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작력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의 고대 밭유구에 대한 검토 (A investigation about Ancient Field site of Korea)

  • 김병섭
    • 고문화
    • /
    • 62호
    • /
    • pp.3-28
    • /
    • 2003
  • 1990년대 이후 경작유구의 조사로 인하여 농경연구는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었는데, 아직 도작과 관련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1990년대 후반 진주 대평리에서 무문토기시대의 대규모 밭터가 조사되고 나서야 밭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었다.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조사된 밭 유구를 집성하여 향후 밭관련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지금까지 밭 유구가 조사된 유적은 25개소인데, 대부분이 낙동강유역과 금강유역에서 조사되었다. 고대에는 경영에 많은 노동력이 소요되는 논보다는 밭의 비율이 높았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앞으로 낙동강${\cdot}$금강유역 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도 밭의 조사 예가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밭은 밭 구획, 고랑과 두둑의 존재 여부, 고랑의 조성형태에서 유형분류가 가능하다. 밭의 형태 차이는 시기나 지형여건보다는 밭을 경영하는 방식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 이유는 받을 경영할 경우 지속적인 지력유지가 필요한데, 시비법이 보급되기 전에는 휴경, 심경, 경작방향의 이동, 두둑과 고랑의 전환 이용 등 지력회복을 위한 행위가 있었으므로 밭의 형태는 경영형태에 의해 자주 바뀌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밭유구의 조사는 논과 마찬가지로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발굴조사에서 밭유구의 판정을 위한 밭유구 인정 기준이 필요하다. 밭을 구성하는 요소는 두둑${\cdot}$고랑${\cdot}$다양한 경작흔${\cdot}$구획시설등이다. 이 모든 것이 발굴조사에서 확인되지는 않지만 밭유구 인정에 있어 가장 중요한 지표로 되는 것은 경작면과 경작흔이다.

  • PDF

절삭날을 고려한 절삭가공면의 기계적 성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chanical States of Machined Surface by Considering Cutting Edge)

  • 김주현;우희선;장윤상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88-195
    • /
    • 1999
  • Cutting edge plays an important role in generating machined surface. In order to consider the geometric effects of the cutting edge on mechanical states, the concept of ploughing force and stagnation point was introduced which explains the generating mechanism of machined surface during cutting. The effects of edge radius and nose radius of cutting tool on the distribution of residual stresses of the machined surface having several hardness were studied. Good machined surface having high compressive residual surface stresses can be achieved if cutting tools having large edge radius and small nose radius are used for cutting work materials having high hardness with high depth of cut. The magnitude of edge radius and the hardness of work material also affected the shape of the chip in orthogonal cutting.

  • PDF

과소농촌지역(過疎農村地域)의 휴경요인(休耕要因)과 유형(類型) - 경북 상주시 사벌면 덕기리의 사례연구 - (A Study on the Fallow of Depopulation Area in Rural Korea - The Case Study of Deoggali, Sangju Gun -)

  • 이한방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74-90
    • /
    • 2001
  • 한국의 과소농촌지역에서의 휴경화는 지난 30년간의 급격한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격심한 인구 유출에 따른 사회변화에 농촌지역사회와 농민의 토지이용방식 및 이농민의 농지처리가 미처 대응하지 못해 나타난 결과이다. 과소지역인 경북 상주시 사벌면 덕가리를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의 급격한 감소로 인한 농촌 노동력의 질적 저하 양적 부족은 만성적인 농지 공급과잉이 초래되었다. 촌락 내 노동력의 절대적 부족 상태에서 경작조건 불리 농지의 우선적 휴경화가 진행되고 있다. 둘째, 노동력의 상대적 부족 상태, 즉 집약적 노동 투입 또는 노동력 배분 우선 순위에 따라서 자기 소유의 땅이라도 경작 조건이 나쁠 경우는 휴경하고, 조건이 좋은 땅을 임차하여 경영 규모를 확대한다. 셋째, 이농민의 토지 보유 성향과 상속, 매매 부진으로 인한 부재지주 소유농지의 증가는 휴경화를 촉진하는 주요한 요인이다. 노령자의 질병 사망으로 인한 농가 소멸이나 비농가화(非農家化), 촌락 내 노동력의 부족은 부재지주 소유 농지의 우선적 휴경화를 촉진시킨다. 경사도가 높거나 경작조건이 불리한 경지는 부재지주 소유농지를 중심으로 휴경화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덕가리 부재지주의 휴경지는 이촌 이농형 문중답 위토형의 2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한국농촌의 휴경화는 압축적 산업화에 따른 인구유출로 인한 노동력의 양 질적 부족, 경작불리 지의 방치, 농업의 수지조건 악화 등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부재지주 농지의 온존 증가와 같은 문화적 요인이 주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유출로 인한 과소화가 광범위하게 일어나고 있는 원격지 과소농촌지역에서의 휴경화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따라서 또 하나의 한국적 현상인 대도시주변지역에서 나타나는 일시적, 투기적 휴경현상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설명력이 증가되고 전체적인 휴경화 현상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식물공장 시스템의 동향과 발전방향 (Trend and direction for plant factory system)

