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절성 지수

Search Result 21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the Depth of Frost Penetration in Korea (우리나라의 동결심도(凍結深度)에 관한 연구(研究))

  • Hong, Won Pyo;Kim, Myung Hwa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8 no.2
    • /
    • pp.147-154
    • /
    • 1988
  • Korea has the ground which freezes in winter and melts in warmer seasons by turns. Therefore, in designing civil-structures or buildings on such ground, the depth of seasonal frost penetratio must be considered. In this paper, approximate contours of the maximum depth of frost penetration in Korea is presented. It was found that the maximum depth of frost penetration did not have the linear relationship to square root of the freezing index. In order to establish more reliable method to estimate the maximum depth of frost penetration, a new empirical equation is introduced. In the presented equation, the dry unit weight and water content of soil are considered in addition to the freezing index. And the equation is compared with other previous equations used so far.

  • PDF

Applicability Analysis of Drought Index using Multi-temporal NDVI in Korean Peninsula (한반도의 다중시기 NDVI를 이용한 가뭄지수 적용성 분석)

  • 신수현;국민정;이규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203-208
    • /
    • 2004
  •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는 식생의 건강상태 및 농작물 생산량 추정등에 효과적인 식생지수로, 20년 이상 축적된 MOAA NDVI data의 경우, 식생의 시기적, 계절적 변화탐지가 가능해져 이를 바탕으로 한 가뭄지수들이 개발되어 가뭄 모니터링에 사용되어지고 있다 지난 2001년, 한반도는 기상관측 이래 90년만의 강수량 최저치를 기록하여 전국적인 대 가뭄의 피해를 입었으며, 특히 북한은 유엔이 선정한 가뭄에 가장 취약한 국가로 그로 인한 식량난이 더욱 악화되고 있어 가뭄에 대한 정보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94~2002년의 식물 생장기(growing season : 3~10월)동안 NDVI 10일 최대값 합성영상 (10-day maximum composite data)을 사용하여 남북한으로 나누어진 한반도를 대상으로 각각의 식생현황을 파악 및 비교하고, 산림, 농지, 도시지역별로 NDVI와 가뭄의 주원인인 강수량과의 상관관계로 그 효용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NDVI는 1~2개월 전 강수량의 영향이 가장 컸으며, 특히 농지지역에서의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 PDF

Air passenger demand forecasting for the Incheon airport using time series models (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인천공항 이용객 수요 예측)

  • Lee, Jihoon;Han, Hyerim;Yoon, Sangh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12
    • /
    • pp.87-95
    • /
    • 2020
  • The Incheon airport is a gateway to and from the Republic of Korea and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image of the count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dict the number of airport passengers in the long term in order to maintain the quality of service at the airport.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predictive performance of various time series models to predict the air passenger demand at Incheon Airport. From 2002 to 2019, passenger data include trend and seasonality. We considered the naive method, decomposition method, exponential smoothing method, SARIMA, PROPHET. In order to compare the capacity and number of passengers at Incheon Airport in the future, the short-term, mid-term, and long-term was forecasted by time series models. For the short-term forecast, the exponential smoothing model, which weighted the recent data, was excellent, and the number of annual users in 2020 will be about 73.5 million. For the medium-term forecast, the SARIMA model considering stationarity was excellent, and the annual number of air passengers in 2022 will be around 79.8 million. The PROPHET model was excellent for long-term prediction and the annual number of passengers is expected to be about 99.0 million in 2024.

The Effect of Seasonal Input on Predicting Groundwater Level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지하수위 예측과 계절효과 반영을 위한 입력치의 영향)

  • Kim, Incheol;Lee, Junhwa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5 no.3
    • /
    • pp.125-133
    • /
    • 2018
  •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is a powerful model to predict time series data and have been frequently adopted to predict groundwater level (GWL). Many researchers have also tri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ANN prediction for GWL in many ways. Dummies are usually used in ANN as input to reflect the seasonal effect on predicted results, which is necessary for improving the predicting performance of ANN. In this study, the effect of Dummy on the prediction performance was analyz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using several graphical method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erformance index. It was observed that results predicted using dummies for ANN model indicated worse performance than those without dummies.

