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화요법

Search Result 78,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Case of Venous Malformation of the Pyriform Sinus Treated with Ethanol Sclerotherapy (이상와에 발생한 정맥 기형에 대한 에탄올 경화치료 1례)

  • Yang, Yeon Jun;Kang, Min Su;Kim, Sang Hyub;Moon, Jeong 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 /
    • v.28 no.2
    • /
    • pp.135-137
    • /
    • 2017
  • We describe a case of venous malformation of pyriform sinus in 63 year-old patient, discovered incidentally. Venous malformation are the most common vascular malformations to arise in the head and neck. However venous malformation of the hypopharynx in the adult papulation are rare. The author performed successfully ethanol sclerotherapy for venous malformation of pyriform sinus, so we present the case with a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s.

  • PDF

식사요법 : 설탕, 소금 줄이고 담백한 맛 즐기자

  • Kim, Seon-Ju
    • The Monthly Diabetes
    • /
    • s.259
    • /
    • pp.50-51
    • /
    • 2011
  • 당뇨병환자에게 식이요법이란 평생 지켜야 할 수칙이다. 같은 음식이라도 조미료의 사용에 따라 칼로리가 높아지기도 하고, 짜게 먹는 습관으로 소금의 섭취가 많으면 고혈압, 동맥경화 등이 촉진될 수 있다. 그러므로 환자들은 조미료의 사용에서 '얼마나 섭취 가능할까?', '혹시 당뇨에 악영향을 주진 않을까?' 걱정되기 마련이다. 이에 올바른 당뇨관리를 위한 양념 섭취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 PDF

Therapeutic Endoscopy-related Gastrointestinal Bleeding and Thromboembolic Events in Patients Using Warfarin or Direct Oral Anticoagulant (와파린 및 새로운 경구용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환자에서의 치료 내시경과 관련된 위장관 출혈 및 혈전색전증의 위험)

  • Na, Hee Kyong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
    • v.72 no.5
    • /
    • pp.271-273
    • /
    • 2018
  • 내시경 시술 전 일시적으로 항응고제를 중단하는 것은 위장관 출혈의 위험과 혈전색전증의 위험 사이에 적절한 균형을 잡기 어렵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많다. 와파린은 새로운 경구용 항응고제(direct oral anticoagulant agent, DOAC)보다 임상의에게 더 친숙하고, 효과를 쉽고 빠르게 전환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복잡한 약역동학 특징과 좁은 치료적 범위 때문에 관리가 어렵다. 반면, DOAC는 약물의 모니터링 및 용량 조절 없이 정해진 용량으로 처방이 가능하며, 빠르게 작용하고, 반감기가 짧아 관리가 쉽지만 해독제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전 연구들에서 DOAC를 복용한 환자들은 와파린을 복용한 환자들보다 시술과 관련되지 않은 위장관 출혈의 위험이 높았다고 보고한 바 있다. 하지만 시술과 관련된 위장관 출혈 위험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가 없는 실정이다. 미국이나 유럽 내시경 가이드라인들에서는 저위험 내시경 시술을 받는 환자들에서는 와파린과 DOAC를 유지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고위험 시술의 경우에는 와파린를 사용하는 환자들에서 헤파린 교량 요법(heparin bridging)을 시행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임상적으로 DOAC를 사용하는 환자들 또한 혈전색전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헤파린 교량 요법을 시행해볼 수 있는데, 와파린 및 DOAC의 헤파린 교량 요법과 관련된 출혈 및 혈전색전증 위험의 차이 또한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저자들은 1) 와파린과 DOAC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서의 출혈, 혈전색전증 및 사망의 위험을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2) 13종류의 고위험 내시경 시술 중에서 시술별 위험을 비교하고, 3) 헤파린 교량 요법이 합병증의 발생을 증가시키지 않는지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일본 대규모 국가 입원 환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2014년 4월부터 2015년 5월까지 시술 전 와파린 또는 DOAC(rivaroxaban, apixaban, dabigatran, edoxaban)를 복용하고, 13종류의 고위험 내시경 시술을 시행받은 20세 이상의 성인 환자 총 16,977명을 확인하였다. 고위험 시술은 용종 절제술, 내시경 점막절제술, 내시경 점막하박리술, 협착 부위의 풍선확장술, 내시경 지혈술, 내시경 정맥결찰술, 내시경 주사 경화요법, 내시경 괄약근절개술, 내시경 초음파 유도하 미세침 흡인 검사, 경피적 위루술을 포함하였다. 일대일 성향 점수 매칭 분석(propensity score matching, 나이, 성별, 체질량 지수, 기저 질환, 병원의 규모, 시술의 종류, 약물의 종류를 매칭)을 시행하여 와파린군과 DOAC군에서 시술 위장관 출혈 및 혈전색전증, 사망의 발생을 비교하였다. 또한 경구항혈전제와 헤파린 교량 치료 시행 유무에 따라, DOAC 단독군, 와파린 단독군, DOAC와 헤파린 교량 요법군, 와파린과 헤파린 교량요법군으로 나누어, 하위군(subgroup) 분석을 시행하였다. 5,046쌍이 성향 점수 매칭 분석에 포함되었으며, 와파린군에서 DOAC군보다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위장관 출혈의 비율이 높았다(12.0% vs. 9.9% p=0.02). 혈전색전증 발생률(5.4% vs. 4.7%)과 입원중 사망률(5.4% vs. 4.7%)은 양 군에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DOAC 종류별로 나누어 하위군 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와파린군은 rivaroxaban군에 비하여 위장관 출혈의 비율이 높았으며, rivaroxaban군, dabigatran군에 비하여 혈전색전증의 비율이 높았고, 입원 중 사망률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내시경 시술의 종류로 보정하였을 때 위장관 출혈 및 혈전색전증, 사망률은 DOAC 단독으로 치료한 환자에서보다 와파린과 헤파린 교량 요법(bridging) 또는 DOAC과 헤파린 교량 요법을 시행한 환자에서 높았다. 시술 종류 중에서는 위루관 삽입술에 비하여 내시경 점막하박리술, 내시경 점막절제술 및 내시경 정맥류결찰술, 내시경 주사경화요법을 시행한 환자에서 위장관 출혈의 위험이 가장 높았으며, 하부 내시경 점막절제술, 하부 용종 절제술, 내시경적 유두괄약근절제술 또는 내시경 초음파 유도하 미세침 흡인 검사는 중등도 위험을 보였다.

