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피적 체외순환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4초

개심술 중 심폐기 이탈에 실패한 환자에게 적용한 경피적 심폐순환 보조장치 (Percutaneous Cardiopulmonary Support (PCPS) for Patients with Cardioppulmonary Bypass Weaning Failure during Open Heart Surgery)

  • 류경민;박성식;서필원;류재욱;김석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5호
    • /
    • pp.604-609
    • /
    • 2009
  • 배경: 최근 경피적 심폐순환 보조장치는 여러 원인의 심인성 쇼크나 심정지의 치료에 매우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개심술 후 체외순환 이탈에 실패한 경우 적용하는 경피적 순환보조는 아직 예후가 매우 불량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개심술 후 체외순환 이탈에 실패하여 경피적 심폐순환 보조장치를 적용한 환자들의 임상성적을 알아보고, 이들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아 보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개심술 후 심폐기 이탈에 실패하여 경피적 순환 보조장치(CAPIOX emergent bypass system, $EBS^{(R)}$, Terumo Inc, Tokyo, Japan)를 적용한 10명의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60.2{\pm}16.5$세($19{\sim}77$세)였고, 평균 체외순환보조기간은 $48.7{\pm}64.7$시간($4{\sim}210$시간)이었다. 순환 보조 장치를 이탈할 수 있었던 경우는 6예(장치 이탈율 60%), 생존퇴원은 5예(생존율 50%)였다. 합병증은 5명(50%)에서 발생하였다. 단변량 분석에서 수술 중 대동맥 겸자시간이 길었던 경우, 순환 보조기간 중 종격동 출혈이 있었던 경우, 순환 보조장치 삽입전의 Troponin-I 수치가 높았던 경우가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조사되었다. 퇴원한 환자는 모두 생존하여 평균 $34{\pm}8.6$개월($23{\sim}48$개월)간 추적 관찰 중이다. 결론: 개심술 후 체외순환 이탈에 실패하게 되는 경우 매우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바 이들 환자에 대하여 적극적인 경피적 순환 보조장치의 적용으로 향상된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었다. 앞으로 지속적인 생존을 향상 및 합병증 감소를 위한 보다 많은 경험 및 임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총순환정지를 이용한 두개강내 거대동맥류 치험 1례 (Surgical Management of Giant Aneurysm of Intracranial Artery Under Circulatory Arrest -one case report-)

  • 홍종면;김오곤;이석재;홍장수;민경수;김상태;임승운;송우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1호
    • /
    • pp.80-83
    • /
    • 1999
  • 일반적인 미세수술 방법만으로 위험하다고 생각되는 뇌내혈관 동맥류 수술에 있어서 체외순환을 이용한 초저체온하의 총순환정지는 필수적인 방법이 되었다. 총순환정지를 위한 체외 순환 방법에는 개흉술을 통해 직접 심장을 노출시키는 방법과 개흉하지 않고 대퇴 혈관에 캐뉼라를 삽입하여 체외순환하는 두가지 방법을 들 수 있다. 저자들은 1예의 뇌내 거대 동맥류 환자에서 개흉하지 않고 대퇴혈관에 경피적 캐뉼라 삽입으로 체외순환하여 초저온하에 총순환정지를 이용하여 뇌내 거대 동맥류를 효과적으로 수술할 수 있었다.

  • PDF

물놀이 사고로 유발된 급성호흡부전 환자에서 정정맥 체외순환막형산화요법의 적용 - 2예 보고 - (Veno-Venous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of Acute Respiratory Failure due to Near-drowning -2 case reports-)

  • 김형수;한상진;이창률;이순희;정재한;김성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2호
    • /
    • pp.164-167
    • /
    • 2010
  •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된 급성 호흡부전에서 체외순환막형산화요법은 폐기능을 회복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물놀이 사고로 인해 발생된 급성 호흡부전 환자에서 기존의 적절한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체외순환막형산화요법으로 성공적으로 치료한 보고들이 있다. 저자들은 물놀이 사고로 급성호흡부전이 발생한 2명의 환자를 정정맥 체외순환막형산화요법으로 치료를 하였다. 정맥 도관의 삽입은 모두 경피적으로 양측 대퇴정맥을 이용하였다. 2명의 환자 모두 성공적으로 체외순환막형산화요법을 제거할 수 있었으나, 1명의 환자에서 저 산소성 뇌손상과 거미막 및 출혈이 발생하였다.