  • 김재훈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7권4호
    • /
    • pp.442-455
    • /
    • 2010
  • 식물공장 (plant factory)은 파종에서 재배 및 수확까지 실내에서 종합적으로 관리 제어되는 공장식 식물생산기술로 현대농업의 결정체이다. 식물공장은 청결한 환경에서 안전성 높은 농산물을 연중 생산할 수 있고, 작업환경이 좋아 노동력 확보가 수월하다. 선진국들은 수 십년 전부터 식물공장의 산업적 경제적 효과를 예측하고 이 분야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투자해 왔다. 최근 우리나라도 우수한 기술력과 인력을 적극 활용하여 국제 경쟁력이 있는 식물공장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활발히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식물공장은 초기투자비용의 과다, 전용 품종의 재배기술 부족, 운영비 절감 등의 문제점이 아직 해결되지 않아 기존 농업과 경쟁하기 어렵다. 그러나 식물생명공학 분야의 전문가들이 식물공장 시스템 개발에 적극 참여한다면 여러 문제점이 개선될 것이다. 환경변화에 의한 농작물 경작의 어려움에 당면하고 있는 농촌과 농업에 식물공장을 잘 활용한다면 농산물 경작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식량문제와 환경문제를 해결하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단감원의 병해충 관리 실태와 소득 증대 방안에 대한 농가 의식조사 (Survey on Pest Management Practice and Scheme of Increasing Income in Sweet Persimmon Farms in Korea)

  • 이동운;이승욱;박정규;추호렬;신창훈;이규철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45-49
    • /
    • 2001
  • 우리나라 단감 수입국의 검역 기준에 부합하는 단감 생산을 위한 병해충 방제 체계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서, 먼저 단감 재배 농가의 병해충 관리 실태와 단감의 경제성 재고에 관한 농가의 의식을 설문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단감경작자의 80% 이상이 50대(代) 이상이었으며 단감 경작 시 가장 수량에 많은 영향을 주는 인자는 병이라고 응답하였다. 가장 문제시되는 병과 해충이 탄저병(Gloeosporium kaki)과 노린재류라고 응답한 농가가 각각 64.6%와 73.5%이었으며, 특히 미국 측의 검역해충인 복숭아명나방(Dichocrocis punctiferalis)은 경작자들이 전혀 문제시하고 있지 않았다. 병해충관리이 관한 지식이나 정보의 취득, 방제 약제나 약제 처리 시기 등의 결정은 본인의 경험에 의존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연 평균 방제 횟수는 $8{\sim}9$회가 56.6%로 가장 많았으며 80%이상의 농가가 방제력(防除歷)을 기록한다고 하였다. 단감 경작자들의 35.4%가 병해충 관리를 위한 방제비의 증가가 가장 큰 애로점이라고 하였으며 단감의 경제성 증대를 위해서는 수출 증대가 필요하다는 응답자가 34.5%로 가장 많았다.

