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추 아탈구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말티즈 견에서 Screw, Wire와 PMMA를 사용한 외상성 경추 골절의 안정화 (Stabilization using Screws, Wire, and PMMA for Traumatic Cervical Fracture in a Maltese Dog)

  • 김근영;김민경;박지훈;신정인;김준수;장윤설;이재훈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19-522
    • /
    • 2014
  • 2년령 2 kg 말티즈가 진행성 사지마비와 목의 통증으로 내원하였다. 개는 알 수 없는 외상 이후 지난 2주간 스테로이드로 처치되었으나 점진적으로 상태가 악화되었고, 사지마비 상태가 되었다. 내원 시 개는 보행이 불가능한 사지마비 상태를 보였다. 방사선 사진과 CT 결과, C2의 가로골절과, 환추관절과 C2-C3의 불완전 탈구가 발견되었다. 추가적으로, MRI 상에서 뇌수종이 관찰되었다. Screw, Wire 와 PMMA를 사용한 C1-C3의 안정화가 시행되었다. 수술 후 4주에 임상 증상이 개선되었고, 개는 수술 6주 후에 이전과 마찬가지로 보행이 가능하였다. 본 증례의 Screw, Wire 와 PMMA를 안정화로 경추 골절을 효과적으로 치료하였다.

턱관절장애 관련 제질환의 임상적 접근 (Clinical Approach to Diseases Related to TMJ Disorder)

  • 이영준
    • 턱관절균형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8-31
    • /
    • 2022
  •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나는 급성 턱관절장애의 경우, 첫번째 유형은 주로 턱관절 디스크공간의 문제와 하악의 위치를 바로잡아주는 근육의 문제가 주 원인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만약 턱관절 디스크공간이 정상공간이라면 턱의 지그재그 움직임이나 턱관절잡음, 턱통증, 턱탈구, 그리고 개구장애 등이 발생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근육의 문제 중에서는 턱관절 디스크원판을 양측에서 잡아주는 내외측 익돌근의 문제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내측 익돌근의 긴장 및 수축이 디스크 원판을 내측으로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하악의 좌우 지그재그 움직임을 야기시키고 턱관절잡음이나 턱통증 및 개구장애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나머지는 저작에 관여하는 근육들이 그 다음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그러나 제2형 급성 턱관절장애의 경우는 제1형 급성 턱관절장애가 한단계 더 발전하여 이와 연관된 근육이나 인대의 긴장수축이 오랜 시간 진행되어, 이들이 다시 상부 경추의 아탈구와 두개골의 비정상적 움직임에까지 영향을 미쳐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게 되면 뇌에서 필요 충분한 뇌혈액공급이나 뇌척수액순환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1형 만성 턱관절장애의 경우는 제2형 급성 턱관절장애가 좀 더 진행되면서 척추 및 근골격계의 구조변화, 교합 및 턱의 구조변화 그리고 안면구조의 변화에 이르기까지 점점 진행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각종 척추 디스크질환, 관절질환을 비롯해서 두개천골계의 순환문제, 부정교합 및 턱 비대칭, 안면 비대칭의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고 추정된다. 그러나 두번째 유형의 만성 턱관절장애는, 턱에서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그리고 과다한 부정적 자극들이 오랜 기간 누적되면서 턱에 분포된 C 섬유를 비롯한 3차신경의 가소성변화를 유발하면서 결국 중추신경계를 포함하여 전체신경계의 회로망에까지 파급되어 다양한 만성질환 또는 난치성 질환들이 양산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아마도 지금까지 서양의학에서 아직 밝혀내지 못한 대부분의 질병들이 여기에 포함되지 않을까 하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환축추 전방아탈구 환자에서 제 2 경추신경절 열응고술 후의 예후에 대한 단기적 추적관찰 (Radiofrequency C2 Ganglionotomy in Atlantoaxial Subluxation: Short Term Follow up)

  • 심재항;심재철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4권2호
    • /
    • pp.193-198
    • /
    • 2001
  • Background: Anterior atlantoaxial subluxation (AAS) is a frequent phenomenon in rheumatoid arthritis (RA). AAS compresses the C2 ganglion or nerve and is a cause of posterior neck pain or occipital headache. Methods: We selected RA patients that had developed posterior neck pain or occipital headache caused by AAS. AAS was diagnosed by an increase of ADI (atlantodental interval). A distance of 3 mm or more was considered significant. Patients with vertical subluxation or symptoms suggestive of myelopathy were excluded. Before C2 RF ganglionotomy, we proceeded with a C2 ganglion block or greater occipital nerve block used by local anesthetics. For C2 RF ganglionotomy, the patient was placed in the supine position on a fluoroscopic table. A 100 mm, 4 mm active tip electrode was chosen. Following sensory stimulation at 0.2 to 0.6 V, the lesion wa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60^{\circ}C$ to $65^{\circ}C$ for 60 sec. We followed up the patient after 6 months later. Results: All cases were female and the average duration of RA was 8.5 years. The duration of posterior neck pain or occipital headache was 1-8 months. The average ADI was 4.2 mm and the McGregor index was 3.3 mm on the average. In all cases, the score on the 4 point Likert scale was 4 (pain free) during the follow-up period. Conclusions: We found that the occipital headache or posterior neck pain caused by AAS i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was alleviated over a short term follow up. C2 RF ganglionotomy is suggested as an effective palliative treatment for AAS in RA patients.

  • PDF

FCST의 음양균형장치를 활용한 경련성 사경증 증례보고 (Two Cases of Spasmodic Torticollis Managed by Yinyang balance appliance of FCST for the Meridian and Neurologic Balance)

  • 손인철;안규석;손경석;고기완;인창식;하성준;이영준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3권4호
    • /
    • pp.111-122
    • /
    • 2006
  • 본 증례에서는 후천성으로 나타난 경련성 사경증 2례에 대해 외래 진료로 각각 3개월(91일간 54회), 5개월 반(167일간 90회)동안 FCST의 음양균형장치를 주 치료수단으로 하고 침구치료, 도수치료, 약물치료를 보조 치료수단으로 하여 치료하였다. 2례 모두 시각적 상사 척도(VAS)를 적용하여 평가해보았을 때 완전한 호전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되었고, 임상적 관찰과 환자의 주관적 구술에서도 모든 증상의 소실과 정상 회복을 확인하고 치료를 종료하였다. 이후 각각 5개월에서 10개월 간 추적 관찰한 결과 모두 정상적인 생활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치료 효과의 정상 유지를 관찰했다. 이로써 아탈구된 상부경추와 뇌신경계 및 경락체계의 불균형과 경련성 사경의 유의한 관련성을 유추해볼 수 있었으며, 이의 회복에 음양균형장치를 활용하여 악관절의 다차원적인 이상적 음양중심균형위치를 찾아줌으로써 척추를 비롯해 뇌와 경락체계를 조절해줄 수 있다는 FCST의 치료원리가 유의한 결과로 입증된 경우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