수술 중 발생한 다량의 급성 폐동맥 색전증에 의한 심장 정지의 경피적 심폐 보조를 사용한 성공적 소생 - 1예 보고 - (Successful Resuscitation of Cardiac Arrest with Acute Massive Pulmonary Embolism during Operation Using Percutaneous Cardiopulmonary Support (PCPS) - A case report -)

  • 박경택;김연수;장우익;김창영;류지윤;권성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2호
    • /
    • pp.273-276
    • /
    • 2008
  • 심장 정지에 있어서 체외 심폐 보조가 1983년도에 도입된 이래로 심장 정지의 치료에 응급 경피적 심폐 보조가 사용되어 왔다. 다량의 급성 폐동맥 색전증은 사망률이 높고, 특히 수술 중 발생한 경우는 외과의와 마취의에게 힘든 문제를 제기한다. 본 증례는 수술 도중에 발생한 다량의 폐동맥 색전증으로 인한 심장 정지에 대하여 효과적인 치료수단으로써 응급 체외 순환기를 사용한 56세의 여자 환자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환자는 와파린을 복용하면서 퇴원하였고, 패동맥 색전증의 재발없이 외래추적 중이다.

체외순환을 사용하지 않은 관상동맥 우회술 -2례 보고- (Coronary Revascularization without Extracorporeal Circulation -Two Case Reports)

  • 홍종면;전용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1호
    • /
    • pp.1132-1135
    • /
    • 1997
  • 충북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는 좌전행지에 99%, 제2대각지에 90%, 우측 관상동맥에 50% 이하의 협착과 경피적 관상동맥 풍선 성형술 시행도중 동정지와 계속적인 서맥, 심방 및 심실조기박동의 부정맥을 보인 63 세의 여자 환자와 좌전행지의 근위부에서 원위부위까지 95% 정도의 협착과 제1대각지의 분지부위에 95% 이상의 협착을 가진 75세의 남자환자를 인공심폐기를 사용하지않고 심장이 박동되는 상태에서 정중 흉골절개를 통해 얻은 좌측 내유동맥과 우측 복재정맥을 이용해 좌전행지와 대각지에 성공적으로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였다.

  • PDF

대량객혈 환자에서 사용된 정맥 정맥간 및 정맥 동맥간 체외막 산소화 장치의 적용 -1예 보고- (Venovenous and Venoarterial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for Repeated Life Threatening Hemoptysis -A case report-)

  • 유재석;정의석;최진호;임청;전상훈;박계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6호
    • /
    • pp.764-767
    • /
    • 2008
  • 최근 심각한 심기능 저하와 호흡 부전 환자의 소생술에서 체외막 산소화 장치의 이용 사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한 환자에서 두 차례의 기관지 출혈로 인하여 호흡 부전 및 심정지가 발생하였고, 각각의 경우에 정맥 정맥간 체외막 산소화 장치와 정맥 동맥간 체외막 산소화 장치를 적절하게 적응하여 좋은 결과를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성인 심혈관 수술 후 시행한 체외순환보조의 조기 임상결과 (The In-hospital Clinical Outcomes of Extracorporeal Life Support after Adult Cardiovascular Surgery)

