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절적 순환 특성

Search Result 9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stimation of material budget for Keum river estuary using a Box Model (BOX 모델을 이용한 금강 하구해역의 물질수지 산정)

  • Kim Jong-Gu;Kim Dong-Myung;Yang Jae-Sa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3 no.4
    • /
    • pp.76-90
    • /
    • 2000
  • The estimation of material cycle of pollutants is necessary for the environment management in coastal zone. Model for material budgets are useful tools to understand the phenomena of natural system and to provide an insight into the complex processes including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processes occuring in natural system. Budgets of fresh water, salt and nutrients were estimated in order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seasonal material cycle in Keum river estuary. Inflow volumes of freshwater into system was approximately 1.014×10/sup 8/~12.565×10/sup 8/m³/month and discharge in Keum river has occupied 99.7% of total freshwater. Seasonal variations of freshwater volume in the system were found to be very high in the range of about 4 ~ 14 times due to rainfall in summer season. Existing water mass of freshwater in system calculated by salt budget was approximately 0.339×10/sup 8/~0.652×10/sup 8/m³. Mean residence time of freshwater was calculated to be about 1.6~10.0day, and exchange time was calculated to be about 2.2~11.9day. Mean residence time was short as 1.6day in summer due to precipitation, and long as 10.1day in winter due to a drought. Inflow masses of DIP and DIN were approximately 5.57~32.68ton/month and 234.93~2,373.39ton/month, respectively. Seasonal inflow mass of DIP was larger than the outflow mass except for summer season. Thus, we postulate that accumulation of DIP in the system will happen. Residence times of DIP and DIN were calculated to be 1.1~6.4day and 1.8~10.9day, respectively. The ratio of water residence time versus DIP, DIN residence time was calculated to be 0.39~2.31 times and 0.83~1.13 times, respectively.

  • PDF

Analysis on Hydrometeorological Components over Asia under Global Warming (지구온난화에 따른 아시아 지역의 수문기상성분 분석)

  • Kim, Jeong-Bae;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27-327
    • /
    • 2022
  • 지구온난화로 전 세계는 기후위기에 직면해있다. 특히, 아시아의 경우 복사강제력과 대규모 대기순환인 몬순이 지역기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지리적 위치 및 계절에 따라 폭염, 홍수, 가뭄 등 다양한 기상이변 및 수재해 문제를 겪고 있다. 더욱이, 아시아 지역은 온난화가 심화됨에 따라 식량 및 물 안보위기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이와 직결되는 기후 및 수문특성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 기온상승 조건을 고려하여 아시아 지역의 기후특성을 전망하고, 수문모형(VIC)을 활용하여 수문전망을 수행하였다. 미래 기후전망을 위해 적정 CMIP6 기후모델과 공통사회경제경로(SSP5-8.5) 시나리오를 활용하였다. 시나리오로부터 산출된 기온자료 및 CPC (Climate Prediction Center) 전 지구 관측 기온자료를 활용하여 산업화 이전 대비 잠재적인 전지구 기온상승(1.5℃~5.0℃) 조건을 추정하였다. 통계적상세화 기법을 적용하여 아시아 지역에 대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상세화하고, 기후구분법을 적용하여 기후대를 구분하였다. 미래 기온상승 조건 하에서 아시아 지역의 기후특성을 전망하고 기후대의 분포변화를 분석하였다. 전 지구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지역별 기후특성이 변화하였으며, 이는 기온 및 강수량 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고 및 최저기온은 모든 기후대의 전 지역에서 상승하며, 이는 평균적으로 전 지구 평균 기온을 상회하였다. 강수량 및 강수일수는 대체로 증가하였으나, 기후특성에 따라 지역별 편차를 보였다. 기상성분의 변화로 기후대별 수문성분(증발산량, 유출량)은 대체로 증가하였으며, 극한 유출량의 변화경향은 모든 기후대에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지속적인 지구온난화는 아시아 지역의 수문순환은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되며, 기후대별 수문기상성분의 변화는 지역의 기후특성에 따라 편차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구온난화 조건별 아시아 지역의 미래 기후 및 수문기상성분 변화 특성은 기상 및 수자원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Habitat characteristics of exotic fish in Korean reservoirs (농업용 저수지 내 외래어종의 분포특성)

