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계량서지학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37초

국내 대학도서관 연구성과 서비스 개발 및 운영 모형 연구 (A Model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Research Evaluation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in Korea)

  • 김수정;이재윤;이지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87-30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연구성과 서비스의 도입, 성장, 현재 운영 내용 및 향후 계획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향후 서비스 도입을 고려하는 도서관이 참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성과 서비스를 선도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4개의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서비스 담당자와의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심층면담의 내용은 성장, 운영, 서비스를 포함하는 5개의 범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연구성과 서비스는 대학 연구경쟁력 강화를 지원하려는 목적으로 학내 구성원의 요구 또는 서비스 확대를 위한 도서관 내부의 기획으로 2010년 전후로 시작되었고, 시스템의 개선과 서비스 내용의 확대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서비스가 강화되어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성과 서비스의 개발과 운영을 위해 참조할 수 있는 연구성과 서비스의 종합적인 모형을 제시하였다.

과학 및 인문학 분야 출판 패턴의 비교 분석 : 한국학술지인용색인의 서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Publication Patterns in Sciences and Humanities: Based on Bibliometric Data from Korea Citation Index)

  • Yang, Kiduk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3-47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의 연구업적평가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학문분야별 출판 패턴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서 수집한 6개 분야(문헌정보학, 사회학, 생물학, 역사학, 철학, 컴퓨터공학)의 서지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에 따르면 상기 6개 학문분야는 규모, 경쟁률, 생산성, 영향력 및 공동연구 관점에서 차이를 드러내었다. 우선, 저자수와 기관수 측면에서 연구 규모는 과학분야가 가장 컸으며, 인문학, 사회과학 순이었고, 저자별 출판율에서는 인문학분야가 가장 높았으며, 사회과학, 과학 순이었다. 또한 "사회학"의 경우, 논문 편당 인용수가 가장 높았으나, 인문학분야의 경우, 저자당 인용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는 논문 편당 공동저자 수의 영향으로 보인다. 이처럼 본 연구는 논문 편당 저자수 분포에서도 학문분야별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인문학분야는 주로 단독 저자의 논문인 반면, 과학분야의 경우 대부분 공동 저술된 논문들이었다. 또한 본 연구는 학문분야별 인용시간의 차이와 핵심저자 및 기관의 분포, 이에 따른 영향의 차이도 제시하였다.

조선의보(朝鮮醫報)의 계량서지학적 분석 (A Bibliometric Analysis of The Korean Medical Journal (1930-1937))

  • 성희혜;이혜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39-262
    • /
    • 2021
  • 「조선의보」는 일제강점기에 일본의 의사단체에 대항하여 조선인 의학자들이 창립한 단체인 조선의사협회에서 발간된 최초의 우리말 의학학술지이다. 본 연구는 계량서지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조선의보」를 분석하였다. 먼저, 112편의 논문 제목에서 MeSH (Medical Subject Headings) 용어를 추출하여 주제 경향을 분석하고, 저자의 특성, 논문에 사용된 언어를 파악하였다. 이어서 참고문헌의 발행국과 발행 연도를 분석하고 좌담회의 제목에서 추출한 키워드의 빈도분석을 통하여 당시 연구자들의 관심사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 감염 및 전염병, 병리학적 증상, 소화기 질환을 주제로 하는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고, 연구자의 소속은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가 가장 많았으며 주로 내과와 외과교실에 속해있었다. 논문의 제목과 본문은 국한문혼용으로 표기된 것이 가장 많았고, 131편의 논문 중 40편만 초록이 있었으며, 이 중 영문 초록이 22편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자들이 인용한 1,103개의 참고문헌을 분석한 결과 주로 일본, 독일, 미국에서 발행된 최신 학술지를 인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좌담회의 주요 논제는 결핵, 신경쇠약, 임질 순이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우리말로 된 의학학술지 간행의 역사를 고찰하였으며, 1930년대 조선인 의학자들이 「조선의보」에 연구 성과를 축적하고, 의학 학술 커뮤니티를 통하여 의학 수준을 높이는데 기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과학외교를 위한 데이터기반의 연구주제선정 방법 (Data-Driven Approach to Identify Research Topics for Science and Technology Diplomacy)