Cost-Effectiveness Analysis of Glimepiride or Pioglitazone in Combination with Metformin in Type-2 Diabetic Patients (제2형 당뇨병 환자에 대한 메트포르민-글리메피리드 병합요법과 메트포르민-피오글리타존 병합요법의 비용-효과분석)

  • Lim, Kyung-Hwa;Shin, Hyun-Taek;Sohn, Hyun-Soon;Oh, Jung-Mi;Lee, Young-Sook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 /
    • v.19 no.2
    • /
    • pp.96-104
    • /
    • 2009
  • 배경: 당뇨병 환자에게 관상동맥심질환은 생존률, 건강 상태 유지 및 삶의 질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합병증이며 적극적인 당뇨병 치료는 이러한 심혈관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으나 당뇨병의 적극적 치료와 관리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목적: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메트포르민과 글리메피리드 병합요법과 메트포르민과 피오글리타존 병합요법의 비용-효과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마르코프 코호트 프로세스(Markov Cohort Process Model) 모형을 이용하여 비용-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연장된 수명 (life years gained, LYG)과 삶의 질(quality)을 보정하여 증가된 QALYs를 주요 효과 지표로 측정하였고, 총비용으로는 직접의료비용과, 환자와 가족의 교통비를 직접비의료비용으로 고려하였고 환자와 가족의 시간비용을 간접비용으로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비용-효과분석 결과, 메트포르민과 글리메피리드 병합요법의 경우 총 비용은 5,962,288원, 효과는 7.94LYG, 6.43QALY이었다. 반면 메트포르민과 피오글리타존 병합요법은 총 비용 10,982,243원, 효과 8.62LYG, 6.99QALY으로, 점증적 비용-효과비(ICER)는 7,402,663원/LYG과 8,934,546원/QALY 이었다. 결론: 우리 사회의 연장된 수명(LYG)에 따른 지불의사가 700만원 이하인 경우는 메트포르민과 글리메피리드 병합요법이 비용-효과적인 대안이며 700만원 이상인 경우에는 메트포르민과 피오글리타존 병합요법이 비용-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 PDF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Wet-mixing Solidified Soil in Pavement Surfacing (습식 경화교반토 포장의 공학적 특성)

  • Yoo, Ji-Hyeung;Shu, Dong-Hyuk;Lee, Seong-Wo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6 no.3 s.21
    • /
    • pp.1-7
    • /
    • 2004
  • Roads, like bikeways, parkways and walks, are to be just capable of supporting light traffic and traveling public, but they are required to be human friendly and environmental-oriented. Lately soil-solidifier mixture, a kind of soil-cement, has developed and has been applied to the recycling and environment-oriented pavement as the surfacing material. Soil-solidifier pavement structure has been designed by only experience. To design this pavement mechanically, it is necessary to find out basic engineering properties of soil-solidifier mixture. This study focuses on finding out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xture according to mixture proportions and aging. Test molds with various mixture proportions are made, and then unconfined strength tests are performed for test molds with aging of the mixture.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found that the strength of the mixture increases with amount of cement and that maximum strength is achieved at 6%$\sim$8% of the ratio of solidifier and water. The strength increase rapidly until 14 days, after then slowly. After 28 days the strength of the mixture approaches to the constant value. The heat of hydration during curing of the mixture is measured no significantly. It also shows that 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the mixture is similar to that of soil. Since this mixture is mixed with soil and is able to improve engineering problems in pavement due to temperature, this mixture is expected to use effectively in the environment-oriented pavement for light traffic.

