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곡수

Search Result 42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ffects of Particle Sizes on Non-Darcy Flow in Homogeneous Macro-porous Media (대규모 균일공극 매질에서 비Darcy 흐름에 대한 입자 크기의 영향)

  • Park, Sang Deog;Raksmey, Na;Sokan, Kh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38-238
    • /
    • 2019
  • 산지계곡에는 큰 자갈이나 호박돌이 무더기로 퇴적되어 있어서 대규모 공극을 구성한다. 호우시 이 돌무더기 내부에 빠른 흐름이 형성되고 이에 따른 퇴적사면의 급격한 변동이 발생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공극 매질의 흐름은 산지계곡에 퇴적된 균일 직경을 가진 구형 입자로 구성된 대규모 공극 매질을 구성하고, 비 Darcy 흐름의 유속에 미치는 입경의 영향을 수리실험으로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구형 입자는 크기가 15.5mm, 25mm, 36.5mm인 유리구슬이고, 조성된 매질의 공극율은 Table 1과 같으며, 실험에서 침투거리는 40cm로 하였다. 실험유량은 0.98~15.41 t/s이고 입자 Reynolds 수는 120~4,580의 범위였다. 동수경사가 증가하면 매질의 단면평균 유속이 비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입경이 작을수록 유속과 동수경사 사이의 비선형적 경향이 더 크다(Fig.1). 동일한 동수경사에서 매질의 입경이 클수록 유속이 빠르게 나타났다.

  • PDF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of the Woonsooam Valley in Jogyesan (Mt.), Suncheon (순천시 조계산 운수암 계곡부 식물군집구조)

  • Han, Bong-Ho;Choi, Jin-Woo;Noh, Tai-Hwan;Hur, Ji-Ye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8 no.1
    • /
    • pp.45-54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succession sere and conservative value,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in Woonsooam Valley, in Jogyesan (Mt.) (altitude 884m), Suncheon City, Korea by analysing the structure of the plant community. Fifteen plots (size is $20m{\times}20m$) were set up at an altitude of range from 255m to 495m. As a result of analysis of DCA which is one of the ordination technique, the plant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which are community I (Pinus densiflora community), community II (Quercus variabilis-Quercus serrata community), community III (Q. serrata-Q. variabilis community), and community IV (Carpinus tschonoskii-Q. serrata community) and community v(Deciduous broad-leaved forest community). We found out that the vegetation of the study site located in the South Temperate Climate Zone. The study site is found out that Q. serrata community 34.4%, part of slope in valley is the distribution that dominant species is Q. serrata-Q. variabilis community 32.1%. And in valley showed 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5.5%. And Sasa borealis was dominant species in the shrub layer. We couldn't supposed that the ecological succession sere of the study site, however we should do a long-term monitoring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the ecological succession each plant community, According to the index of Shannon's diversity (unit: $400m^2$), community III was ranged from 1.0102 to 1.1013, community V was 0.9945, community II was ranged from 0.7913 to 1.1503, community IV was ranged from 0.8081 to 1.0749 and community I was 0.9273.

A Case Study for Simulation of a Debris Flow with DEBRIS-2D at Inje, Korea (DEBRIS-2D를 이용한 인제지역 토석류 산사태 거동모사 사례 연구)

  • Chae, Byung-Gon;Liu, Ko-Fei;Kim, Man-Il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0 no.3
    • /
    • pp.231-242
    • /
    • 2010
  • In order to assess applicability of debris flow simulation on natural terrain in Korea, this study introduced the DEBRIS-2D program which had been developed by Liu and Huang (2006). For simulation of large debris flows composed of fine and coarse materials, DEBRIS-2D was developed using the constitutive relation proposed by Julien and Lan (1991). Based on the theory of DEBRIS-2D, this study selected a valley where a large debris flow was occurred on July 16th, 2006 at Deoksanri, Inje county, Korea.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all mass were already flowed into the stream at 10 minutes after starting. In 10minutes, the debris flow reached the first geological turn and an open area, resulting in slow velocity and changing its flow direction. After that, debris flow started accelerating again and it reached the village after 40 minutes. The maximum velocity is rather low between 1 m/sec and 2 m/sec. This is the reason why debris flow took 50 minutes to reach the village. The depth change of debris flow shows enormous effect of the valley shape. The simulated result is very similar to what happened in the field. It means that DEBRIS-2D program can be applied to the geologic and topographic conditions in Korea without large modification of analysis algorithm.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optimal reference values of Korean geologic and topographic properties for more reliable simulation of debris flows.

