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절적 영향

Search Result 1,38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Short-term Effects of Warming and Precipitation Manipulation on Seasonal Changes in Fine Root Production and Mortality for Pinus densiflora Seedlings (인위적 온난화 및 강수 조절에 따른 소나무 묘목 세근 생산량과 고사율의 계절적 변화)

  • Han, Seung Hyun;Chang, Hanna;Son, Yowh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7 no.1
    • /
    • pp.43-49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arming and precipitation manipulation on seasonal changes in fine root production (FRP) and fine root mortality (FRM) of 33-month-old Pinus densiflora seedlings for two years. The seedlings in warmed plots were warmed with $3.0^{\circ}C$ higher using infrared heaters. The air temperature of warmed (TW) plots was set to increase by $3^{\circ}C$ compared to temperature control (TC) plots, and the three precipitation manipulation consisted of precipitation decrease (-30%; PD), precipitation increase (+30%; PI) and precipitation control (0%; PC). FRP ($mm\;mm^{-2}\;day^{-1}$) was significantly altered by only precipitation manipulation (PC: 3.57, PD: 4.59, PI: 3.02), while warming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FRP and FRM. Meanwhile, interactions between warming and precipitation manipulation and seasonal changes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FRP and FRM. However, the influences of seasonal changes in soil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on FRP and FRM were different according to warming. In TW plots, FRP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oil temperature, and FRM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soil moisture. On the other hand, in the TC plots, FRP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oil moisture, and there were no relationships between FRM and soil temperature and moistu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limate factors that affect FRP and FRM might vary as the warming progresses.

A Statistically Downscaling for Projecting Climate Change Scenarios over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지역에 대한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통계적 상세화)

  • Shin, Jin-Ho;Lee, Hyo-Shin;Kwon, Won-Tae;Kim, Min-J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191-1196
    • /
    • 2009
  • 온실가스 증가에 따른 미래 기후변화가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구기후모델(AOGCM)의 기온과 강수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 지역에 대한 통계적 규모 상세화(statistical downsacaling, SDS) 기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기법은 Cyclostationary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CSEOF) 분석과 회귀분석을 결합한 것으로 관측과 AOGCM 시계열의 통계적 상관성을 이용하고 있다. 20세기말(1973-2000) 동안의 광역규모의 기온(ECMWF)과 강수량(CMAP) 및 AOGCM의 기온과 강수량 자료에 통계적 상세화 기법을 적용하고 비교함으로써 이 기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는데, 상세화된 기온과 강수량 자료는 관측된 계절변동성과 월변동성을 잘 모사하였다. 특히, 여름철 관측에 비해 저평가된 AOGCM의 강수량 크기와 변동성이 상세화를 통해 관측치에 근접하게 되었다. AOGCM의 미래 강수량 변화는 21세기 후반에 계절적으로 봄과 여름에 증가할 것을 예상되었다. 상세화된 AOGCM의 강수는 겨울을 제외한 모든 계절에서, 특히 여름철에 가장 많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AOGCM의 미래 기온변화는 21세기 후반으로 갈수록 상승하며, 계절적으로 겨울철의 기온 상승폭이 더 클 것으로 전망되는데, AOGCM을 상세화한 결과에서는 겨울과 더불어 여름에도 기온 상승폭이 클 것으로 전망되었다. 개발된 기법은 역학적 결과와 관측과의 통계적 상관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광역규모의 기후적 특성뿐만 아니라 한반도 지형 등 지역적 특성도 모두 반영함과 더불어 광역규모의 자료를 빠른 시간내에 효과적으로 상세화시킬 수 있는 장점도 지닌다. 한편 상세화에 사용된 CSEOF의 모드수 등에 따른 불확실성 등은 통계적 상세화 과정에 개선될 여지가 남아있음을 보여준다.

  • PDF

대구와 주변지역의 기온상승 경향과 벚꽃개화일과의 관계

  • Park, Su-Jin;Kim, Hae-Dong;Kim, Ha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470-473
    • /
    • 2007
  • 기후 및 기온변동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들 가운데 하나가 개화 등과 같은 생물계절현상이다. 이들 현상을 잘 관찰하고 연구함으로 인간이 느끼지 못하는 범위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계절현상에 관한 연구는 일본 등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같이 우리나라에서도 계절현상에 주목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도시가 발달함에 따라 인구의 증가, 각종 산업의 발달, 교통량의 증가와 같은 인위적 요인으로 인하여 도시기후는 특유의 기후특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도시화로 인한 도시의 기후 변동이 벚꽃의 개화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 경향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계절현상과 기온, 위도, 해발고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모델링을 통한 생물계절현상을 예측하고 기후 변동의 검출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 된다.

