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계절 변동

검색결과 1,058건 처리시간 0.033초

한반도지역에 대한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통계적 상세화 (A Statistically Downscaling for Projecting Climate Change Scenarios over the Korean Peninsula)

  • 신진호;이효신;권원태;김민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191-1196
    • /
    • 2009
  • 온실가스 증가에 따른 미래 기후변화가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구기후모델(AOGCM)의 기온과 강수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 지역에 대한 통계적 규모 상세화(statistical downsacaling, SDS) 기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기법은 Cyclostationary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CSEOF) 분석과 회귀분석을 결합한 것으로 관측과 AOGCM 시계열의 통계적 상관성을 이용하고 있다. 20세기말(1973-2000) 동안의 광역규모의 기온(ECMWF)과 강수량(CMAP) 및 AOGCM의 기온과 강수량 자료에 통계적 상세화 기법을 적용하고 비교함으로써 이 기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는데, 상세화된 기온과 강수량 자료는 관측된 계절변동성과 월변동성을 잘 모사하였다. 특히, 여름철 관측에 비해 저평가된 AOGCM의 강수량 크기와 변동성이 상세화를 통해 관측치에 근접하게 되었다. AOGCM의 미래 강수량 변화는 21세기 후반에 계절적으로 봄과 여름에 증가할 것을 예상되었다. 상세화된 AOGCM의 강수는 겨울을 제외한 모든 계절에서, 특히 여름철에 가장 많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AOGCM의 미래 기온변화는 21세기 후반으로 갈수록 상승하며, 계절적으로 겨울철의 기온 상승폭이 더 클 것으로 전망되는데, AOGCM을 상세화한 결과에서는 겨울과 더불어 여름에도 기온 상승폭이 클 것으로 전망되었다. 개발된 기법은 역학적 결과와 관측과의 통계적 상관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광역규모의 기후적 특성뿐만 아니라 한반도 지형 등 지역적 특성도 모두 반영함과 더불어 광역규모의 자료를 빠른 시간내에 효과적으로 상세화시킬 수 있는 장점도 지닌다. 한편 상세화에 사용된 CSEOF의 모드수 등에 따른 불확실성 등은 통계적 상세화 과정에 개선될 여지가 남아있음을 보여준다.

  • PDF

왕우럭에 공생하는 요각류 3종에 대한 감염률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 of Infection by Three Species of Symbiotic Copepods in Clam, Tresus keenae)

  • 문성용;라성주;윤호섭;최상덕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36-241
    • /
    • 2006
  • 남해안에 서식하는 왕우럭의 공생성 요각류 3종의 감염률에 대한 계절 변동을 연구하였다. 계절에 따라서 감염률과 출현량의 차이를 보였으며, 겨울철에 높게 출현하였다. 요각류의 출현 양상에 따른 생산력은 성숙한 요각류의 비율이 높아지면서 초가을과 봄에 높게 나타났다. 공생성 요각류 3종의 출현 빈도는 숙주의 개체군이 성장할 수 있는 서식 조건에 따른 적합한 환경이 되어야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생성 요각류의 계절에 따른 감염률, 상대 감염강도, 평균 감염밀도는 수온과 그들의 생활사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외부기상인자를 고려한 낙동강유역 계절강수량 단기예측모형 (Seasonal rainfall short-term forecasting model considering climate indices)

  • 이정주;권현한;황규남;전시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401-401
    • /
    • 2011
  • 본 연구는 Bayesian MCMC(Markov Chain Monte Carlo)를 이용한 비정상성 빈도해석 모형에 외부기상인자를 결합하여 계절단위의 강수량을 예측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홍수 위험도와 관련하여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여름강수량을 예측 대상으로 하였다. 비정상성 빈도해석 모형을 기반으로 외부 기상인자에 의한 변동성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대상 수문량을 한정할 필요가 있으며 극대치강수량과 연관성이 높은 장마전선, 태풍 등의 기상인자는 공간적 변동성 및 복합적인 특성들로 인해 예측인자를 구성하는 기상인자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계절단위의 수문량으로 여름강수량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기상인자로서 SST(sea surface temperature)와 OLR(outgoing longwave radiation)을 도입하였으며, 낙동강유역 여름강수량과의 공간 상관성이 높은 지역의 이전 겨울 SST와 6월 OLR을 예측인자로 활용한 7~9월 여름강수량 예측모형을 구성하였다. 모형의 검증은 결과를 알고 있는 2010년 여름 강수량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모형의 적용은 현재시점에서 관측된 2010년 겨울 SST와, 과거 관측 자료를 토대로 가정된 2011년 6월 OLR을 이용하여 2011년 여름 강수량을 예측하였다. 결과적으로 모형 매개변수들의 사후분포로부터 불확실성 구간을 포함한 예측결과를 구할 수 있었다.