Debris Flow Dam Positioning Improving by Numerical Analysis (수치해석을 통한 토석류사방댐 설치위치개선에 관한 연구)

  • Jang, Chang Deok;Jun, Kye Won;Jun, Byong Hee;Yeon, Gyu Ba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49-49
    • /
    • 2011
  • 토석류(Debris flow)는 산지사면이나 계곡 등에서 진흙과 돌덩어리 등을 포함하는 토석 그 자체 또는 토석과 물의 일체가 유체의 상으로 흘러내리는 흐름을 말하는 것으로 발생을 예측하기가 곤란하며, 하류에 도로가 존재하거나 인근에 민가가 있을 시 막대한 피해를 가져오는 자연현상이다. 또한 산지계곡에서 발생하는 토석류는 발생장소와 시기가 서로 떨어져 있어 연구를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국내에서는 토석류피해의 저감을 위한 방법으로 주로 토석류 대책 사방댐의 설치를 선택하고 있다. 하지만 사방댐의 설치위치는 현재까지 모호한 결정기준에 의지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정밀좌표를 손쉽게 취득할 수 있는 삼차원 광대역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여 토석류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의 지형자료를 취득하고 토석류를 해석할 수 있는 1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토석류 유출량을 예측하였다. 또한 사방댐의 설치위치결정에 대한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사방댐의 토석류피해 저감효과를 설치위치에 따라 분석하였다. 모형의 적용결과 토석류 발생 저감을 위해 설치한 사방시설의 위치에 따른 토석류 저감효과를 비교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Water supply reliability analysis of Sand dam (샌드댐의 물공급 신뢰도 분석)

  • Chung, Il-Moon;Lee, Jeongwoo;Kim, Mi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7-27
    • /
    • 2020
  • 샌드댐은 주로 건조지역에서 홍수시 유량을 차단시켜 유송토사와 함께 유입된 물을 장기간 보관함으로써 모래와 물이 함께 저장되며 모래속에 저장된 물을 취수하는 방식의 특수한 저류 구조물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적용된 바 없으나 상수도 미급수 지역인 계곡부에서 물을 모래안에 저장하게 되면 증발로부터 오래 견딜 수 있는 장점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계곡부 샌드댐의 실제 가뭄시 물공급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대상지역은 춘천 서상리로 물공급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유역수문모형 SWAT-K와 저수지 유출추적을 결합한 모의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였다. 샌드댐의 제원을 다양하게 고려하여 최적 설계 인자를 도출하기 위해 폭, 높이, 길이 등 구조물의 제원을 다양하게 변경하며 물공급 신뢰도 95 %를 만족할 수 있는지 평가하였다. 일반적인 댐의 이수안전도 평가시에는 분석 단위기간을 5일, 10일로 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유역면적이 작은 관계로 분석 단위기간을 1일로 설정하였다. 총 9년간의 분석을 수행하였고, 5 %에 해당하는 연간 약 18일의 물공급 부족이 발생하는 신뢰도를 기준으로 일 취수량 20-50 ㎥을 적용하였을 때의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여 샌드댐과 기존 취수보의 규모에 따른 물공급 능력을 평가하였다.

  • PDF

운동 플러스 - 여름날 물놀기 즐겁게 더 안전하게

  • Lee, Eun-Jeong
    • 건강소식
    • /
    • v.36 no.8
    • /
    • pp.34-35
    • /
    • 2012
  • 따가운 햇살, 후텁지근한 날씨, 그럼에도 여름을 손꼽아 기다리는 이유는 바로 시원한 물놀이 때문일 것이다. 멀리는 바다나 강, 계곡은 물론 가까운 수영장 그 어디라도 좋다. 그런데 즐겁고 신나는 물놀이가 한순간 방심하면 끔찍한 악몽이 될 수도 있다. 심심찮게 들리는 익사사고부터 가벼운 발목 골절까지, 크고 작은 사고 때문이다. 사고 없이 안전한 물놀이를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 PDF

Diversity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in Sohan Stream in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 (생태·경관보전지역인 소한계곡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다양성 분석)

