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산효율성

Search Result 2,53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Group Key Agreement Protocol Considering Computational Efficiency of Mobile Devices for Integrated Wired/Wireless Networks (무선 단말기의 계산 효율성을 고려한 유.무선 통합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그룹 키 동의 프로토콜)

  • Chang Woo-Suk;Kim Hyun-Jue;Nam Jung-Hyun;Cho Seok-Hyang;Won Dong-Ho;Kim Seong-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6.06a
    • /
    • pp.322-325
    • /
    • 2006
  • 그룹 키 동의 프로토콜에 관한 연구는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한 관점에서 진행되어왔으며, 최근 Nam 등이 유 무선 통합 네트워크 환경에서 효율적이면서도 안전한 그룹 키 동의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유 무선 통합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그룹 키 동의 프로토콜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고성능 연산 능력을 가진 유선 단말기의 특성과 상대적으로 계산능력이 떨어지는 무선 단말기의 특성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시스템자원의 제한성을 갖는 무선 단말기에서의 계산량을 최소화하는 문제는 그룹 키 동의 프로토콜 설계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무선 단말기의 계산량을 최소화하면서 유 무선 통합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효율적인 그룹 키 동의 프로토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Unified State Model(USM)을 이용한 정밀 궤도 계산

  • Song, Yong-Jun;Baek, Seul-Min;Kim, Gap-Seo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60.2-160.2
    • /
    • 2012
  • Unified State Model(이후 USM)은 Altman(1972)에 의해 처음 제안된 이후 Chodas(1981), Raol & Sinha(1985), Vittaldev et al.(2012) 등을 거치며 연구 발전되어 왔다. 이 모델은 공간상 6개 성분의 위치, 속도 벡터를 이용해 위성의 운동을 기술하는 기존 계산 방법과 달리 4개의 Quaternion 변수를 도입하여 위성의 위치를, 3개의 Hodograph 변수를 도입하여 위성의 속도를 각각 기술한다. USM의 장점은 직교좌표계로 표현된 위성의 위치, 속도 변수에 비해 USM 변수의 변화량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수치 계산 시 계산의 안정도가 높다. 또한 원궤도(${\omega}$ : undefined)와 적도면 궤도(i = 0, ${\Omega}$ : undefined) 계산 시에 나타나는 특이성(singularity)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USM 계산방법과 기존 방법에 의한 위성궤도 계산결과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지구궤도 위성의 정밀계산을 위해 이체항 이외에 지구타원체 섭동항과 대기 항력에 의한 섭동항을 추가 적용하였다. 비구형 지구 중력 포텐셜에 의한 섭동은 J4항까지 고려하였으며, 대기 항력은 간단한 exponential 모델을 적용하였다. 또한 수치계산 시 적분 간격과 정밀도 차수를 조절하여 각 모델의 계산 안정성을 테스트하였다. 본 연구의 궤도계산 결과 USM 모델을 이용한 계산방법은 그 정밀성과 계산효율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 PDF

An Efficient Dempster-Shafer Evidence Combination Scheme for Uncertainty Handling (불확실성 처리를 위한 효율적 뎀스터 쉐이퍼 증거병합 방법)

  • Lee, Gye-Seong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3 no.4
    • /
    • pp.908-914
    • /
    • 1996
  • A number of techniques have been studied for handling uncertainty in the development of expert systems. One of techniques adopted in many expert systems is the Dumpster-Shafer Evidence combination scheme. This has been the main focus among others due to is favorable features and computational complexity. In this paper, we develop and algorithm to deal with the exponential complexity inherent in Dempster-Shafer evidence combination. In the evidence combination process, we divide the frame of discernment into two groups, one for those common in both belief functions and the other for the rest. A property is found that in computing new belief function for the latter group, the result of evidence combination show linear change. The irrelevancy factor is derived and used to compute the change. The main idea of the method is to reduce the size of the frame of discernment and thus exponential complexity.