  • PDF

Intralesional OK-432 Sclerotherapy for Plunging Ranula (OK-432 경화요법으로 치유된 Plunging Ranula)

  • Chung Woung-Youn;Park Cheong-Soo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12 no.1
    • /
    • pp.65-68
    • /
    • 1996
  • The incidence of plunging ranula has been reported as about 10% of all ranula cases. Treatment consists of wide surgical excision or marsupialization. However, it seldom provides a satisfactory result and various modalities of treatment have been proposed in addition to surgical extirpation. We reported our experience using intralesional OK-432 sclerotherapy for a case of plunging ranula in 20 year-old male patient. The OK-432 solution was prepared by dissolving 0.1 KE in 2ml of physiologic saline and was instilled in the same amount of the aspirated cystic fluid. Following two instillations, the lesion completely disappeared. The side effects were mild fever for 3 days and a mild local induration for several days. At present, 9 months after instillation, no recurrence was observed. OK-432 sclerotherapy appears to be simple, safe and effective method for the treatment of plunging ranula.

  • PDF

A Case of Laryngeal Venous Malformation Treated with Ethanol Sclerotherapy (후두 정맥 기형에 대한 에탄올 경화치료 1예)

  • Yun, Min;Lee, Dong Jun;Park, Sang Hyun;Moon, Jeong 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 /
    • v.25 no.2
    • /
    • pp.104-106
    • /
    • 2014
  • We describe a case of laryngeal venous malformation in 43 year-old patient, discovered incidentally. Laryngeal venous malformation is a comparatively rare condition in adults. It presents as a dark bluish mass that may cause bleeding, hoarseness or stridor, but he complained only mild throat discomfort. We found dark-bluish tumor on the right arytenoid area, and treated the lesion by Ethanol sclerotherapy. All lesions disappeared after one month without any complication. Sclerotherapy with Ethanol can be an easy and effective treatment for laryngeal venous malformations, so we present the case with a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s.

  • PDF

Study o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gainst Liver Cancer (중국 한의학에서 간암의 치료에 관한 연구)

  • Wang, Jing-Hua;Son, Chang-Gue;Shin, Jang-Woo;Cho, Jung-Hyo;Cho, Chong-Kwan;Yoo, Hwa-Seung;Lee, Yeon-Weol
    • Journal of Haehwa Medicine
    • /
    • v.15 no.2
    • /
    • pp.159-169
    • /
    • 2006
  • 간암은 전 세계적으로 발병률이 높은 암 중 하나이며 매년 5만 명이상이 간암에 의하여 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과 중국 그리고 아시아의 다른 국가들에서 매우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암치료에 있어서 한 중간의 한의학적 교류와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병인(病因), 병기(病機), 변증논치(辨證論治), 다용처방, 민간요법, 한약의 적용, 침 보안요법, 간섭치료 등 최근 중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다양한 임상적 치료방법을 고찰하였다.

  • PDF

A Case Report for a Obese Patient Accompanied with Hypertension, Dyslipidemia and Osteoarthritis (고혈압, 고지혈증, 퇴행성 관절염을 동반한 비만 환자의 증례보고)

  • Kim, Dong-Yeol;Kim, Gil-Su
    • Journal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 /
    • v.1 no.1
    • /
    • pp.13-20
    • /
    • 2001
  • Obesity is an excess of body fat frequently resulting from an imbalance between energy intake and expenditure, raises the risk of morbidity from chronic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dyslipidemia, type 2 diabetes, coronary heart disease, stroke, fatty liver and osteoarthritis. Recently we experienced a 51 years old obese woman who was accompanied with hypertension, dyslipidemia and osteoarthritis. Through weight reduction program(very low calorie diet, Chegameuiintang, exercise) during 3 months, total weight loss was 17.0kg, her condition was improved.

  • PDF

LOCALIZED SCLERODERMA IN A CHILD : CASE REPORT (소아 피부 경화증 환자의 치험례)

  • Kim, Eun-Young;You, Seung-Hoon;Kim, Jong-Soo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2 no.2
    • /
    • pp.256-261
    • /
    • 2005
  • Scleroderma is a connective tissue disease of unknown etiology, but known as a kind of auto-immune disease. It is most common in women especially in $30{\sim}50$ years, and very rare in childhood. It can be classified into two main classes : localized scleroderma & systemic sclerosis. Localized type has better prognosis, and usually involves skin only, or in some cases, the muscle below, except inner organs. Systemic type involves skin, oral mucosa and major internal organs. Involving facial skin, we can see small and sharp nose, expressionless stare and narrow oral aperture. Usually they have Raynaud's phenomenon, and in progress, show mouth opening limitation and sclerosis of tongue and gingiva. It is called CREST syndrome showing calcinosis cutis, Raynaud's phenomenon, esophageal dysfunction, sclerodactyly, and telangioectasia. Treatment of scleroderma is systemic and localized steroid therapy, use of collagen-link inhibitor (D-penicillamine), immune depressor and etc. Mouth opening limitation can be improved by mouth stretching exercise. We report a 6 years old boy, diagnosed with localized scleroderma who had mouth opening limitation. We could get additional mouth opening, and have done successful restorative treatment of mandibular and maxillary 1st and 2nd deciduous molar under deep sedation with nitrous oxide and enflura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