  • Ham, Seong-nam;Kim, Sun-yu;Joo, Jaehyung;Jang, Seuk Gu;Kim, Dongsam;Bae, Mi-Jung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4 no.4
    • /
    • pp.374-383
    • /
    • 2021
  • In 2020, the diversity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was investigated in the Sohan stream, an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research conducted in 2011. In total, 42 species (two phyla, three classes, and seven orders) were found in the Sohan stream.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sharply decreased at all sampling sites because of Typhoons Haishen and Maysak in 2020, which had a direct impact on the stream. In the functional feeding group, the ratio of collector-gatherers was the highest at all sampling sites. However, during the autumn season, the shredder ratio increased from 13.4% to 42.4% in the uppermost stream site. Compared with the diversity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surveyed in 2011, a total of 53 species (two phyla, three classes, and eight orders) were found. The percentage of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of Ephemeroptera, Plecoptera, and Trichoptera was more than 50% both in 2011 and 2020. Only the richness of Ephemeroptera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m (2011: 2.9 and 2020: 6.7). In this study, the abrupt changes of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in benthic macroinvertebrate were not observed before and after the designation of an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However, it is necessary to monitor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order to confirm that biodiversity is continuously maintained long after the designation of the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올여름 닭의 피서는 어떻게?

  • 김정인
    • KOREAN POULTRY JOURNAL
    • /
    • v.7 no.7 s.69
    • /
    • pp.48-51
    • /
    • 1975
  • 이제부터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될 것 같다. 뭇 사람들은 시원한 해변이나 소름이 오싹 끼치는 심심계곡의 폭포수 밑을 연상하겠지만 우리 양계인에게는 수난의 계절이 아닐 수 없다. 혹서로 인하여 방열을 억제당하므로 체온이 상승되고 축적되는 열을 발산하기 위하여 호흡량이 증가된다. 또 식욕부진, 음수량의 증가와 난중의 저하는 피할 수 없는 난관이다. 그러나 세심한 관찰과 합리적인 사양관리로 어느정도 극복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계사내의 온도 및 습도조절로 식욕증진, 양질의 단백질사료 급여, 지속적인 항생제 투여, 청채급여 등의 대책을 강구하여 혹서로 인한 피해를 최대한 방지하여야 할 것이다. 이 모든 문제가 극복될 때 악취풍기는 답답한 계사내이지만 이열치열의 피서지로 최적지라고 말한다면 너무 잔인하다고 할까?

  • PDF

A Surface Reconstruction Method from Contours Based on Dividing Virtual Belt (가상벨트 분할에 기반한 등고선으로부터의 표면재구성 방법)

  • Choi, Young-Kyu;Lee, Seung-Ha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4B no.6
    • /
    • pp.413-422
    • /
    • 2007
  • This paper addresses a new technique for constructing surface model from a set of wire-frame contours. The most difficult problem of this technique, called contour triangulation, arises when there are many branches on the surface, and causes lots of ambiguities in surface definition process. In this paper, the branching problem is reduced as the surface reconstruction from a set of virtual belts and virtual canyons. To tile the virtual belts, a divide-and-conquer strategy based tiling technique, called the BPA algorithm, is adopted. The virtual canyons are covered naturally by an iterative convex removal algorithm with addition of a center vertex for each branching surface. Compared with most of the previous works reducing the multiple branching problem into a set of tiling problems between contours, our method can handle the problem more easily by transforming it into more simple topology, the virtual belt and the virtual canyon. Furthermore, the proposed method does not involve any set of complicated criteria, and provides a simple and robust algorithm for surface triangulation. The result shows that our method works well even though there are many complicated branches in the object.

Cultivation and Using for Garden and Potted Plant of Erythronium japonicum Native to Korea. (화단 및 분화용 얼레지 재배기술)

  • Song, Jeong-Seop
    • Landscaping Tree
    • /
    • s.102
    • /
    • pp.30-32
    • /
    • 2008
  • 우리 자생화는 꽃이 화려하진 않지만 소박하고 은은하며 한결같은 모습인 것이 매력이라고 얘기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얼레지 꽃을 보면 여기에 아름다움이 추가되어도 좋을 듯 싶다. 자생화 중에 얼레지만큼 크고 화려한 꽃도 드물지 않나 싶기 때문이다. 4월 중하순경 물이 있는 계곡 주변으로 군락을 이루며 꽃을 피워 대는 얼레지의 환호성을 본 사람이면 누구나 탄성을 지른다. 번식이나 재배가 좀 까다롭긴 하지만 정원이나 분화용으로 시도해 볼만한 종류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