  • PDF

경작지 근권 토양내 곤충병원성 선충의 검출 및 정량적 평가 (The Detection and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in Cultivated Rhizosphere Soil)

  • 황경숙;한상미;김윤지;남필원;한송이
    • 환경생물
    • /
    • 제21권3호
    • /
    • pp.271-275
    • /
    • 2003
  • 유기농업을 수행해온 배추와 무의 근권토양과 관행농법의 근권토양 및 비경작지 토양으로부터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선충의 밀도를 조사하고, 토양내 유익선충인 곤충병원성 선충의 분포상황을 검토하였다. 경작지 토양 내 선충 분포율이 비경작지에 비하여 높았고, 유기농업 토양이 관행농업 토양보다 선충의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선충의 정량적 평가법으로 직접계수법과 MPN 법을 비교 조사한 결과 MPN법이 신속하고 정확한 방법임이 확인되었다. 각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곤충병원성 선충은 Rhabditida목 선충과 Diplogasterida목 선충으로 분류되었다. 이들 선충 중 Diplogasterida목 선충이 50% 이상을 차지하여 높은 점유율을 나타내었다. 누에를 기주체로 사용한 살충력 검정에 있어 24∼36시간 이내에 90%이상의 기주 치사율을 보여 농작물 해충방제를 위한 생물농약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전북인삼 명품화 방안 연구 - 진안인삼산업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Jeonbuk-Ginseng)

  • 유병완;임병옥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1년도 임시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3-3
    • /
    • 2011
  • 국내 주요 인삼재배 산지 기반을 가진 전북 진안지역의 인삼 홍삼산업은, 재배농가 895호, 재배면적 402ha, 생산량 1,628톤, 홍삼가공업체 80개소, 판매업소 50개소로 지역경제의 25% 이상을 차지한다. 그러나 재배농가의 계열화 미흡(22%), 산지수집상(포전매매)에 의한 인근 유사 도매시장으로 재배물량과 부가가치 유출(78%), 가공시설의 노후화, 가공업체의 영세성(매출규모 연평균 2억11백만원)과 함께 중국, 캐나다, 미국 등의 국제 가격경쟁과 국내의 대기업 및 인삼산업 주요지역과의 경쟁이라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고 지역특화명품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인삼재배산지로서 원료공급지를 기반으로 하는 재배, 유통, 가공, 품질관리, 시설분야에 이르는 발전방안을 연구하였다. 산업원료 확보를 위해서는 인삼계열화 확대를 통해 원물 확보력을 강화하여야 한다. 재배분야의 경우에는 친환경재배 확대와 GAP 확대를 통해 원물의 품질경쟁력 뿐만 아니라 시장수요에 따른 브랜드마케팅 요인으로 특성화해야 한다. 유통분야는 계열화 확대를 통한 원물확보라는 산업경쟁력을 바탕으로 원료중심의 수취, 매취, 보관, 가공, 대형거래, 도소매 등 유통활성화와 유통규격포장 및 선별등급표준화를 통한 유통표준화를 추진하여야 한다. 가공의 경우, 원료홍삼 공급기능을 중심으로 가공산업을 선택 육성해야한다. 품질관리는 원물중심관리(성분, 잔류농약, 식품위생), 유통중심관리(연근, 등급), 경작중심관리(재배지, 재배자, 경작), 프로세스중심관리(재배 유통 가공 판매정보)로 구체화해야한다. 시설분야는 유통시설(대규모 집하시설, 보관시설 등 종합유통처리시설)과 가공시설(가공설비현대화, 가공공장 공인규격화;ISO, GMP, HACCP)의 지속적인 시설개선과 현대화를 추진하여야 한다.

  • PDF

타이어공기압에 따른 트랙터의 견인성능과 토양다짐 (The Effects of Tire Inflation Pressure on Soil Compaction and Tractive Performance of Tractor)

  • 박원엽;이규승;오만수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2년도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2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타이어의 공기압이 농용트랙터의 견인성능과 토양다짐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적으로 조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타이어공기압에 따른 트랙터의 견인성능 실험 결과, 공기압의 감소는 트랙터의 운동저항은 감소시키고, 견인력과 견인효율은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약지에서 운용되는 트랙터는 공기압의 조절을 통해(최소 허용 공기압까지 타이어공기압의 감소를 통해) 견인성능과 작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 트랙터의 타이어공기압과 통과횟수의 증가는 모두 토양다짐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토양다짐을 줄이기 위해서는 트랙터가 통과한 궤적상을 연속해서 통과할 수 있도록 작업 계획을 세우면 전체 경작 면적에 대한 토양 다짐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타이어의 공기압을 최소 허용 공기압 수준까지 감소시킬 경우 토양다짐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 위의 결과로부터 트랙터의 작업성능의 향상과 토양다짐의 최소화는 타이어공기압의 조절을 통해 어느 정도 이를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운전석에 설치된 제어판을 통해 지면의 상태에 따라 타이어의 공기압을 운전자가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최첨단 기술인 CTI시스템을 농용트랙터에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전라도 밭경작지의 서식처 유형별 식물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by Habitat Types of Dry Field in Jeolla-do, Korea)