  • PDF

남해안 광양만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의 계절별 분포 특성 (Season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Meiobenthos at Gwangyang Bay, Korea)

  • 이희갑;강태욱;노현수;김동성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4권3호
    • /
    • pp.400-421
    • /
    • 2019
  • 본 연구는 남해안의 대표 만 중에 하나인 광양만에서 저서생태계 특성 파악을 목적으로 중형저서동물 군집의 계절적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2010 ~ 2011년까지 20개 정점에서 계절별로 총 8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기간 동안 출현한 중형저서동물 분류군 중 선충류와 저서성 요각류가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2011년 여름에 만 내측 정점 10에서 가장 낮은 서식밀도를 나타냈으며($13ind.10m^{-2}$), 2011년 겨울에 만 내측 정점 4에서 가장 높은 서식밀도를 나타냈다($3,109ind.10m^{-2}$). 서식밀도의 계절적 변동 경향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중형저서동물의 군집 조성은 계절별로 환경요인에 더욱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점 분류군인 저서성 요각류의 서식밀도는 여름철 퇴적물 내 유기물 함량 및 평균 입도와 음의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p<0.05, p<0.01), 선충류의 서식밀도는 겨울철 평균 입도와 저층 수온을 제외하고 환경요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형저서동물의 일반적인 서식밀도 변동 경향은 겨울철 낮은 수온에 의해 낮은 서식밀도를 나타내다 수온이 높아지는 봄철과 여름철에 증가하고 가을에 감소하는 경향과는 다르게 광양만은 일정한 경향 없이 불규칙한 변동을 나타냈다. 이러한 계절적 변동 경향으로 미루어 광양만의 저서생태계는 자연적인 환경요인 보다는 인위적 환경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

인터버 운전(회전수제어)에 의한 절전효과 개산

  • 한국전력기술인협회
    • 전기기술인
    • /
    • 통권152호
    • /
    • pp.58-59
    • /
    • 1995
  • 공장설비, 빌딩설비 및 일반 산업설비에 사용되고 있는 전동기는 일정부하에서 연속적으로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단속적인 변동부하가 많고 특히 펜, 블로어, 펌프 등은 시간 및 계절에 따라 변동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최적의 유량(공기, 물)을 얻기 위해서 유량제어를 하고 있지만 종래부터 택하여 오던 패턴 및 조정변에 의한 방법에 비하여 인버터에 의한 회전수 제어에서는 소비전력이 대폭적으로 줄어든다.

  • PDF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새우류 군집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 of Shrimp (Crustacea : Decapoda) Community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Korea)

  • 허성회;안용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32-542
    • /
    • 1997
  • 광양만의 잘피밭에 서식하는 새우류 군집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소형 trawl을 이용하여 대도 주변의 잘피밭에서 새우류를 매월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잘피밭에서 채집된 새우는 6과 26종이었다. 우점종은 Heptacarpus pandaloides, Crangon affinis, Eualus leptognathus, Latreutes acicularis, Heptacarpus rectirostris, Heptacarpus geniculatus, Latreutes laminirostris로 나타났다. 잘피밭에서 출현한 새우류의 대부분이 갑각장이 25mm 이하의 작은 크기였다. 출현량의 계절 변동을 살펴보면, 늦겨울과 봄에 많은 개체수와 높은 생체량을 보인 반면, 가을에 낮은 값을 보였다. 그리고 종다양도 지수는 8월$\~$10월에 높은 값을 보였고, 11월과 12월에 낮은 값을 보였다. 잘피밭에서 채집된 새우류는 출현 양상에 따라 주거종, 계절종 및 일시방문종으로 나눌 수 있었다. 주간 채집과 야간 채집을 비교한 결과, 야간에 더욱 다양하고 많은 새우류가 출현하였다.

  • PDF

여수 금오열도 연안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 변동 (Seasonal Changes of Zooplankton Communities along the Coast of Geumo Arichipelago, Yeosu)

  • 오현주;문성용;서호영
    • 환경생물
    • /
    • 제31권3호
    • /
    • pp.192-203
    • /
    • 2013
  • 금오열도 연안에서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 계절별 군집의 변동 양상을 이해하기 위해 그들의 출현 양상과 환경인자를 2003년 8월부터 2004년 4월까지 계절별로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모두 44개 분류군이 출현하였고, 출현 개체수는 15~$28,183inds.\;m^{-3}$의 범위를 보였으며, N. scintillans가 가장 우점 하는 분류군이었다. 동물플랑크톤 주요 분류군은 N. scintillans를 포함하여 P. parvus s. l., A. omorii, Oithona spp., Aidanosagitta crassa, 십각류 유생, 요각류 전기유생, 요각류 후기유생이었다. 종 다양도 지수는 여름철과 봄철에 낮게 나타난 반면에 가을철과 겨울철에는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금오열도 연안의 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이 계절에 따른 수온, 염분, Chl. a 농도와 함께 일부 내만종들에 기인하여 변동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고리 주변해역 삼각망에서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Assemblages Collected by a Three-side Fyke Net in the Coastal Waters off Gori, Korea)

