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험 공유

검색결과 708건 처리시간 0.048초

휴테크-‘반칙왕’에서 ‘예술가’로

  • 김정운
    • 벤처다이제스트
    • /
    • 통권39호
    • /
    • pp.11-11
    • /
    • 2003
  • 21세기 기업경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건 구성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이다. 서로의 경험을 털어놓으며 노하우가 공유되고 불필요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업의 가치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지식경영에 달려 있는 것이다

  • PDF

지식경영의 실천 : LG-EDS시스템

  • 박경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E-Business 활성화를 위한 첨단 정보기술
    • /
    • pp.37.1-38
    • /
    • 2001
  • 지식경영(KM)은 기존의 여타 혁신활동과는 달리 조직문화 및 제도의 변화를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지식이 창출, 공유, 활용되도록 하자는 한 차원 발전된 개념임. 따라서, 지식경영의 추진은 필연적으로 기업의 총체적 변화를 요구하게 되고 이것을 뒷받침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변화 및 정보시스템의 구축, 변화관리 등이 필요하게 됨. 금일 강의에서는 LG-EDS시스템이 지식경영 도입과 실행을 위해 구체적으로 어떤 활동을 전개하였고 이를 통해 어떤 변화를 이루었는지에 대해 소개하고 그간의 경험으로부터 얻게 된 know-how 등의 암묵적 지식(Tacit Knowledge)\`을 공유코자 함.

  • PDF

선행 공유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시스템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for sharing good deeds)

  • 김민지;금종은;김하영;편주희;김영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2-105
    • /
    • 2022
  • 굿플에이SSU는 사용자가 자신의 선행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고 다른 사용자의 선행을 칭찬하며 선행을 독려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이다.

공공도서관과 공유경제 - 유형의 공유로부터 무형의 접근으로 - (Public Libraries and the Sharing Economy: From Tangible Sharing to Intangible Access)

  • 이승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151-173
    • /
    • 2022
  • 공유경제의 개념은 기존의 경제 패러다임을 자원의 소유에서 자원에 대한 접근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이는 공공도서관의 근본적인 역할과 그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이용과 공유경제의 상호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참여는 공유경제에 대한 만족도와 신뢰 형성에 대한 기제로 작용하는 반면, 공공도서관 시설 및 장비의 이용은 공유경제에 대한 태도 및 참여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 장서의 활용은 지식, 정보, 개인적 경험과 같은 무형 자원의 공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반면 도서관 소장 자원의 대출 이용은 공유를 통한 경제적 이득에 대한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은 정보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를 통한 휴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공유경제와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방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비교연구를 통한 새로운 공유숙박 서비스 모델 제안 (Propose on Sharing Accommodation Service Model through Comparison Research)

  • 시에쉬안나;이성필
    • 서비스연구
    • /
    • 제11권3호
    • /
    • pp.17-30
    • /
    • 2021
  • 최근의 공유경제(Sharing Economy) 비즈니스 모델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경제활동은 단순한 상품 매매에서 벗어나 복잡한 경험체험으로 바뀌고 있고 공유숙박(Sharing Accommodation)의 모델 또한 새로운 숙박 선택모델로 자리 잡았다. 본 논문은 고객이 공유숙박서비스를 체험하는 과정에 느낀 문제점을 고찰하여 공유숙박서비스의 최적화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단점을 개선하고 고객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Airbnb와 Tujia 두 개의 공유숙박모델을 대상으로 비교 연구를 진행하고 참고 문헌 수집과 정리를 통해 숙박 공유연구 배경을 심층 분석하였다. 고객여정도(Customer Journey Map), 페르소나(Persona), 서비스 블루프린트(Service Blueprint) 등 서비스디자인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고객 수요를 파악하고 서비스의 문제점을 발견함으로써 서비스를 최적화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Kano 모델(Kano Model)과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지수(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등의 연구방법으로 검증한 후 세 가지 서비스 최적화 방안을 확정하여 서비스 시나리오(Service Scenario) 모형을 통해 최적화한 성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유숙박의 사업자 식별, 서비스 요소 개선과 보다 높은 수준의 고객 체험 제공에 도움이 되며, 더 나아가 공유숙박 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촉진할 것이라 확신한다.