  • Son, Minwoo;Byun, Ji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12-512
    • /
    • 2016
  • 우리나라의 다양한 수계에서는 배스로 대표되는 외래어종의 유입에 따른 심각한 생태계 교란이 발생하고 있다. 외래어종은 활발한 먹이활동 및 영역다툼을 통해 우리나라 고유종의 섭취 및 경쟁 우위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이 많은 보도를 통해 발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외래어종 중 배스(Large mouth bass)에 초점을 두고 동계 및 춘계의 서식처 특성을 살펴본다. 다양한 수계 중 갇혀있는 시스템으로 간주할 수 있는 농업용 저수지에 초점을 맞추고 현장조사를 실시한다. 하지만 현장조사 중 일부는 강과 같이 열린 서식처 공간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배스가 동면을 하지 않는 대신 수온에 큰 영향을 받으며 저수온기의 서식활동을 지속한다는 가정 하에 수온과 배스가 활동하는 영역의 상관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국내 4개 지점 이상에서 이루어졌으며 수심 20 m 정도의 깊은 저수지에서부터 하수종말처리장에서 처리수가 유입되는 도시형 하천까지 포함한다. 이 중 수심 20 m 정도의 농업용 저수지에서는 7회 이상의 정밀 조사를 수행하여 수심별, 수온별 배스의 서식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집중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배스는 $1-2^{\circ}C$의 수온차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며 서식처를 형성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수온의 평면적 분포는 서식처의 형성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수온 안정기인 동계의 경우는 수온 종분포에 따라 군락을 형성하며 서식층을 결정한다는 점도 유추된다. 4월 중순 이후의 춘계는 배스의 산란기로 종확산에 큰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 이 시기 이후 하계에는 다시 부화한 개체가 독립적으로 서식처를 이동하는 또다른 종확산의 시기이다. 따라서 계절별에 따른 보다 면밀하고 지속적인 조사를 통해 4계절 순환에 따른 배스의 서식 특성 변화를 조사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PDF

Material Budgets in the Youngsan River Estuary with Simple Box Model (영산강 하구해역에서의 단순 박스모델에 의한 물질수지)

  • Lee, Kyeong-Sig;Jun, Su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2 no.4
    • /
    • pp.248-254
    • /
    • 2009
  • Budgets of fresh water, salt, DIP and DIN in the Youngsan river estuary were estimated seasonally in order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 cycling and flux of nutrients with a simple box model. Inflow volumes of freshwater into system was approximately $36.481{\times}10^6{\sim}663.634{\times}10^6m^3/month$ and existing water mass of freshwater in system calculated by salt budget was approximately $2.515{\times}10^6{\sim}5.812{\times}10^6m^3$. Mean residence time of freshwater was calculated to be about 0.26~2.03 day. water exchange $1,248{\times}10^6{\sim}9,489{\times}10^6m^3/month$ assumed with salinity between estuary and adjacent ocean. Inflow mass of DIN and DIN were approximately 76.63~1,149.91 ton/month and 2.91~61.22 ton/month, respectively. Residence times of DIP and DIN were calculated to be 0.45~1.10 day and 0.28~1.92 day, respectively. The ratio of water residence time versus DIP, DIN residence time was calculated that freshwater residence time was longer than DIP, DIN residence time except for summer season. Thus, We assume that circulation of Nutrients in the system will happen rapidly except for summer season. Specially DIP in Winter could assume to outer input source existence because of seawater inflow in system and high DIP concentration in open sea.

  • PDF

Seasonal Variation of Bacterial Community Composition in Sediments and Overlying Waters of the South East Sea (동해 남부 해역 퇴적물과 저층 해수 세균 군집 조성의 계절적 변화 연구)

  • Choi, Dong Han;Gim, Byeong-Mo;Choi, Tae Seob;Lee, Jung-Suk;Noh, Jae Hoon;Park, Young-Gyu;Kang, Seong-Gil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9 no.2
    • /
    • pp.147-154
    • /
    • 2014
  • Bacteria play an important role in biogeochemical cycles in marine environments and their functional attributes in ecosystems depend primarily on species composition. In this study, seasonal variation of bacterial diversity was investigated by pyrosequencing of 16S rDNA in surface sediment and overlying seawater collected in the south East Sea, planned for the site of $CO_2$ sequestration by the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project. Gammaproteobacteria was dominant in the sediment in most seasons, whereas Alphaproteobacteria was a most dominant group in the overlying water. Thus, the bacterial diversity greatly differ between sediment and seawater samples. On the genus level, bacterial diversity between two habitats was also different. However, the number of genera found over 5% were less than 10 in both habitats and the bacterial community was composed of a number of diverse minor or rare genera. Elevation of $CO_2$ concentration during a $CO_2$ storage process, could result in change of bacterial diversity. Thus, this study will be very useful to access the effect of $CO_2$ on bacterial diversity and to predict functional change of the ecosystem during the process of CCS project.