  • 조광진;김명현;김민경;나영은;오영주;최락중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6-102
    • /
    • 2014
  • 밭경작지는 인간의 간섭에 따라 강한 생활력과 번식능력을 가진 다양한 식물이 생육하며, 최근 기후변화는 식물의 지리적 분포 및 생물계절을 변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밭경작지에서 생육하는 식물종의 현재 출현양상과 생태적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생태식물상 비교에는 전라도 8개 지역에서 조사된 식물자료를 통하여 라운키에르의 생활형, 번식전략, 귀화율, 도시화지수가 이용되었다. 식물상 조사는 2013년 5월부터 9월에 걸쳐 수행되었으며, 밭경작지의 서식처 유형은 3가지(밭내부, 밭둑, 경사면)로 구분되었다.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상은 68과 203속 244종 43변종 9품종을 포함하여 총 29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서식처 유형별로는 밭내부 174분류군, 밭둑 249분류군, 경사면 196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과별로는 벼과(16.2%), 국화과(14.2%), 콩과(9.1%), 마디풀과(5.4%), 십자화과(4.1%)순이었다. 출현식물종의 기여도에 따르며, 밭내부는 쌍자엽식물, 밭둑은 $C_4$식물, 경사면은 국화과식물로 특징지어졌다. 생활형 분석결과, 1년생식물은 밭내부(67.6%), 밭둑(51.9%), 경사면(54.3%) 순이었다. 귀화율은 밭내부 30.9%, 밭둑 22.9%, 경사면 20.8%이었고, 도시화지수는 밭내부 13.1%, 밭둑 15.0%, 경사면 11.2%이었다. 1년생식물의 구성비, 번신전략, 귀화율, 도시화지수를 모두 고려했을 때, 인간간섭도가 가장 높은 곳은 밭내부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의 기반이 되는 식물상의 생태적 특성을 통해 밭경작지의 서식처 유형에 대한 환경지표가 발굴되었으며 이러한 지표는 농업환경의 변동성을 파악하거나 기후변화에 따른 식물상 변화를 평가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무동력 디스크 해로우의 작업각도가 견인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orking Angle of Non-power Disc Harrow on Traction)

  • 정호준;김성식;조재민;강대식;김현태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72-72
    • /
    • 2017
  • 국내 농업에서 토양의 반전, 쇄토, 배토, 가능한 복합작업기인 무동력 디스크해로우 방식의 경운과 배토 고효율 복합작업기의 수요가 증가 하고 있다. 경운작업에서 일련의 과정은 작물의 생육과 관리차원에서 큰 의미를 지니며 작물재배의 첫 단계로 중요시 다루어져야할 과정이다. 이러한 작업기의 성능 시험에서 포장시험을 통해 복합기의 신뢰도와 실제 필드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포괄적으로 해결 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토양 경작을 위한 농업기기의 작업 저항은 식물 생산에서 유용성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지표중 하나이다. 작업 저항(수평, 수직 방향의 힘)은 트랙터의 힘에 의해 생성된 동작을 방해하므로 토양 경운 시 에너지 소비를 결정하고 설계 매개 변수 측면에서 최적의 작업 조건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상대학교 내 위치한 실험동에서 Soil-bin에 이송장치를 설치한 후, 이송장치에 디스크 해로우 (Multidisc Vario, Tulip Agri., Netherlands)를 부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디스크 해로우의 원주 평면과 수직 평면 사이의 각 a(토양 표면에 수직)와 디스크의 해로우의 원주 평면과 작업 방향 사이의 각 b의 값을 독립 변수로 두고 a, b를 변화 시키면서 발생하는 이송장치의 견인력을 측정하여 농가 및 효율적인 경운작업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