  • 이길수;나찬영;오삼세;김재현;류세민;박성민;조성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4호
    • /
    • pp.464-472
    • /
    • 2009
  • 배경: 성인 심혈관 수술 이후 체외순환보조를 시행해야 했던 환자들의 조기 임상 성적과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등을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 1일부터 2008년 8월 31일 까지 성인 심혈관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2,721명 중 심실보조장치(Ventricular Assist Device) 혹은 체외막형산화기(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를 삽입한 44명(전체 성인심혈관수술 환자의 1.6%)을 대상으로 수술 및 의무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평균 연령은 61.7$\pm$14.9세(범위, 20$\sim$73세)였고 남자가 32명(72.7%)을 차지하였다. 평균 체외순환보조기간은 5.3$\pm$3.0일(범위, 1$\sim$12일)이었다. 결과: 전체 44명의 환자 가운데 체외 순환 보조 장치를 이탈 할 수 있었던 환자는 24명(장치 이탈률 54.5%), 생존퇴원은 18명(생존율 40.9%)이었다. 합병증은 38명(86.4%)에서 발생하였다. 단변량 분석에서, 응급수술, 삽관기간중 출혈, 신부전, 혈류 불안정(flow instability), 대동맥내 풍선장치를 동시에 사용하지 않은 경우 등이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조사되었고, 2006년 이후 성적이 향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변량 분석에서 체외순환중 신부전의 발생, 출혈이 사망에 유의한 인자로 파악되었다. 결론: 성인 심혈관 수술 이후 체외순환보조는 만족할만한 임상결과를 보이고 있어 적극적인 활용이 요구되지만 보다 나은 생존율을 위한 전반적인 치료전략의 개선과 광범위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고도의 원위부 기관협착 환자에서 경피적 심폐보조장치를 이용한 호흡보조 하에 시행한 기관절제 및 단단 문합술 (Respiratory Support by Performing Percutaneous Cardiopulmonary Support (PCPS) for Tracheal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in Patients with Severe Distal Tracheal Stenosis)

  • 조상호;박인규;이창영;배미경;정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2호
    • /
    • pp.259-262
    • /
    • 2009
  • 기관 및 폐문부 수술 시 기도확보가 어려운 경우나 폐실질 질환을 동반하여 저산소증 등이 우려될 경우 심폐보조장치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국소마취 하에 시행할 수 있는 경피적 심폐보조장치는 고전적인 심폐보조장치를 대신하여 기관호흡으로 호흡유지가 힘든 환자에게 안전하고 손쉽게 적용할 수 있다. 저자들은 고도의 하부 기관협착 환자에서 경피적 심폐보조장치를 이용한 호흡보조 하에 기관절제 및 단단 문합술을 성공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급성 심근경색으로 인한 심인성 쇼크 환자에 대한 경피적 순환 보조장치($EBS^{(R)}$) 적용의 초기경험 (Initial Experience of the Emergency Bypass System ($EBS^{(R)}$) for the Patients with Cardiogenic Shock due to a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 류경민;김삼현;서필원;류재욱;김석곤;김영화;박성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3호
    • /
    • pp.329-334
    • /
    • 2008
  • 배경: 경피적 순환 보조장치는 다른 수단으로는 소생이 불가능한 심인성 쇼크 환자에 있어서 매우 효과적인 생명유지 장치이다. 특히 심근경색 및 고위험군의 관상동맥중재술, 심장수술 후 심인성 쇼크 등 다양한 임상상황에서 사용되며, 사용이 손쉬운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저자들은 급성 심근경색으로 입원한 환자 중 심인성 쇼크가 발생하여 경피적 순환 보조장치를 사용한 환자들의 초기경험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급성 심근경색에 의한 심인성 쇼크 환자 8명에게 경피적 순환 보조장치(CAPIOX emergent bypass system, $EBS^{(R)}$, Terumo Inc., Tokyo, Japan)를 적용하였다. Seldinger방법을 사용하여 대퇴정맥에 20Fr의 유입관을 우심방까지 거치하고, 대퇴동맥에 16Fr의 유출관을 거치하면서 동시에 자가 충진을 완료하였다. 혈류량을 $2.5{\sim}3.0L/min/m^2$으로 유지하였고, 헤파린을 정주하면서 ACT를 200초 이상으로 유지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나이는 $61.1{\pm}14.2$세($39{\sim}77$세)였다. 관상동맥중재술(PCI) 시행 이전에 거치한 경우가 3예, 중재술 도중 발생하여 거치한 경우가 3예, 중재술 후가 1예, 관상동맥우회술 후가 1예였다. 평균 $EBS^{(R)}$가동시간은 $47.5{\sim}27.9$시간$(8{\sim}76$시간)이었으며, 이 중 $EBS^{(R)}$ 이탈이 가능하였던 경우가 5명(62.5%)으로 이들은 모두 퇴원이 가능하였다. $EBS^{(R)}$적용으로 인한 합병증은 모두 3예로 급성 신부전이 2예, 위장관 출혈이 1예 있었다. 사망한 3명의 환자 중 2명은 $EBS^{(R)}$ 적용 전 심정지가 와 있었던 경우였으며, 1명은 난치성 심실세동이 있었던 경우였다. 퇴원한 환자는 모두 생존하여 평균 $16.8{\pm}3.1$개월($12{\sim}20$개월)째 외래 추적관찰 중이다. 결론: 다른 방법으로 소생이 힘든 급성 심근경색으로 인한 심인성 쇼크 환자에게 $EBS^{(R)}$를 적용함으로써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었고, 일단 회복된 환자들은 별다른 후유증 없이 생존하였다. 향후 $EBS^{(R)}$의 적절한 적용시기와 적용방법에 대해서는 보다 많은 경험 및 임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허혈성 심질환으로 인해 병원 내에서 발생한 심정지 혹은 심정지 혹은 심인성 쇼크에 있어서의 경피적 심폐 보조장치의 치료 경험 (Experiences with Emergency Percutaneous Cardiopulmonary Support in In-hospital Cardiac Arrest or Cardiogenic Shock due to the Ischemic Heart Disease)