A Study on the Erosion and Retreat of Sea-Cliff through the Multi-temporal Aerial Photograph Data and Field Survey: The Case Study of Taean Peninsula, Korea (다중시기 항공사진과 현장조사를 통한 해안침식 변화 연구: 태안반도를 사례로)

  • WOO, Han-byol;JANG, Dong-Ho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7 no.4
    • /
    • pp.71-83
    • /
    • 2010
  • In this study, the volume of shoreline retreat at sea-cliffs in the Taean peninsula(West Coast of Korea) was estimated and their erosion and seasonal landforms characteristics changes were investigated through multi-temporal aerial photographs and field survey. Based on the analysis of aerial photographs through ortho-correc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length of shoreline and erosion area increase as erosion at sea-cliffs occurs in Pado-li and Dundu-li. To obtain the seasonal quantitative landforms changes and retreat of sea-cliffs, we marked top, middle, and bottom datum-points, from which the distance to the nearest bedrock was repeatedly measured. In these regions, the retreat of sea-cliffs gradually increases in spring to summer, but gradually decreases in autumn. In particular, the typhoon tha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Korean peninsula in July to September in summer would drastically increase the retreat of sea-cliffs in comparison with other seasons. As the outcrop of sea-cliffs repeats freezing and thawing in winter, the retreat of sea-cliffs increases a little due to active mechanical weathering. To know the erosion and seasonal landforms changes of sea-cliffs, we took pictures of them in every month and then analyze their condition. The retreat of sea-cliffs was repeatedly occurred by the circulation of the erosion of sea-cliff base, landslides, the formation of slope sediment debris and their erosion, in that order.

Analysis on Change in Water Resources Characteristics of Korean basins under Global Warming (전구기온 상승에 따른 국내 수자원 변화 특성 분석)

  • Kim, Jeong-Bae;Im, Eun-Soon;Heo, Jae-Yeong;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59-59
    • /
    • 2020
  • 온실가스 증가로 전구평균기온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구시스템 변화는 수자원의 시·공간적인 변동을 증대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보다 적극적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2015년 파리협정이 채택됨에 따라 전 세계에서는 온실가스 감축을 실천하고 있으며, 선진국에서는 산업화 이전 대비 1.5℃ 및 2.0℃ 전구기온상승에 따른 분야별 영향평가 및 적응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아직까지 전구기온 상승에 따른 수자원 영향평가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AR5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1.5℃ 및 2.0℃ 전구기온 상승으로 인한 국내 수자원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몬순특성을 고려하여 적정 5 GCMs을 선정하였으며, 시간샘플링 기법을 활용하여 1.5℃ 및 2.0℃ 전구기온 상승시기를 추정하였다. 통계적상세화 기법을 적용하여 상세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생산하고, 수문모형(VIC)에 적용하여 미래 수문변화를 전망하였다. 과거 대비 1.5℃, 2.0℃ 전구기온 상승에 따른 수문기상인자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연평균 강수량 및 유출량은 전구기온상승에 따라 증가하며, 계절별 변동성은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유출량의 변화는 강수량 변화경향과 대체로 일치하였으나, 강수량 대비 전망결과의 불확실성이 크게 나타났다. 한편, 수문순환은 전 지역에서 가속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모든 GCM의 전망결과에서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수문기상인자(강수량, 증발산량, 유출량)의 강도별 발생빈도 및 총량은 저강도 구간에서 감소, 고강도 구간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특성은 강수량 및 유출량의 극대값 증가에 기여하여 수자원 관리의 어려움을 가중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 PDF

Phonology and Morphometrics Change of Zostera caespitosa Miki Populations at the Duksan Port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동해 덕산항에 생육하는 포기거머리말(Zostera caespitosa Miki) 군집의 생물계절학과 형태 변이)

  • 이상룡;이성미;최청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0 no.4
    • /
    • pp.339-346
    • /
    • 2002
  • From March 1998 to August 2000, the phonology and morphometrics change of Zostera caespitosa Miki were examined at the Duksan Port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shoot height, leaf length, sheath length, leaf width, and number of leaf per shoot), size and number of reproductive structures (spathe, spadix, and seeds), shoot density, biomass and physiochemical parameters (water temperature and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onths (p < 0.05) existed for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except for sheath length. The sequence of shoot heights clearly showed cyclical annual variation with water temperature. Vegetative shoots of Z. caespitosa were present throughout the year, but reproductive shoots were rarely occurred from mid January to early April in water temperature of $9-12^\circ{C}$. Flowering in the spathe began in mid February, and seed maturing was occurred in early April. Water column nitrate and phosphate concentration showed seasonal variation, but ammonia concentration was variable with season. Relationships between shoot morphometrics and physiochemical parameter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but water temperature seemed to regulate the re-productive phase and annual life cycle. The mean shoot density and above biomass of the populations were $511.6\pm{25.6}\;shoots\;m^{-2}$ and $413.4\pm{19.8}\;g\;dry\;wt\;m^{-2}$, respectively.