  • PDF

양식넙치의 총대사활성에 미치는 수온변동의 영향 2. 수온등락 영향과 대사율 일주리듬의 변동

  • Jin, Pyung;Shin, Eun-Kyung;Lee, Jung-A;Kim, Kyu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467-468
    • /
    • 2001
  • 어류양식은 제한된 사육조건 때문에 외적으로 가해지는 환경스트레스에 대해서 도피 등 어류의 보상행동은 제약을 받게되고 생체기능 또한 순응 또는 저항 등의 형태로 보상적 반응을 보이게 된다. 우리나라의 육상 수조식 어류양식은 연중 수온의 변동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자치어기와 성어기의 양성기간에 계절적 수온 변화를 경험하면서 수온에 순화되어 성장하고 있다. (중략)

  • PDF

Identification of Factor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Temporal Patterns of Rainfall in Gamcheon Watershed (감천유역에 대한 강우양상 발생 영향인자의 규명 및 해석)

  • Ahn, Ki-Hong;Cho, Wan-Hee;Han, Kun-Y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9 no.2
    • /
    • pp.77-85
    • /
    • 2009
  • In South Korea, seasonal, local and temporal climatic characteristics are variable in rainfall patterns. To design or assess the reliability of hydrosystem, information about the rainfall event under consideration is important. In this process, the complete description of a design storm involves the specification of rainfall duration, depth, and its temporal pattern. Generally, to use an appropriate temporal pattern for a design storm is of great importance in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hydrological safety for hydrosystem. For purpose of selecting of factor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rainfall patterns, Huff's dimensionless method was executed and examined by statistical contingency tables analysis through which the inter-dependence of the occurrence frequency of rainfall patterns with respect to geographical location, rainfall duration and depth, and seasonality is investigated. This analysis result can be used to establish flood policies and to design or assess the reliability of hydrosystem.

소 체외수정란 생산효율에 미치는 체외성숙 용기와 계절적 영향

  • 서영일;조수진;전세진;이영호;이효상;최유진;윤희준;조성균;공일근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4.06a
    • /
    • pp.286-286
    • /
    • 2004
  • 본 연구는 체외배양 system에서 체외성숙시 경제적인 수정란 생산체계를 검토하고자 체외성숙 배양 용기와 체외수정란생산 계절에 따른 효율을 비교조사하였다. 우선 저가의 국산 Petri dish (35×12 ㎜; SPL, Korea)와 고가의 4-well dish (Nunc, Denmark)를 체외성숙 용기로 사용하였다. 4-well dish 처리구에는 well 당 500 ㎍ 체외성숙 배양액에 50개의 난자를 배양하였고, Petri dish 처리구에서는 3 ㎖의 체외성숙 배양액에 300개 정도의 oocytes를 넣어 24시간 체외성숙을 유도하였다. (중략)

  • PDF

Spatio-Temporal Variability Analysis of Precipitation Data Through Circular Statistics (순환통계에 의한 강수량의 시공간적 변동성 분석)

  • Lee, Jeong-Ju;Kwon, Hyun-Han;Hwang, Kyu-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420-1424
    • /
    • 2010
  • 강수량의 계절성은 수자원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수문요소로서 계절성의 변동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미래 수자원관리 및 정책 수립에 필수적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강수량의 계절성을 평가하는데 유리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통한 계절 변동성의 정량적인 해석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순환통계치 분석은 시간을 각도로 변환하여 이용함으로써 미세한 시간적인 변화양상의 정량적인 해석이 가능한 방법이다. 강수량의 주기특성과 과거로부터 현재까지의 변화 양상을 평가하기 위해서, 우선 전국의 58개 강우관측소를 선별하고 각 관측소의 일강우자료를 이용하여 관측소별 연최대치계열(Annual maxima series)과 발생일자, 월최대강수계열(Monthly maxima series)과 발생일자를 추출하였다. 각 자료의 발생일자는 순환통계분석을 위해 해당 time scale을 한 주기로 하는 방향각 데이터로 변환하였으며, 변환된 시간속성 데이터의 통계특성치를 산정하여 발생시기에 대한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월최대강수량의 발생 시기는 자료 계열 연주기의 변동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분석결과 남해안지역이 6월말에서 7월초이고, 북쪽으로 올라감에 따라 조금씩 발생시기가 늦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극치강수량의 발생 경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일최대강수량의 시공간적 변동성은 월최대강수량보다 크게 분석되었으며, 이는 일최대강수량의 경우 지형학적인 영향에 크게 좌우되며, 우리나라의 여름철 극치강수량이 태풍 발생빈도 및 경로와 연관성을 갖는다는 일반적인 사실을 반영한 결과라고 판단된다. 월최대강수량 및 일최대강수량 발생시기의 이동평균을 통해 발생시기의 변동을 분석한 결과, 서울과 강릉지방은 최대강수량의 발생시점이 늦어지고 있으며 반대로 목포와 부산지방은 최대강수량의 발생시점이 앞당겨지고 있었다. 이는 몬순시스템의 거동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easonal Changes in Quality of Chonggak Kimchi Fermen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계절별.발효온도별 총각김치의 품질 특성의 변화)

