain area was late, and basin and south foot of mountain was fast. In urban ares such as Seoul metropolitan, Masan, Changwon, Milyang, Daegu and Jeju, the phonological starting date went forward quickly. Pheonoligcal attributes such as starting date and leaf fall in urban areas likely being affected from heat island effect and related warming. Our study expressed that local and regional monitoring on phonological events and changes in Korea would be possible through MODIS data.

학술 3 - 봄철의 말목장에서 수의사의 역할

  • Lee, Chung-Seop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48 no.2
    • /
    • pp.100-103
    • /
    • 2012
  • 요즘 말산업육성법의 제정, 공포, 발효 이후에 말산업 중 1차산업에서 말목장의 역할이 급부상하고 있다. 과거의 말 산업이라 함은 한국마사회 중심의 경주마관련 산업이 각광을 받았다. 최근의 말 산업은 한국마사회에서 주축이 되어 국회를 통과한 말산업육성법에서 주목하고 있는 승용마관련 산업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승용마의 생산이나 육성을 고려할 수 있을 정도의 전문 승용마 목장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들고, 아직 말목장이라 하여 생산과 육성을 전문으로 하는 말목장은 경주마 생산목장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망아지의 생산을 고려할 때 번식계절을 따로 가지고 있는 말을 일컬어 계절번식동물이라 하여 봄철에 말목장은 매우 바쁘게 하루를 보내게 된다. 장일성 계절번식동물로서 하루의 햇빛 시간이 길어지기 시작하는 동지부터 암말들의 번식생리는 서서히 활동하기 시작하여 지방에 따라 또는 사양기술에 따라 늦어도 3월 중순이 되면 자연적으로 배란이 가능한 난포를 발육하게 되어 정상적인 임신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정리를 하면 계절번식동물은 번식기와 비번식기 사이에 수개월의 과도기가 있어서 공태마의 과도기에 대한 관리가 중요함을 강조할 여지가 발생하게 된다.

  • PDF

건강 in 다이어트 - 계절 타는 다이어트 더위도 탄다

  • Song, Da-Eun
    • 건강소식
    • /
    • v.38 no.7
    • /
    • pp.30-31
    • /
    • 2014
  • 무더위가 시작되면서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입맛이 없고 조금만 움직여도 쉽게 땀이 나는 여름철은 쉽게 다이어트를 할 수 있는 계절이라 생각하기 쉽지만, 무리하게 식이조절을 하거나 운동을 감행할 경우 건강을 해칠 수 있으니 요령껏 다이어트를 실천하는 것이 좋다.

  • PDF

계절건강 지킴이 - 무더위보다 더 무서운 해충을 잡아라

  • Son, Ji-Hye
    • 건강소식
    • /
    • v.38 no.7
    • /
    • pp.24-25
    • /
    • 2014
  • 겨울의 추위가 좋은 한 가지 이유가 있다면 아마 한 계절이나마 집 안 곳곳에서 나타나는 해충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보기에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위생 건강상으로도 악역향을 끼치는 해충을 지혜롭게 박멸하고 쾌적한 여름을 시작해보자.

  • PDF

건강관리코너 - 수험생 건강 지키기

  • Seo, Jeong-Uk
    • 방재와보험
    • /
    • s.90
    • /
    • pp.64-65
    • /
    • 2001
  • 날이 더워지면서 수험생들이 가장 나기 어려운 계절, 승부의 계절, 여름이 오고 있다. 심리적인 압박감도 증가하고 학기초의 결연한 의지도 점점 나약해져 가기 시작한다. 수험생에게는 여름을 어떻게 나느냐가 앞으로 남은 인생을 좌우할 만큼 중요한 시점이기도 하다. 이번 호에서는 집에서 할 수 있는 간단한 수험생 건강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 PDF