Hydraulic Experiment on Roughness Coefficient of PE pipe (폴리에틸렌관의 조도계수에 관한 수리모형실험)

  • Dongwoo Ko;Byeong Wook Lee;Jae-Seon Yoon;Hyun-Gu S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88-288
    • /
    • 2023
  • 도로, 철도 등의 횡단통로, 오폐수관로, 지하배수관 등 연약지반에서 상재하중과 부등침하에 의한 파괴 위험을 줄이기 위해 구조적인 안전성과 내구성이 개선된 다양한 관로들이 활용되고 있다. 관은 매설특성에 따라 콘크리트관, 도관, 합성수지관, 덕타일 주철관, 파형강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과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 등의 종류로 구분된다(환경부, 2017). 수리설계 시 이러한 관의 단면 규모 결정 및 흐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관수로 유량측정에 이용되는 Manning의 경험식을 이용하고 있으며, 관로의 주요 재질에 따른 다양한 조도계수가 제시되어 있다. 새로운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된 관은 수리실험을 통해 조도계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조도계수 실험은 대규모의 실험시설과 유량공급이 요구되기 때문에 여러 한계가 있다. PE관의 경우, 미국의 ASTM 표준에 의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으로 분류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HDPE 재질의 서로 직경이 다른 다중벽관 PE관을 대상으로 조도계수를 결정하기 위한 현장 실규모 수리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식생, 수로의 불규칙성, 수로노선, 침전과 세굴, 장애물, 계절적 변화, 부유물질과 소류사는 무시되며 표면조도, 관의 크기와 형상, 수위와 유량이 조도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라고 할 수 있다. 수리실험은 실물모형(Prototype)으로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의 대형수리모형실험장에서 수행되었으며. 길이 24 m, 직경 150 mm의 PE 관은 고정식 개수로, 직경 800 mm의 관은 대형유사순환수로에 각각 설치되었다. 관로의 전면에 차폐막을 설치하여 상류부 수위를 안정시킨 상태에서 실험을 수행하였고, 차폐막으로부터 하류방향으로 약 7 m(측정기준지점), 11 m, 13 m, 15 m, 17 m 떨어진 곳에서 각각 수위와 유속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φ150관은 직경대비 수심이 클수록 조도계수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φ800관은 직경대비 수심의 변화에 따른 조도계수의 경향이 크게 드러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PE관의 조도계수는 수심별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정 수심을 지나면 조도계수가 다시 감소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hifts in the stage-discharge rating by vegetal growth on the control (식생의 영향에 의한 수위-유량관계곡선의 전이)

  • Shim, Eun-Jeung;Baek, Kyung-Ho;Lee, Jin-Wo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64-168
    • /
    • 2009
  • 우리나라 하천의 대부분은 다양한 수리학적, 형태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위-유량관계는 민감하게 변화한다. 그 중 하도구간에 서식하고 있는 식생의 영향은 우리가 쉽게 예측할 수 없는 통제 특성을 발생시킨다. 식생(Vegetation)은 서서히 혹은 빠르게 성장하고, 쉽게 변화하여 기간별로 혹은 주기별로 다른 양상의 수위-유량관계를 발생시키고 이는 레이팅 전이(Rating shift)로 이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식생의 영향에 의해 발생되는 수위-유량관계를 좀 더 명확하게 규명하고자, 영산강 수계 황룡강 중류부에 위치한 임곡 지점을 대상 지점으로 선정하고 주기적으로 유량측정을 실시하여 시기별, 측정성과별로 식생의 정도를 검토하고 그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하도 내에서 수중식물의 성장이 진행되면 흐름 저항의 정도가 변하게 되며, 이의 영향으로 유속 역시 변하게 된다. 식생(Vegetation)의 성장기에는 유속이 감소하여 유량이 작아지는 수위-유량관계의 일차적인 음의 전이가 발생하며, 식생의 성장이 극대화되는 8월에는 좀 더 큰 음의 전이가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식생에 의한 곡선의 전이(Rating Shift)는 영구적인 것이 아니라 계절별로 순환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기에, 식생의 영향이 소멸하기 시작하는 9월 이후에는 수위-유량관계가 식생의 영향이 없는 원래의 수위-유량관계로 다시 접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식생의 영향이 없는 수위-유량관계곡선(Original rating curve)을 개발하고 식생의 성장 및 영향의 정도에 따른 기간분리를 실시하여 전이된 수위-유량관계곡선(Shift curve)을 개발하였다. 아울러 전체적인 유출평가의 과정을 거쳐 개발된 곡선식의 적정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