Interrelation Analysis between ENSO Index and Hydrologic Variables (자료의 표준화를 통한 ENSO 지수와 수문변량의 상관관계분석)

  • Chu, Hyun-Jae;Kim, Tae-Woong;Lee, Jong-Kyu;Wi, Su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520-1524
    • /
    • 2006
  • ENSO(El $Ni\check{n}o$ Southern Oscillation)은 태평양상의 해양과 대기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의 일부이며, ENSO 순환(ENSO cycle)의 극한상태인 엘니뇨와 라니냐는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홍수와 가뭄 등 자연재해와 많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이 많은 연구를 통하여 알려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ENSO와 수문변량들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수문자료의 변동계수가 크기 때문에 이를 단순 표준화하여 해석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표준정규분포화를 통하여 ENSO와 우리나라 수문변량들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ENSO를 정량적으로 표준지수화하기 위하여 적도부근 남태평양 Tahiti섬과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Darwin 지역에서의 기압차를 월별로 표준화(standardization)한 SOI(Southern Oscillation Index)지수를 이용하였고, 수문자료를 정량적으로 표준지수화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23개 기상관측소의 월강수량, 12개 기상관측소의 월평균기온, 월최저기온, 월최고기온 자료를 이용하여 표준정규분포를 가지는 표준정규지수로 환산하였다. 환산된 자료의 계절적 영향을 파악하고자 3개월 단위로 구분하여, 초과확률 등을 이용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특정지역의 수문변동이 남방진동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수문기상학적 예측모형의 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Demersal Fish in Yongil Bay, East Coast of Korea (영일만 저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

  • Lee Tae Won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2 no.4
    • /
    • pp.512-519
    • /
    • 1999
  •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demersal fish in Yongil Bay were determined by analyzing samples collected using an otter trawl from January to October 1991. Of 59 species identified, Repomucenus lunatus, Tridentiger trigonocephalus, Repomucenus heguenini, Ammodytes personatus and Sillago japonica were dominated in abundance. Number of spiecies and biomass were low in winter and high in spring and summer. Species composition did not show spatial variation but showed seasonal variation. Number of spicies, abundance in number of individuals ($630 inds./10^3\;m^2$) and in biomass ($13,131g/10^3\;m^2$), and species diversity (2.00-2.54) of fish in Yongil Bay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astal waters in the Yellow Sea or in the South Sea of Korea.

  • PDF

Analyzing the impact of urbanization on vegetation growing season length using Google Earth Engine (Google Earth Engine 기반 도시화에 따른 식생 생장기간 변화)

  • Sohn, Soyoung;Kim, Jihyun;Kim, Ye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98-198
    • /
    • 2022
  • 최근 도시화에 따른 토지 피복 변화와 열섬현상 등의 원인으로 상승하는 도시의 기온이 식물 계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들이 다수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수도권인 서울과 경기도 지역을 대상으로 도시 내 열섬현상으로 인한 기온 상승과 도시 지역 내 식생 생장기간 변화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식물계절 모니터링에 사용한 개량식생지수(Enhanced Vegetation Index, EVI)는 Google Earth Engine (GEE)에서 제공하는 30 m 해상도의 2000-2021년 NASA-USGS Landsat 위성(TM5, ETM+7, OLI8)의 지표면 반사율(surface reflectance, SR) 자료에서 도출하여 생장기간 산정에 사용하였다. 또한 PRISM (Parameter-elevation Regressions on Independent Slopes Model)을 각 기상관측지점의 일별 지상 기온 자료에 적용하여 30 m 해상도로 생성한 격자형 지표면 온도의 공간적 패턴을 분석하였다. 연구 지역 내 도시화 정도(magnitude)를 도심으로부터의 거리와 환경부 토지피복도 및 인구 밀도를 종합하여 특정하였고, 최종적으로 기후변화 및 도시화 정도와 생장기간 변화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비선형 로지스틱 회귀를 사용하여 EVI 데이터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수도권 지역에서 전반적으로 식물계절 개엽일(Start of Season)은 앞당겨지며 낙엽일(End of Season, EOS)은 늦춰져 생장기간(Length of Growing Season, LOS)이 길어짐을 발견하였다.

  • PDF

Light Interception, Productive Structure and Production of the Phragmites communis Grassland in the Delta of Nakdong River (낙동강 삼각주에 있어서 갈대 초지의 광차단, 생산구조 및 생산성)

  • 장남기;강호감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
    • v.8 no.1
    • /
    • pp.19-24
    • /
    • 1994
  • 낙동강 삼각주에 있는 Phragmites communis 초지에서 광차단과 흡수, 생산구조의 계절적 변화, 생산성 현존량을 1982, 1983 그리고 1993년에 각각 조사했다. 황충화된 수피를 통과하는 빛은 S자형으로 감소한다. 한 식물의 누층적 앞면적은, 그 시기의 수피의 잎면적 생장과 같다. 잎 면적이 log식에 따라 자랄 때, 잎면적의 수직적 누층은 일반적인 역동식에 의해 계산된다. 잎면적의 최대생장률에서의 광차단식은 식(1)에 의해 생산구조는 윗부분은 광합성계에 의해, 아래부분은 비광합성계에 의해 차지되어진다. 그러므로, 광차 단의 패턴은 S자형에서 지수함수적 패턴으로 변하게 된다. P.communis의 지상부 현존량은 $3,3660g/m^2$이상이었고, 순 생산성은 $142g/m^2$이었다. 갈초지대의 년중 순 생산은 각각 4.10,4.25,$4.47kg/m^2$/year 이었고, 촤대면적 지수는 각각 4.10.3,11.0,10.4이엇다. 이 결과는 일만초지보다 매우 높은 값이었다.