  • 백근욱;허성회;박세창;김지형;박주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86-194
    • /
    • 2010
  • 2006년 1월에서 12월까지 매월 삼각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의 계절변동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35과에 속하는 59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대부분 부 어류로 전갱이 (Trachurus japonicus), 숭어 (Mugil cephalus), 전어 (Konosirus punctatus), 열동가리돔 (Apogon lineatus), 성대 (Chelidonichthys spinosus), 망상어 (Ditrema temmincki),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그리고 줄도화돔 (Apogon semilineatus)이었는데, 이들 8종은 전체 채집 개체수의 92.7%를 차지하였다. 본 조사해역의 채집된 어류는 뚜렷한 계절 변동을 보였는데 개체수는 12월, 생체량은 3월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수온이 낮은 겨울철에 개체수와 생체량이 모두 낮은 값을 보였다. 종다양도지수는 12월에 다른 계절에 비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황해와 동중국해에서의 유의파고와 파향의 시공간 변동성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Significant Wave Height and Wave Direction in the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

  • 우혜진;박경애;정광영;변도성;오현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12
    • /
    • 2023
  • 해양의 파랑은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의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기후변화와 동아시아 몬순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황해 및 동중국해역에서의 유의파고 및 파향의 시공간 변동성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럽중기예보센터(European Centre for Medium-Range Weather Forecasts; ECMWF)에서 제공하고 있는 5세대 모델 재분석장 (ECMWF Reanalysis 5, ERA5) 자료를 활용하여 황해 및 동중국해역에서의 유의파고와 파향의 공간분포와 계절 및 경년변동을 포함하는 시공간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모델 재분석자료를 활용한 유의파고와 파향의 변동성 분석에 앞서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관측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평균 유의파고는 0.3-1.6 m의 범위를 보였으며 북쪽에 비해 남쪽이 높고 연안에 비해 황해 중심부에서 높은 공간분포 특성을 보였다. 유의파고의 표준편차 또한 평균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황해에서 유의파고와 파향은 뚜렷한 계절변동성을 보였다. 유의파고의 경우 전반적으로 겨울철에 가장 높았으며 늦봄 또는 초여름에 가장 낮았다. 파향은 계절풍의 영향으로 겨울철에는 주로 남쪽으로 전파되었으며 여름철에는 북쪽으로 전파되는 특성이 나타났다. 유의파고의 계절변동은 여름철 태풍 등의 영향으로 해마다 연 진폭의 큰 변화를 가진 강한 경년변동성을 보였다.

북동태평양 심해에서 관측된 퇴적물 입자 플럭스의 계절적 변동 (Seasonal Variations of Particle Fluxes in the Northeastern Pacific)

  • 김형직;김동선;형기성;김경홍;손주원;황상철;지상범;김기현;김부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3권3호
    • /
    • pp.200-209
    • /
    • 2008
  • 2003년 7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약 24 개월 동안 북동태평양 대한민국 망간단괴 개발광구 내에 위치한 정점 KOMO(Korea Deep-Sea Environmental Study Long-Term Monitoring Station, $10^{\circ}30'N,\;131^{\circ}20'W$)에서 시계열 퇴적물 포집장치를 설치하여 물질 플럭스를 측정하였다. 약 4,960 m 수심에서 획득된 침강입자의 총질량 플럭스는 겨울(12월-2월)과 봄(3월-5월)에 높고, 여름(6월-8월)과 가을(9월-11월)에 낮은 뚜렷한 계절변동을 보였다. 생물기원 물질플럭스도 총질량 플럭스와 유사하게 뚜렷한 계절변동을 나타냈다. 특히, 겨울과 봄에 관측된 탄산염 플럭스는 여름과 가을보다 두 배가량 높게 측정되어, 다른 생물기원 구성성분들의 계절변동에 비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심해저층에서 관측된 침강입자의 총질량 플럭스와 생물기원 물질플럭스는 표층 해양 일차 생산력의 계절변동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겨울과 봄에는 강한 바람의 영향으로 혼합층 아래로부터 영양염의 공급이 증가되어 일차생산력이 높아진 것으로 생각되며, 여름과 가을에는 바람의 약화와 강한 성층으로 인하여 영양염 공급이 약해져서 일차생산력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침강입자의 총질량 플럭스와 생물기원 물질플럭스의 계절적 변동은 이전에 연구된 엘니뇨/라니냐와 같은 환경변화에 따른 물질플럭스의 변화보다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북동태평양 적도지역에서 엘니뇨와 라니냐 같은 환경변화의 영향에 의한 해양 물질플럭스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계절적 변동을 정확하게 측정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