  • PDF

Extended Graph-Based Heuristics for Optimal Planning (최적 계획수립을 위한 확장된 그래프 기반의 휴리스틱)

  • Kim, Hyun-Sik;Kim, I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a
    • /
    • pp.294-297
    • /
    • 2011
  • 주어진 계획 문제로부터 휴리스틱을 이용하여 최적의 해 계획을 구하기 위해서는 허용 가능한 휴리스틱을 이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허용 가능한 휴리스틱은 실제 목표 도달거리보다 짧거나 같아야 하는데 휴리스틱 평가치가 실제 목표 도달거리에 가까울수록 계획생성을 위한 탐색 효율성이 높아진다. 하지만, 이러한 허용 가능한 휴리스틱 평가치를 구하는 과정은 매우 복잡하며 계산량이 많기 때문에 실제 계획 생성 과정에서 사용하기는 어렵다. 때문에 최대 휴리스틱과 같은 허용성을 만족하는 간단한 휴리스틱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최적의 계획 결과를 얻을 수는 있지만, 탐색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존의 계획그래프를 개선한 새로운 계획그래프인 확장된 계획그래프(EPG)를 이용한 MAX+ 휴리스틱 계산법을 소개한다. 확장된 계획그래프는 계획 문제 풀이를 위한 휴리스틱 계산에 이용되는 기존의 간략화된 계획그래프를 목표조건들 간의 상호작용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확장한 자료구조로써 목표조건들 간의 긍정적/부정적 상호작용을 찾는다. 이를 위해서 모든 목표조건들이 등장할 때까지 그래프를 전개하는 기본 전개 과정과 함께, 이 과정에서 발견된 동작과 목표 조건들과의 관계를 바탕으로 한 추가 전개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 과정을 통해서 목표조건들간의 상호작용과 최단 거리를 구하게 된다. MAX+ 휴리스틱 계산에서는 이러한 목표조건들 간의 긍정적/부정적 상호작용의 존재 유무를 찾아내게 됨으로써 전체 목표 집합에 대한 보다 정확한 최소 도달거리에 대한 평가치를 찾게 된다. 따라서 MAX+ 휴리스틱은 기존의 최대 휴리스틱 보다 더 정보력 높은 휴리스틱을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MAX+ 휴리스틱의 계산 과정과 MAX+ 휴리스틱의 정확성과 이를 바탕으로 한 탐색 효율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적 분석에 대해 설명한다.

A Comparison of Estimation Procedures in a Nested Error Components Regression Model (내포오차성분을 가정한 패널회귀모형에서 추정량의 효율에 관한 비교)

  • 송석헌;전명식;정병철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3 no.1
    • /
    • pp.55-70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내포오차성분을 가지는 패널회귀모형에서 회귀계수에 대하여 다양한 추정량들을 유도하고, 추정량들의 효율성을 모의실험을 통하여 평균제곱오차의 기준에서 비교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제안된 FGLS 추정량들은 GLS추정량과 효율성에서 서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계산상 더욱 복잡한 ML, REML 추정량 및 MIVQUE와 거의 비슷한 효율성을 보여주었다.

  • PDF

A Study on efficiency of Semi-permeability Floating Breakwater (반투과성 부유 소파구조물의 소파 효율에 관한 연구)

  • Park, Ro-Sik;Kwak, Su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mmittee for Ocean Resources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2.10a
    • /
    • pp.197-201
    • /
    • 2002
  • 양식장 해양 레져, 항구 등에서 Calm Sea Area을 필요로 한다. 착저식은 소파효율은 좋으나 해수순환을 방해하여 환경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설치비용이나 설치 해역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부유식 소파구조물을 채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몇 가지 소파공의 크기를 가지는 반 투과성 부유 소파구조물을 무한수심에서 유체역학적 특성과 소파효율을 계산하였다. 산란문제와 발산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형 포텐셜이론을 사용하여 구조물의 유체역학적 특성을 계산하였다. 적절한 소파공의 크기를 결정함에 따라 소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Pairwise testing method applying the Weight Point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skiing posture similarity measurement (스키 자세 유사도 측정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Weight Point를 적용한 Pairwise testing 방법)