  • 여운동;김선호;이방래;노경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216-227
    • /
    • 2020
  • 두 국가가 본격적으로 외교적 협약을 진행하기 전 우호적인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서나, 국가간 정치적 우호 관계를 지속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과학외교를 사용한다. 최근에는 과학기술이 국가 발전에 미치는 영향이 커짐에 따라서 과학외교에 대한 관심이 더욱 집중되고 있다. 과학외교를 수행하기 위해 두 국가가 서로 흥미를 가질 수 있는 협동연구주제를 찾는 것은 전문가 집단에 의해 추천에 의해 이뤄진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전문가의 주관적 판단에 의지하기 때문에 편향성과 이에 따른 문제가 존재한다. 개인적 및 조직적 편향, 유명한 연구자의 후광효과, 전문가마다 다른 추천기준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문가 기반의 방식이 가지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한국에서 시도된 빅데이터 기반의 외교를 위한 연구주제 추천방법을 소개한다. 빅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알고리즘은 전통적인 연구분야인 계량서지학 뿐만 아니라 최신 딥러닝 기술을 사용한다. 제안된 방식은 한국과 헝가리 간의 과학외교에 사용되었으며, 데이터기반 주제선정 방식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칼빈 신학교 학술지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에 관한 연구 (A Bibliographic Study on the Calvin Theological Journal)

  • 유영준;이재윤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25-145
    • /
    • 2016
  • 칼빈 신학학술지에 실린 논문의 주제명을 분석해서 칼빈신학교가 지향하는 신학적 경향을 밝히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45년 동안의 칼빈 신학학술지에 실린 논문의 주제명을 대상으로 핵심저자와 주제명 분석을 통해서 시기별 분석과 차별어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저자의 변화와 주제명의 변화를 단서로 하여 분석 시기를 분할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18명의 핵심저자들은 3개의 군집을 이루고 칼빈과 개혁신학, 성경 등의 주제명을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기와 2-1기에서는 개혁신학적 특성을 나타났지만, 중심성 분석에서 개혁신학이 주변으로 밀려났다. 2-2시기에서는 칼빈의 빈도가 낮아졌으며, 개혁신학의 빈도는 높아졌지만 중심적인 역할을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문학비평이 별개의 소군집으로 형성되었다. 차별어 분석에서는 모든 시기에 개혁신학적 용어들이 많았으며, 특히 2-1기에서는 과학과 종교가 차별어에 포함되었다. 칼빈 신학학술지의 신학적 경향은 개혁신학과 구약성경인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연구논문의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통한 최근 학술출판 동향 - 의학과 생명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 (Recent Academic Publishing Trends through Bibliometric Analysis of COVID-19 Articles: Focused on Medicine and Life Science)

  • 신은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5-132
    • /
    • 2021
  • 이 연구는 국제 학술지에 출판한 국내 연구자의 코로나19 연구논문 데이터를 WoS로부터 수집하여 주제, 기관, 연구지원처별 분포를 파악하는 등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아울러 학술정보의 생산과 유통 활성화에 있어 중요 변수인 학술지 오픈액세스와 심사소요일 등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20년 코로나19 관련하여 국내 연구자는 국제 학술지에 의학 분야 연구논문을 많이 발표하였고, 생물학, 다학제 분야 연구논문의 출판도 활발하였다. 이들 연구자는 해외에서 발행하는 학술지뿐만 아니라 국내 영문 학술지에도 연구논문을 다수 출판하였다. 분석된 연구논문의 94%가 오픈액세스였고, 출판 즉시 이용할 수 있는 골드 오픈액세스도 전체의 약 70%에 달하였다. 또한 국내 연구자의 코로나19 정형외과 연구논문을 PubMed로부터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평균 심사소요일은 약 24일이었다. 오픈액세스와 심사소요일 등의 분석결과를 통해 이 연구는 코로나19 위기로 인한 학술 출판 생태계의 협력 분위기를 감지할 수 있었다. 이 같은 학술 출판 생태계 구성 주체의 협력이 계속 유지된다면 학술지 골드 오픈액세스 출판 향상과 심사의 효율성 증진 등 학술출판계의 장기과제가 해결될 가능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무형문화재 춤 연구의 계량서지학적 분석 : 서울지역 종목을 중심으로 (Bibliometric Analysis on Studies of Kore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Dance : Focusing on Events in the Seoul Area)