  • Noh, Jeong-Sook;Kim, Hyun-Ju;Kwon, Myung-Ja;Song, Yeong-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8 no.6
    • /
    • pp.742-749
    • /
    • 2009
  • In order to establish the basic scientific data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chonggak kimchi (CGK), we studied with CGKs prepared at different seasons and stored at various temperatures ($5{\sim}23^{\circ}C$). Changes in pH and acidity of CGK fermen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were typical. However, acidity of summer CGK stored under $15^{\circ}C$ did not reach 1.0% since the amount of reducing sugar in the summer radish was lower by over 1% than the ones from the other seasons. Growths for Leuconostoc and Lactobacillus spp. over 8.0 logCFU/mL were observed in CGKs fermented above $10^{\circ}C$. Changes in Max G, cutting force, of CGK from different seasons were apparent. Max Gs for spring and summer CGK were decreased immediately right after storage while Max Gs for winter CGKs were increased slowly during storag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CGKs revealed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when acidity of kimchi reached $0.7{\pm}0.1%$ under the given fermentation condition. However, CGK prepared with radish from winter or summer season tasted better than the one made in the spring. But the edible periods for winter CGKs were longer, compared with summer CGKs fermented at the same temperature. In conclusion, CGK fermented at $10^{\circ}C$ in the winter season gives a better taste with longer edible duration than the other CGKs.

Groundwater Recharge to Daegu Area (대구지역의 지하수 함양량)

  • Lee, Seung-Hyun;Kim, Yong-Ho;Bae, Sa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498-502
    • /
    • 2007
  • 대구지역은 최근 30년간(1974년${\sim}$2003년)의 연평균 강수량이 1,065.3mm로 전국 평균의 1,305mm보다 상당히 적으며 특히 연강수량의 약 68%가 6월${\sim}$9월중에 집중되고 있다. 수자원 현황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열악하지만 용수수요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지표수의 이용만으로 용수수요를 만족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며 지하수의 적절한 개발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용수수요의 충족을 위해서는 물공급 시스템의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는 지하수의 체계적인 관리와 효율적인 운영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대상지역에 대한 지하수함양량의 파악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지하수함양량은 강수양상, 토양특성과 토지이용상태 등에 크게 영향을 받음으로 이에 의한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NRCS-CN방법을 이용하여 1996${\sim}$2005년간의 최근 10년간의 지하수함양량을 산정하였다. 지하수함양량 산정결과 연평균 1,183.8mm의 강우량에 대하여 연평균 지하수함양량이 291.8mm, 연평균 함양률이 24.7%로 나타났다. 계절별 연평균 함양량과 함양률을 산정한 결과 여름철에는 평균 679mm의 강우량이 발생하였으며 동기간의 평균 지하수함양량이 186mm, 평균 함양률이 27%로 나타났다. 겨울철에는 평균 56mm의 강우량이 발생하였으며 평균 지하수함양량은 6mm, 평균 지하수함양률이 10%로 나타났다. 따라서 강수에 의한 지하수함양량은 유역특성 뿐만 아니라 강수특성에도 많은 영향을 받고 계절적 요인도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밀양지역 지하수의 계절별 수위변동 특성

  • 김태형;정상용;강동환;이민희;권해우;유인걸;이승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233-236
    • /
    • 2003
  • 밀양지역 지하수의 계절별 수위변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500여개 공을 대상으로 총3회 측정하였다. 봄에서 늦가을까지의 시기별로 측정된 현장지하수위 자료를 이용하여 밀양시 전역의 충적층 및 암반 대수층의 지하수위 등치선도를 작성하였다. 지구통계기법을 이용하여 작성된 밀양지역의 지하수위 등치선도는 계절별로는 큰 변동이 없었으나, 충적대수층과 암반대수층에서의 지하수위 분포양상은 다르게 나타났다. 계절적인 지하수위 변동이 약한 것은 밀양지역의 지하구는 대부분이 농업용수로 이용되고 봄과 가을에는 용수 사용량이 비슷하며, 여름에는 강수량은 맑지만 농업용수의 사용량이 증가하여 함양량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대수층유형에 따른 지하수위는 암반대수층의 피압 정도와 충적 및 암반 지하수공들의 공간적인 분포 양상에 따라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