대학원 수업방법으로서 메이커 교육의 가능성 탐색 (Exploring of the Maker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 김진희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10
    • /
    • 2019
  • 이 연구는 수업모델로서 메이커 교육을 대학원수업 사례에 두고 탐색하는데 있다. 학습자중심으로 교육 패러다임이 변화되면서 대학원교육에서도 수업혁신을 위한 한 방법으로 모델중심 수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메이커 교육은 학습자를 적극적인 아이디어 생산자이면서 창조자이자 발명가로서의 개인 및 동료들 간의 자발적 공유와 나눔 활동에 주목하여 메이커 활동이 지닌 교육적 가치를 탐색하고 있다. 메이커운동이 가지는 개인적 가치(자기주도성, 창의력, 자신감, 즐거움 등)와 환경적 가치(IT 활용, 민주적 접근성, 소통, 공유, 공감 등)가 복합적으로 확인됨에 따라 이러한 메이커 운동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반영한 교수학습 방법이 요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대학원 학생들이 개인 연구역량 향상을 위해 수행한 메이커 교육에 대한 과정의 경험을 융합연구 과정의 글쓰기에 초점을 두고 개별 프로젝트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구역량과 개인적 경험을 내용 분석하였다. 메이커 교육을 통해 창작자로서 자신의 글쓰기가 변화되는 과정을 성찰하였으며, 동료와의 공유와 비평을 통해 연구역량을 강화할 수 있었다는 점을 긍정적 학습경험으로 평가하고 있다.

사회적 소프트웨어를 통한 협업학습 (Collaborative Learning using Social Software)

  • 최재화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 /
    • pp.1055-1060
    • /
    • 2007
  • 최근 사회적 소프트웨어(Social Software)의 급격한 발전은 미래의 지식근로자가 될 넷제너레이션의 학습 방법에 큰 영향을 줄 것임에 틀림없다.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대학 교육에서도 오늘날의 학생들이 지식을 창출하고 공유하는 경험을 하게 하는 사회적 소프트웨어를 교육에 활용하는 교수법이 확산 ㄷ히고 있다. 구체적으로 블로그(Blog)와 위키(Wiki)와 같은 사회적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교육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키(Wiki), 블로그(Blog)와 같은 사회적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실시하는 협업 학습(Collaborative Learning)의 이론적 배경과 운영 경험을 소개한다.

  • PDF

절차적 정보검색을 위한 서비스팩 개념 도출과 기간 프레임웍 설계 (Deriving Concept of SerivcePack and Design of Framework for Procedural Information Retrieval)

  • 정의석;임수종;왕지현;임명은;윤보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B)
    • /
    • pp.388-390
    • /
    • 2001
  • 기존 인터넷 정보 검색 환경에서 사용자는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비연속적이며 다단계의 정보 검색 과정을 경험해 왔다. 본 논문은 다단계로 구성된 정보 검색 과정을 절차적 정보 검색으로 규정하고 이를 위한 서비스팩(ServicePack) 개념을 정립한다. 또한 모바일 환경에서의 정보검색, 정보 검색 경험들의 축적, 공유, 개인화, 확장 및 재사용의 개념을 서비스팩 개념에 결합한다. 그리고 서비스팩 환경 구축을 위한 프레임웍을 설계하여 제시한다.

  • PDF

원자력 발전소 운전의 학습효과 분석

  • 이만기;문기환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731-736
    • /
    • 199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원자력 발전소들 사이의 운전 경험에 대한 정보가 원자력 발전소의 운전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 동질적 기술을 가지고 있는 발전소들 사이의 운전 정보의 공유가 대체적으로 더 활발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동일 부지에 있는 발전소들의 운전 경험이 운전 성과 향상에 미치는 효과가 큼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는 예상과 일치하는 것으로 기존의 다양한 원자력 발전 기술의 도입이 발전소의 운전 성과 측면에서는 비효율적이었음을 지적하는 것이다.

  • PDF

정보공유공간의 품질 측정지표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Developing a Measurement Tool for the Quality of Information Commons)

  • 박지홍;기선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5-25
    • /
    • 2012
  • 본 연구는 정보공유공간의 품질 측정지표 개발을 위한 설문항목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정보공유공간은 도서관 이용자들이 다양한 교육, 연구, 문화 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물리적, 기술적, 지적 공간으로, 최근 도서관 이용자간의 지식 공유와 상호관계를 장려하기 위하여 인기를 얻고 있다. 또한 정보공유공간은 협업활동, 학습, 휴식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장점과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명확히 정보공유공간의 품질에 대한 측정도구가 없다. 여기에서는 도서관 이용자의 정보공유공간에 관한 인식과 정보공유공간에 대한 인지된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추출하기 위하여 심층면담, 선행연구 대조 및 사전조사를 수행하였다. 선행연구와 설문 초기 아이템은 분류와 클러스터링을 통하여 데이터 내의 주요 개념이 도출되었다. 그 후 사전조사를 통하여 예비 설문문항의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연구의 의의는 도서관 서비스 품질평가에 대한 연구의 영역을 확장시키고 이용의도를 고려한 새로운 평가 체계를 제시한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