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계율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미얀마 승단의 계율 (1752-1819년) (The Duties of the Buddhist Order in Myanmar (1752-1819))

  • 킨띠다
    • 수완나부미
    • /
    • 제4권1호
    • /
    • pp.45-56
    • /
    • 2012
  • 불교 종단에 속한 사람들은 세 가지 지켜야 할 계율이 있다. 즉, 붓다의 가르침을 배우고(Pariyatti), 붓다의 가르침대로 열반으로 가는 길을 수행하고(Patipatti), 붓다의 가르침, 즉 자하나(jahana, 제거함), 막가(magga, 道), 팔라(phala, 果), 닙바나(Nibbana, 열반)의 완수를 실현하는 것(Pativeda)이다. 초기 꽁바웅(Konbaung) 시대의 승려들은 붓다의 가르침을 공부하고, 실행하기 위해 승원에서 살았다. 더 나아가 반드시 계율을 지켜야 했으며 승려가 행할 규칙을 지켜야 했다. 이 글은 붓다의 가르침을 배우고 연구하는 방법, 열반으로 가는 방법을 실현하는 방법, 그리고 실행의 결과와 붓다의 가르침을 실현한 승려들에 대해 고찰하였다.

  • PDF

섹스의 양념 ,성적 환상

  • 정정만
    • 과학과기술
    • /
    • 제31권3호통권346호
    • /
    • pp.88-89
    • /
    • 1998
  • 환상이란 현실생활의 단조로움이나 좌절을 극복하고 실생활의 한계를 뛰어넘어 인간이 꿈구는 무한대의 미지세계로 안내해주는 역할을 한다. 우리가 성적 환상을 통해 고품질의 성적교류를 나누고 이것을 통해 부부간의 인연을 굳게 다질 수만 있다면 오히려 1가구 1주택의 계율을 강요하는 하느님의 의도에 합치되는 일 아닌가?

  • PDF

이스라엘의 음주문화와 음주문제 대책

  • 조성기
    • 주류산업
    • /
    • 제24권1호
    • /
    • pp.49-61
    • /
    • 2004
  • 카톨릭의 성당은 음주에 대해 허용적이고 기독교의 교회는 음주를 금하고 있다는 것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일반적인 생각이다. 보통 사람들은 "계율은 하나일진데 뿌리가 하나인 종교에서 술에 대한 입장이 다른 것으로 비춰지는 것은 왜일까?"라는 의문을 가지게 된다. 그렇다면 하나님 신앙의 원조인 이스라엘을 방문하여 그 모습을 알아보고 싶은 충동을 느낄 것이다. (중략)

  • PDF

불교의 사생관과 생명윤리 - 사신(捨身)과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 윤종갑
    • 철학연구
    • /
    • 제105권
    • /
    • pp.27-47
    • /
    • 2008
  • 불살생계를 제1계율로 내세우는 불교는 기본적으로 생명을 해치는 그 어떠한 행위도 용납하지 않는다. 따라서 원칙적인 입장에서는 사신(捨身) 행위에 해당하는 뇌사와 장기이식 등에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한다. 그러나 현실적인 측면[적용의 융통주의]을 고려하면서도 본질적인 측면[원칙주의]을 간과하지 않는 불교의 자비와 중도주의적인 입장에 따른다면, 특수한 경우에 한해서 뇌사와 장기이식을 고려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불교는 뇌사와 장기이식을 기본적으로 인정하지는 않지만, 자비의 원칙에 따라 어떤 상황에서는 엄격한 규제를 통한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뇌사와 장기이식을 허용할 수도 있다는 중도적인 입장을 취한다고 할 수 있다.

한국승복 염색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ditional Dyeing of Korean buddhist Monk′s Robe)

  • 차금주;정옥임
    • 복식
    • /
    • 제50권5호
    • /
    • pp.131-142
    • /
    • 2000
  • The philological consideration of Korean Buddhist Monk's robe and its reviving have been investigated in traditional way. The configuration and colour of Korean Buddhist monk's robes have been properly adapted for an period, territory, and atmospheric phenomena. In case of Korea, introduced Buddhism from China realize modern robe from under the influence of fusion of Chinese ornament culture and Korean traditional ornament culture. As a result of this modern robe has been consisted of a Buddhist monk's robe and a cope. The modem robes has been significantly affected by industrialization, contrary to ancient time taxed robes as public imposts. At present be familiar in mass production we have a preference for the easier way in making and even color forming. In this paper it is focused on dyeing part, which recognized its important in latest time, at first declined according to appearance of chemical dye, evaluated its convenience in use. That is, it is increased natural dye, people begin with recognition of difference of physical properties for dress dyed with chemical pigment and that with natural pigment. In consequence, I have presented that both making colour of gray using traditional method, and three demolished-color prescribed by Buddhist law. Of course, though it become generally know that dyeing of robes occupied significant part of traditional natural dyeing. But in case of religion, it also is important to know symbolical meaning involved in its colour. Most of Buddhism-believers or even Buddhists who actually be dress in robe are without knowing the meaning of colour, or its revealing method. There, I have considered mating three colour of demolished- color included blue, black, and red, and also represented dyeing method of Buddhist monk's robe using both charcoal and ink-spick. From religious font of view, as robes contains involving of blessing, I have an intention of improvement way in dyeing and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e through consideration of traditional dyeing method. And I have also intended to restoration the value of robe's colour, disappeared by the time. moreover, I have shown that dyeing with natural pigment is profitable for both environment and sanitary aspect.

