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계미자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3초

객원기자코너-계미자 주조 600주년

  • 황정하
    • 프린팅코리아
    • /
    • 통권9호
    • /
    • pp.164-165
    • /
    • 2003
  • 올해는 계미년으로 인쇄인들에게는 뜻 깊은 해이다. 왜냐하면 1392년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고, 3대 태종 이방원(1401-1418)이 왕이 된 후 3년만인 1403년(조선 태종3, 계미년)에 주자소를 설치하고, 금속활자를 만든 것이 '계미자'로 올해가 600주년이 되는 해이기 때문이다.

  • PDF

계미자본(癸未字本) 『사시찬요(四時纂要)』의 서지적(書誌的) 연구(硏究) (An Bibliographic Analysis on the Gyemi Metal Type Sasichanyo)

  • 남권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5-58
    • /
    • 2018
  • 본 연구의 대상본인 계미자본 "사시찬요(四時纂要)"는 조선 초기 주자소(鑄字所)에서 태종(太宗)의 명에 의하여, 주조(鑄造)된 활자인 계미자(癸未字)(1403-1420)를 이용하여 인출 및 간행된 농서(農書)이다. 이제까지 동북아에서 알려진 "사시찬요(四時纂要)"의 판본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간행본이며 본문의 내용은 월령식(月令式) 농가잡록(農家雜錄)이 수록되어 있고, 그 주제는 '농업', '농 부산품 가공', '의약 위생', '기구수리 보관', '상업 경영' 등이다. 구체적으로는 "사시찬요(四時纂要)"를 소개하고 분석하여 그 가치와 의미를 파악한 후에 나아가 판본간의 비교, 계미자 소자(小字)의 자형(字形), 조판기술(組版技術)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으며 특히 책의 인면(印面)을 중심으로 글자를 소자(小字), 특소자(特小字), 극소자(極小字)로 구분하여 그 기능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아동 수행 결과에 대한 부모-자녀 정서 반응 비교 문화 연구 - 컴퓨터 행동관찰 분석기법 활용 -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Parent-child Emotional Reactions to Task Results Using a Computer-based Observational Assessment)

  • 남은영
    • 아동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225-243
    • /
    • 2008
  • 본 연구는 아동의 학습 과제 수행 이후에 보이는 부모와 아동의 정서적 반응이 문화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한국계 이민자 가정과 백인가정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미국 서북부 시애틀 지역의 8에서 9세 사이의 자녀를 둔 31 한국계 가정과 31백인 가정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를 위해 각 가정을 방문하였고 각 가정의 부모와 아동의 정서 반응을 비디오로 촬영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컴퓨터를 이용한 초 단위 행동 분석 결과 아동이 과제에 실패했을 때 한국계 어머니들과 아동들의 긴장과 불안 행동이 미국 백인 어머니들과 아동들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아동의 과제 실패시, 어머니들의 부정적인 정서표현도 한국계 이민자 가정에서 더 많이 표출되었다. 아동들이 과제에 성공했을 때는 미국 백인 어머니들과 아동들이 좀 더 긍정적인 정서 반응을 많이 하였고 특히 백인 어머니들이 적극적 칭찬 등의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었다. 흥미 있게 아동들의 과제 성공 후에도 한국계 이민자 가정의 어머니들이 부정적인 정서 표출이 더 많았다. 자녀의 성에 따른 상호작용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한국계 이민자 가정에서는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고 미국 백인 가정의 부모들이 남자아이들에게 더 긍정적인 정서 표현을 보였다.

  • PDF

조선왕실 주조 청동활자의 복원과 과학적 분석 (Restoration and Scientific Analysis of Casting Bronze Type in Joseon Dynasty)

  • 윤용현;조남철;이승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07-217
    • /
    • 2009
  • 임진왜란 이전의 청동활자인 계미자, 경자자, 을해자 등 10종을 복원하기 위하여 계축자인 동국여지승람의 복원 활자를 통하여 주조할 당시의 합금비율, 주조방법과 각 주조 단계 별 미세조직 변화를 관찰하였다. 청동활자의 평균 조성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을해자의 평균 성분조성(Cu: 86.7%, Sn: 9.7%, Pb: 2.3% 등)을 기준으로 하여 구리와 주석, 납의 합금 비율을 구리 87%, 주석 15%, 납 8%로 정하였다. 주요 금속활자를 복원하기 전에 모합금을 제작한 후 다시 모합금을 용융하여 활자를 복원하였다. 1차로 복원한 계축자의 성분조성은 Cu 85.81~87.63%, Sn 9.27~10.51%, Pb 3.05~3.19%의 범위를 보였다. 2차로 복원한 계축자는 1차 주조 후 남은 가지쇠를 용융하여 주조한 것으로서 성분조성은 Cu 87.21~88.09%, Sn 9.06~9.36%, Pb 2.80~3.05%의 범위를 보여주고 있다. 이 결과는 1차로 복원한 활자에 비하여 주석과 납의 함량이 소량 감소하였으나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을해자의 평균조성과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복원한 계축자의 미세조직을 관찰한 결과 청동의 전형적인 주조조직인 수지상(dendrite)조직이 잘 발달해 있으며, 납편석물들이 조직 내에 산재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1차 주조 후 관찰한 미세조직과 남은 가지쇠를 용융하여 2차로 활자를 제작한 후 미세조직을 비교한 결과 1차로 주조한 것에 비하여 2차로 주조한 것이 일부 공석상 영역이 감소한 것으로 보이나 조직별 차이점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조선왕실 금속활자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복원 실험을 통해 활자 주조방법의 기준 및 합금조성의 비율 등을 제시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활자 복원 연구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