  • 유지영;김지영;백현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39-147
    • /
    • 2019
  • 본 연구는 서울지역 한국무형문화재 춤 연구를 계량서지학적으로 분석하여 연구의 경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총 24종목의 한국무형문화재 춤 연구 리스트를 취합하여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인 TEXTOM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텍스트마이닝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봉산탈춤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특히 교수학습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반면 굿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하여 이에 대한 연구 활성화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처용무 종목의 연구에서 '현행 처용무'라는 용어가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이것은 유구한 역사 속에서 변화해 온 무형문화재 춤 연구와 관련하여 의미있는 용어의 사용이라 할 수 있다. 이에 타 종목의 연구에서도 춤의 전형성을 밝힐 수 있는 연구의 활성화가 요구되었다. 셋째, 춤사위를 비교 분석하는 연구가 문묘일무 종목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것은 춤의 원형적 춤사위에 대한 한국무용계의 논쟁이 학술적인 장외논쟁으로 확산된 결과라고 보았다. 따라서 사안의 옳고 그름을 떠나 학술적인 논쟁이 학문적 성과로 연계될 수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국내 행정학분야 연구자들의 연구수행에 관한 분석 (Analysis of Research Behavior of Public Administration in Korea)

  • 배순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23-141
    • /
    • 2001
  • 본 연구는 국내 행정학 분야의 연구자들간에 나타나는 연구수행의 경향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행정학 연구의 학문적 현상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행정학 분야에서 가장 포괄적 학술지인 $\ulcorner$한국행정학보$\lrcorner$를 분석대상 자료로 선정하여, 연구수행에 관련된 유형과 연구용 참고자료의 유형 및 핵심 학술지와 학술자료의 반감기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 행정학 연구는 중진의 교수 및 연구원들의 단독연구에 의해 전적으로 수행되며 가장 선호하는 참고자료는 해외발행의 학술지이나 상위 학술지간의 점유도는 그리 높지 않았다. 특히 국내의 학술지는 강한 점유도에 의해 상위 학술지의 구별이 뚜렷하며 반감기는 3.26년으로서, 반감기가 10년이 넘는 해외자료에 비해 훨씬 최신의 자료가 요구된다.

  • PDF

국제학술지(SSCI)에 등재된 논문을 통한 국내 문헌정보학자들의 연구동향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research patterns of domestic library & information professors through analysis of articles covered by SSCI)

  • 최희곤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0년도 제7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5-218
    • /
    • 2000
  • 본 연구는 계량서지학적 측정을 통해 국내 문헌정보학자들의 연구동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국제적으로 가장 영향력 있는 사회과학분야 학술지에 대한 대표적인 인용색인 데이터베이스인 SSCI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다양한 관점, 즉 저자별, 주제별, 저널별. 출신학교별, 소속대학별, 연도별, 연령별, 핵심전공주제별, 핵심저자별 및 핵심저널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국내 문헌정보학의 국제화 및 이에 따른 연구방향을 제시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본다.

  • PDF

정보행동에 관한 연구 동향, 2000-2016: 새로운 주제 영역의 부상 (The Trends in Information Behavior Research, 2000-2016: The Emergence of New Topical Areas)

  • 김은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9-135
    • /
    • 2017
  • 정보행동은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75년 이상 동안 발전해온 중요한 연구 영역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정보행동 내에서 떠오르는 주제 영역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여 정보행동 연구의 최근 동향을 발견하는 데에 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Scopus의 서지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information behavior" (정보행동),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정보추구행동), 그리고 "information needs" (정보 필요성) 등의 정보 행동 연구에서 흔히 사용하는 주요 용어를 이용하여 정보행동의 경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제목의 내용 단어, 많이 인용된 논문, 주제 분야 및 저자 키워드를 사용하여 동향을 분석하였다. 정보 행동 연구는 문헌정보학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그 결과는 다양한 주제 영역과 교차하여 정보행동이 다른 분야로 확장되었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특히 정보행동 연구는 건강/의학 분야에 적용되어 주요 주제로 부상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양한 정보행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 추후 연구에서는 정보행동의 융합적인 측면과 융합적인 범위를 조사하는데 더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