  • PDF

남전 율장의 가사 계율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Kasaya Rule of Southern Vinaya-Pitaka)

  • 박일록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4
    • /
    • 2000
  • This paper is on the Kasaya that reveals conspicuously the religious meaning among the Korean Buddhist costumes. The Kasaya has the most special meaning among Korean costume culture. It has the most important historical value, for Buddhism is the oldest religion that begins at 4th century A.D.. It has the most unordinary shape that we could not find any other costume culture. It has very important meaning to study on the Kasaya in the religious and cultural history of Korean costume. We have to study Korean Kasaya from surveying Indian Buddhist Kasaya diachronicaly. Buddha establishes himself the rules of weaving, coloring and wearing Kasaya. Bunso costume(분소의)is the first shape of Kasaya that he has worn during his ascetic practice. Bunso costume was a kind of shari. It is made with diapers those clean ordure of baby It symbolizes the life of ascetic practice. However Buddha could not stick to it as the only costume of monks. From his age Buddhist devotees have thought Buddha and monks as sacred beings. So they eagerly want to Provide the sacred beings with foods. clothes and other things that samgha(승가) need to live and accomplish their duties. At that time there are many kings, aristocracies and rich merchants among the devotees. They often offered them the luxurious silk Kasaya. that the ascetic monks could not wear. to express their deep faith. So the rules of the samgha has been distorted. The samgha has enlarged day by day as a great huge religious association. There are many different shapes of Kasaya. The Buddhist samgha need to establish a minute and rigid rules of Kasaya to order living of monks and to teach the moral and educational life to ordinary people. That book of rule is Vinaya pitaka(율장) . There are many kinds of Vinaya pitaka. This paper surveys the rules of Kasaya from Southern Vinaya pitaka(남전율장). This study will be the basic ground to research the Korean Buddhist Kasaya.

  • PDF

김천 청암사에 수용된 유·불·선 삼교 통섭(統攝)의 의미경관 (The Meaning Landscape of the Three Religion Consilience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Embraced in Cheongamsa Temple, Gimcheon)

  • 노재현;김화옥;박율진;김영숙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7-67
    • /
    • 2017
  • 지명 고찰, 사찰팔경의 의미 분석 그리고 바위글씨의 지시내용과 성격 분류 등을 토대로, 한국 문화 DNA의 하나인 유불선 삼교통섭의 의미경관이 김천 청암사 경역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인식되며 표출되고 있는 지를 확인할 목적으로 시도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암사가 위치한 곳은 조선 중기 대표적 유자(孺子)인 한강(寒岡) 정구(鄭逑, 1543~1620)가 경영한 무흘구곡의 상류부로서, 일제강점기 청암사 주지 벽암(碧庵) 이덕진(李德珍, 1896~?)이 제영한 청암사팔경의 대상과도 중복된다. 청암사를 품은 배후 산의 산명(山名)인 불령산(佛靈山)을 비롯하여 수도산(修道山), 선령산(仙靈山)과 신선대(神仙臺) 등의 지명 병용(倂用)과 청암사원(靑巖寺院), 청암사팔경, 불령동천(佛靈洞天), 나무아미타불[南無阿漏隋佛], 호계(虎溪), 여산폭포(廬山瀑布), 세진암(洗塵巖) 등 다양한 속성의 바위글씨는 사찰영역에 혼재된 유교와 선교의 공존을 보여준다. 특히 청암사 계곡 호계와 경내 조성된 삼소천(三笑泉)은 중국 장시성의 여산동림사에서 비롯된 호계삼소(虎溪三笑)의 고사를 통한 유불선 3교 회통의 상징 경물로 구현되고 있다. 또한 청암사에는 신(神)과의 교섭이란 숭고한 장소성을 보이는 여산폭포와 이를 각자(刻字)한 바위글씨 그리고 여산교(廬山橋)가 존재한다. 이와 같이 청암사에는 불교적 배타성에서 벗어나 삼교 화합과 공존을 상징하는 호계삼소의 정신을 담은 유불선 통섭의 문화가 다양한 층위(層位)로 녹아있다. 더욱이 승가(僧家)의 실천내용으로 알려진 '육화경법(六和敬法)' 중 제3계율인 "자기주장만 내세우고 남의 주장을 무시하지 마라"라는 '의화동사(意和同事)'의 교리는 호계삼소의 정신과 맞닿아 있다. 호계삼소와 구곡동천(九曲洞天) 및 팔경(八景)의 문화경관으로 채색된 김천 청암사는 도불(道佛) 뿐만 아니라 유불(儒彿) 더 나아가서 삼교(三敎) 수용의 문화가 녹아있는 유불선 통섭의 명소로 부족함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