현장질병가이드-폭염 대비

  • 손영호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0 no.8
    • /
    • pp.140-142
    • /
    • 2008
  • 여름은 고온다습하고 겨울은 저온저습한 계절 특성이 뚜렷한 우리나라의 기후 조건에서는 겨울은 겨울대로 여름은 여름대로 생산성을 유지하기가 무척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혹서기를 지내면서 어찌할 수 없는 더위로 속수무책 피해를 겪은 농장들은 점점 가속화 되는 폭염으로 걱정이 커져가기만 한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 많은 농가들이 시설과 사육환경 개선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8월은 중순까지 더위가 이어지고, 그 이후로는 아침.저녁으로 선선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다가 8월 말이 되면 더위가 가고 가을을 맞게 되는 시기이다. 절기는 계절의 변화를 거의 정확하게 반영한다. 8월 7일이 입추(立秋, 가을의 시작)이고, 23일이 처서(處暑, 더위가 가고 일교차가 커짐)인 것을 감안하면 이제 머지않아 더위가 마감되고 서늘한 가을로 들어서게 될 것이다. 더위에 지친 계군을 잘 관리하여 생산성 극대화를 위한 중점관리를 시작해야 할 시기가 바로 이 때이다. 또 환절기 및 혹한기에 대비한 질병관리로 뜻하지 않게 질병이 발생하여 생산성 저하를 겪는 일이 없도록 만전을 기해야 할 때이기도 하다. 근래 국내 양계질병의 발생양상은 연중 그 피해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것은 질병 다발시기에 그 질병으로 인한 피해정도가 점점 심해질 것임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연중 어느 때도 계군관리에 있어 중요하지 않은 시기가 없겠으나 더위를 겪은 계군의 체력을 회복시키고 다가올 환절기와 혹한기를 대비하여 철저한 관리가 필요한 때이다.

  • PDF

Prediction Model for Flowering date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using a Plant Phenology Model (생물계절모형을 이용한 진달래 개화 예상시기 모형 연구)

  • Sung-Tae Yu;Byung-Do Kim;Hyeon-Ho Park;Jin-Yeong Baek;Hye-Yeon Kwon;Myung-Hoon Yi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31-31
    • /
    • 2020
  • 본 연구는 대표적인 봄 꽃 식물인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의 개화시기를 예측하기 위해 지난 9년간(2011년-2019년) 주왕산 지역에 생육하는 진달래의 식물계절자료(파열·개화·개엽·만개·낙엽)와 기상자료(일평균기온·일최고기온·일최저기온)를 토대로 이탈리아 생물기상연구소(IBMET)의 Chill Day 개화 예측모형인 생물계절모형을 실시하였다. 생물계절모형에 의한 예상 발아일간 편차의 제곱을 최소로 하는 조합은 기준온도 5℃, 저온요구량과 가온요구량은 97.94로 나타났다. 즉, 휴면해제일로부터 기준온도 5℃로 Chill Day를 누적시켜 97.94에 도달하는 날짜가 낙엽~내생휴면해제일이자 내생휴면해제일~발아기간까지의 값이며, 내생휴면해제일을 기점으로 개화일까지 102.93이 개화에 필요한 가온량으로 나타났다. 2011년부터 2019년까지 개화예상일을 기상청 회귀모형을 실관측기온에 적용한 결과 오차는 MAE=1.44이며, 생물계절모형을 적용할 경우 오차는 MAE=1.39, 기준온도 5℃일 경우 MAE=4.23, 기준온도 6℃일 경우 MAE=5.47, 기준온도 7℃일 경우 MAE=5.05로 나타나 생물계절에 의한 관측과 기상청의 회귀모형이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최근인 2018년과 2019년의 기상청 회귀모형와 생물계절모형의 개화 예측일을 비교한 결과, 2018년의 경우 청송지역의 진달래는 기상청 회귀모형에서 3월 30일 전후로 개화를 예상하였고 생물계절모형은 기준온도 5℃에 적용할 경우 내생휴면일에 가장 근접한 날은 3월 26일이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가온량의 합이 102.93에 가깝게 되는 날인 4월 2일을 전후로 개화를 예측하였다. 실제 청송 주왕산의 진달래는 4월 3일에 개화를 시작하여 생물계절모형과 매우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2019년의 경우 청송지역의 진달래는 기상청 회귀모형에서 3월 25일 전후로 개화를 예상하였고 생물계절모형은 기준온도 5℃에 적용할 경우 내생휴면일에 가장 근접한 날은 3월 8일이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가온량의 합이 102.93에 가깝게 되는 날인 3월 29일을 전후로 개화를 예측하였다. 실제 청송 주왕산의 진달래는 4월 5일에 개화를 시작하여 오히려 생물계절모형과 더욱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