  • PDF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Sea Surface Temperature of East Asia and Precipitation in South Korea using Multi-Channel Singular Spectrum Analysis (M-SSA를 이용한 동아시아 해수면 온도와 우리나라 강수량의 변화 상관분석)

  • Kim, Gwang-Seob;Park, Chan-Hee;HwangBo, Jung-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117-1120
    • /
    • 2009
  • 최근 이상기후와 같은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강수 등의 변화는 안정적인 수자원 확보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고 수자원을 필요로 하는 사회 모든 분야에 있어 큰 영향을 끼친다. 특히 농업, 공업, 도시의 용수 공급에 있어 변화는 더욱 심해질 것으로 판단되며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강수 등의 변화의 정확한 분석이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해수면 온도와 우리나라 강수량에 대한 MSSA (Multi-channel Singular Spectrum Analysis)를 실시함으로 두 시계열 사이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변화, 즉 특정 상관 주기 변동을 분석함으로 두 변수 사이에 변화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리나라 강수량 자료로는 현재 기상청에서 운영 중인 지상 기상관측소 76개소 중 가용관측소 61개소 자료에 대하여 1973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의 자료를 수집하여 월 평균값을 사용하였고 동아시아 해수면 온도 자료로는 한반도 근해 해수면 온도 변화, 남중국해 해수면 온도 변화, 인도양 해수면 온도 변화, 적도 해수면 온도 변화 등을 선택하여 관측시점부터 2008년 12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여 사용하였다. 분석 자료에 대해 선형 회귀분석을 통한 선형추세 제거와 정규화한 자료를 사용하여 각각의 지수에 대해 MSSA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window length는 Vautard 등(1992)이 제시한 N/5$^{\sim}$N/3의 값인 108의 값을 사용하였고 이때 각각의 고유치는 전체 공분산에 대한 각 요소의 비율을 설명한다. 상관분석 결과는 각 지수와 강수자료 사이에 높은 상관성을 가지는 장단주기 변화가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월강수자료의 전체 변화는 계절변화를 제외하고도 장단 주기를 가지는 시간변화가 자료 전체 변화의 절반에 해당하며 장주기 변화가 나타내는 부분이 미미하다. 이는 계절 주기를 제외한 자료들 사이의 상관변화가 설명할 수 있는 부분이 미미 하며 여러 기상지수들과 국내 강수량사이의 MSSA 분석을 통하여 제시 할 수 있는 변화의 정량적 정도가 매우 제한됨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접근을 통하여 강수 변화의 불확실성을 줄여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PDF

Bioecological Study of the Upwelling Area Around Cheju Island - Community structure of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at the Rocky Intertidal Zone of Chagwi-do, Cheju Island - (제주도 주변 요승역의 생물생태학적 기초연구 - 차귀도 조간대에 분포하는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 -)

  • 이정재;현재민;김종철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11 no.1
    • /
    • pp.1-20
    • /
    • 1995
  • 1993년 7월부터 1994년 5월까지 제주도 차귀도 4개 지점 조간대의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의 분포와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차귀도 조간대에 분포하는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9문, 17강, 35목, 75과, 146종이었다.2. 계절별 출현종수는 춘계에 124종, 하계 113종, 추계 99종, 동계에 86종이었다.3. 조간대 상부구역의 제1우점종은 좁쌀무늬총알고둥(N. exigua), 제2우점은 거북선(P. mitalla). (N.japonica),울타리고둥(M. labio), 중부구역은 배무래기(N. schrenkii), 밤고둥(C. argyrostoma lischkei), 울타리고둥, 깜장각시고둥(M. perplexa), 검은따개비(T. squamosa japonica)가 지점에 따라 제1, 제2우점종을 이루었다. 하부구역은 밤고둥, 검은따개비, 줄군부 (L. coreanica), 거북손, 굵은줄격판담치(S. virgatus)가 지점에 따라 우점하였으며, 상부구역 우점종의 군집우점지수는 매우 높았다.4. 조간대 하부구역의 종다양성은 상부구역이나 중부구역에 비하여 컸고 계절별 출현종수에 유의성이 있었으나 상부구역이나 중부구역에는 없었다.5. 종다양도지수와 균등도에는 상. 중. 하 구역별유의성은 없었고 풍부도에서는 상부구역에서 유의하였다.6. 제주 미기록종으로 부채넓적이끼벌레(D. su-bovoidea), 딱지조개(P. japonica), 목주림고둥(T. guerinii), 전촉수갯지렁이(A. validus), 바다거미(L. hilgendorfi)가 채집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