  • 이일;권성욱;조성우;권현철;이영탁;박표원;박계현;이상훈;성기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3호
    • /
    • pp.201-207
    • /
    • 2006
  • 배경: 경피적 심폐 보조장치(PCPS)는 체내의 가스교환과 혈액의 관류를 간접적으로 도와줌으로써, 장기를 회복시키기 위한 다른 치료법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고, 여러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출혈의 위험성을 최소화하면서 심각한 심폐부전에 빠진 환자의 생명을 구해준다. 본 저자들은 허혈성 심질환자들에서 발생한 심인성 쇼크 혹은 심정지를 PCPS로 치료한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1999년 5월부터 2005년 6월까지 발생한 심정지 혹은 심인성 쇼크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고, 환자들 중 7명에서 원심펌프인 Biopump (Medtronic inc., Minneapolis, MN), 나머지 13명에게는 자가 priming이 되는 헤파린-코팅된 EBS (Terumo, Japan)를 사용하였다. 삽관은 모든 환자에서 대퇴동맥과 대퇴 정맥을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동맥용 케눌라는 17 Fr에서 21 Fr까지, 정맥용은 21 Fr에서 28 Fr까지 의 DLP (Medtronic inc., Minneapolis, MN) 또는 RMI (Edwards lifescienc LLC, Irvine, CA)의 비교적 긴 정맥용 케눌라를 사용하였다. 결과: 소생을 목적으로 PCPS가 시도되었던 총 20명의 환자들 중에서 심정지가 13명이었으며, 심인성 쇼크였던 환자가 7명이었다. 이들 중 11명에서 관동맥 우회술이 시행되었고, 나머지 9명의 환자에서 PCPS한 상태에서 경피적 관동맥 중재술이 시도되었다. 평균 PCPS가동 시간은 38$\pm$42시간이었으며, 총 20명의 환자들 중 PCPS 이탈이 가능하였던 11명($55\%$)의 환자 중 총 8명($40\%$)의 환자가 특별한 합병증 얼이 평균 27$\pm$17일만에 퇴원하였다. 퇴원한 환자는 현재 모두 생존하여 치장 31개월째 외래 추적관찰 중이다. 결론: PCPS를 시행함으로써 혈역학적 회복을 가져옴으로써 다른 방법으로는 살리기 힘들었던 심정지 또는 심인성 쇼크로부터 환자를 구할 수 있고, 일단 회복된 환자들은 장기 생존율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