  • Kim, chong-han;Park, jun-hyung;Jung, seung-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31-332
    • /
    • 2015
  • 스키 입문자의 경우 부상 등에 따른 두려움을 느끼거나 부정확한 자세가 익숙해져 바로잡기가 힘든 경우가 발생한다. 스키 트레이닝 시뮬레이터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스키 선수의 정확한 자세를 바탕으로 정확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키 선수의 자세와 시뮬레이터 사용자의 자세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향상하기 위해 특정 센서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이들의 좌표값을 받아 계산하는 Pairwise testing 기법을 적용한다. 이는 센서간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계산하여 두 자세의 유사도를 검출하는데 있어 비교 테스트 케이스를 감소시켜 유사도 측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 PDF

Adaptive Reference Picture Selection Method using Motion Information in H.264 (움직임 정보를 이용한 H.264에서의 적응적 참조 화면 선택 기법)

  • Gwon, Hyeok-Min;Choe, Yun-Si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11b
    • /
    • pp.343-34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최신 동영상 압축 표준 규격 H.264에서 화면 간 예측 부호화시 참조 화면 수가 제한되어 있을 때 부호화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적웅적 참조 화면 선택 기법을 제안하였다. 참조 화면 선택 시 시간적인 거리를 우선시 하는 현재 방식은 부호화 효율 측면에서 최적의 선택과는 거리가 있다. 따라서 참조 화면 선택에 있어서 실시간 온라인 상황을 가정하고 부가적인 계산을 최소화하는 것을 조건으로 했을 때 대표 화면과의 간접 비교를 통하여 현재 참조 화면들 간 상호 유사성이 가장 큰 화면을 제외하는 방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화면 간 예측 부호화 시 참조 화면 간 중복되는 요소를 최대한 줄이는 방향으로 참조 화면을 선택해 나감으로서 참조되는 샘플들을 다양화할 수 있다. 참조 화면 간 상호 유사성 판별은 대표 화면과 각 참조 화면 간 움직임 정보를 고려해 화면 간 부호화시 계산되는 8*8 블록의 R-D 비용함수 값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의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을 이용한 참조 화면 선택 방법에 비해 부가적인 계산이 거의 없이 부호화 효율의 개선이 있었으며 그 개선 정도는 기존의 방식에서 참조 화면을 $1{\sim}2$장 더 사용한 결과와 같았다. 이는 기존의 방법에 의해 참조 화면을 선택할 경우 나타나는 참조 화면 간 중복성을 줄였기 때문이다.

  • PDF

An Algorithm for Joint Reliability Importance in Networks

  • Jang, Gyu-Beom;Park, Dong-Ho;Lee, Se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29-132
    • /
    • 2002
  • 네트워크를 설계하거나 평가하는데 있어 중요한 문제 중 하나는 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요소들간의 상대적 중요도(importance)에 관한 문제이다. 이런 중요도를 나타내는 여러 가지 측도들 중 하나인 Joint Reliability Importance(JRI)는 Hong & Lie(1993)에 의해 소개되었으며, 네 가지 파생된 서브그래프의 신뢰성을 구하여 JRI를 계산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minimal path set을 이용하여 파생되는 서브 그래프 신뢰성 계산에서의 중복되는 계산과정을 줄임으로써 JRI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역투시 변환을 이용한 스테레오 비젼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조용철;조형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10a
    • /
    • pp.209-213
    • /
    • 2001
  • 본 논문에서 계산구현 방법이 간단하고, 물체에 대한 정보 획득 측면에서 효율성을 기할 수 있는 스테레오 비전 알고리즘이 제시된다. 이는 공간을 미리 계획된 다단 평면상에 놓이는 물체점들을 역투시 변환에 의한 영상의 재투영 과정과 영상면 상관법에 의해서 평면상의 정보를 순차적으로 구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이동로보트의 장애물 감지작업에 적용하여 그 효율성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