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피신경 전기자극기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휴대폰 내장을 위한 경피신경 자극치료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System for the Integration with Mobile Phone)

  • 우상효;윤기원;이정현;박희준;원철호;조진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360-368
    • /
    • 2006
  • 최근 휴대폰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다양한 부가기능을 내장한 멀티미디어 폰이 등장했다. 특히 웰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바이오 기능을 휴대폰에 내장 하기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어 왔다. 여러 가지 바이오 기능 중 경피 신경 전기치료기는 혈액 순환의 개선과 통증 억제의 기능이 있으므로 이를 휴대폰에 내장시키면 언제 어디서나 쉽게 전기 자극을 통해 혈액 순환을 개선하고 통증 억제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경피 신경 전기치료기를 휴대폰에 내장시키기 위해서는 소형 및 저전력의 자극모듈이 필요하며, 모듈이 오동작할 경우에도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소형의 승압기를 이용하여 휴대폰에 내장가능 한 전기자극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으며,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자극기의 출력단에 충전된 전체 에너지가 한꺼번에 출력되어도 인체에 무해하도록 설계하였다. 구현한 자극기 모듈의 검증을 위하여 소형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테스트 시스템을 구현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실험적 허혈 통증 모델에서 경피신경전기자극과 간섭파전류의 진통 효과 비교 : 주파수 50 Hz를 중심으로 (The Analgesic Effects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and Interferential Currents on the Experimental Ischemic Pain Model: Frequency 50 Hz)

  • 배영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617-2624
    • /
    • 2012
  • 통증 관리를 위해 전기자극 중 경피신경전기자극과 간섭파전류가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상자에게 수정된 최대하 압박대 방법을 이용하는 실험적 허혈 통증모델에서 경피신경전기자극과 간섭파전류간의 통증 완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병리학적 문제로 인한 통증을 갖고 있지 않는 14명(남 7명, 여 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26.7{\pm}2.0$세 이었다. 본 연구는 단일맹검법, 위약군 방법을 이용하여 경피신경전기자극, 간섭파전류, 위약 전기자극 3가지 중재를 적용하는 동안 주기에 따른 통증 강도를 자가 설문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경피신경전기자극과 간섭파전류는 상지의 전완에 실시하였고 위약군은 가짜 자극기를 이용해 전류가 출력되지 않는 자극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이원-반복 분산분석에서 3가지 전기자극 동안 통증 강도 변화의 차이가 없었고 간섭파전류와 경피신경전기자극간에는 통증 강도의 변화가 다르지 않았다. 따라서, 통계적으로 간섭파전류와 경피신경전기자극 모두 통증 강도가 감소하였지만 두 전기자극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면 동등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대상자에게 인식되는 전기자극의 편안함과 통증 완화 효과면에서 간섭파전류가 경피신경전기자극 보다 더 선호되었다.

경피신경전기자극기를 이용한 비지각적 감각자극 강도가 뇌혈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on-perceptual Sensory Stimulation Intensity Using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on Cerebral Blood Flow)

  • 정주연;강창기
    • 감성과학
    • /
    • 제27권2호
    • /
    • pp.81-90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경피신경전기자극(TENS)을 이용하여 다양한 자극 강도에 따른 뇌혈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특히 비지각적 감각의 전기자극을 통해 총경동맥(CCA)에서의 혈류 변화 및 혈관의 구조적인 변화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는 20대의 건강한 성인 24명이 참여하였다. 자극 강도는 감각 역치 미만, 감각 역치, 그리고 감각 역치 초과 세 가지를 각각 랜덤 순서로 적용하였다. 측정위치는 CCA 분기점의 1cm 하단에서 측정하였고, 혈류속도는 C-mode 도플러, 혈관의 구조는 B-mode 영상을 통해 측정하였다. 측정은 각각의 자극별로 중재 전, 중재 중, 그리고 중재 후에 수행하였고 각 세션마다 혈압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최고 수축기 속도(PSV)는 역치미만의 비지각적 감각자극에서 중재 후 유의하게 감소함이 확인되었다(p = .008). 역치 미만의 자극 후 PSV는 자극 전보다 평균 3.04%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 = .011). 반면 CCA의 혈관 직경의 변화는 모든 강도에서 자극 전후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단시간의 비지각적 전기자극이 혈관의 직경이나 혈압의 유의한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즉각적인 혈류속도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발견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동맥 부위에 환자의 불편함과 부작용이 없는 전기자극을 통해 뇌혈류의 조절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중요한 시도로 평가될 수 있다.

혈류량과 통증역치에 대한 경혈과 전기자극치료의 융합연구 (Convergence of Acupoint and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for Blood Flow and Pain Threshold)

  • 이동현;김범룡;허윤정;김동훈;심수영;임종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79-87
    • /
    • 2019
  •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경혈지점에 은침전기자극과 침형 경피신경전기자극을 적용하여 혈류량과 통증 역치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성인남녀 32명을 대상으로 SSP group (n=18), A-TENS group (n=14)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적용하였다. 혈류량을 측정하기 위해 레이저 도플러 영상을 사용하였고, 통증 역치를 측정하기 위해 압통측정기를 사용하였다. 집단 내 혈류량의 변화는 두 그룹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압통 역치의 변화는 SSP group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중재 후 집단 간 혈류량과 압통 역치의 변화에서는 SSP group과 TENS group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결과적으로 경혈지점에 SSP와 A-TENS을 적용한 결과 혈류량과 압통 역치의 변화가 있었으며, 특히 SSP을 경혈지점에 적용할 때 더욱 큰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경혈과 전기자극치료의 융합이 다양한 환자를 위한 방법의 하나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융합중재개발이 필요하다.

생리통 완화를 위한 저주파 치료기(TENS) 내장 스마트 의복 개발 연구 (R & D of Smartwear Built-In TENS Device for Relief of Dysmenorrhea)

  • 이원준;엄소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17권2호
    • /
    • pp.320-329
    • /
    • 2009
  • This research attempts to develop a method to relieve dysmenorrhea, which is an obstacle to many women's social activities, by designing a smartwear with built-in thermotherapy and TENS device. TENS therapy has the advantages of being controlled by patients and not depending on the use of drugs. The TENS device is designed as a stomach band so as to be unnoticeable to others when outer clothes are worn; the size was minimized and attached to underwear to facilitate use everywhere at any time. A current problem is the limitation of minimizing, but as battery technology is further developed, we can anticipate much smaller devices. The development of aforementioned smartwear function will increase women's choices in occupations and general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