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엽 처리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27초

제초제 2, 4-D에 대한 고려인삼의 반응 II. 2, 4-D의 경엽처리가 인삼엽의 광합성, 에칠렌가스 발생 및 지상부 생육에 미치는 영향 (Response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to 2, 4- D II. Effects of 2, 4-D Foliar Application on Photosynthesis, Ethylene Gas Production and Plant Growth)

  • 조재성;원준연;신최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07-111
    • /
    • 1991
  • 2, 4-D의 경엽처리가 인삼의 지상부 생육 및 광합성능력과 식물체의 Ethylene gas 발생등의 생리적특성에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 과 같다. 1) 표준약량의 3배농도 2, 4-D 경엽처리시에도 엽장, 엽폭, 경장 및 경직경등 지상부 생육은 무처리와 전혀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별다른 생육이상현상도 나타내지 않았다 2) 무처리구에 비해 2, 4-D의 경엽처리시 줄기에 대한 엽병의 각은 현저히 커졌으며 2, 4-D 처리농도가 증가될 수록 엽병각은 거의 직선적인 증가경향을 나타내었다 3) 2, 4-D의 경엽처리에 의해 인삼잎의 광합성능력은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그 정도는 2, 4-D 처리농도를 증가함에 따라 현저히 크게 나타났다. 4) 2, 4-D의 경엽처리에 의한 인삼잎의 광합성저해현상은 표준 및 2배 농도 처리구에서는 처리후 3일에 정상으로 회복되었으나 3배 농도구에서는 처리후 12일 이후에 거의 회복단계가 되었다. 5) 표준 및 2배 농도의 2, 4-D 처리구에서는 무처리구와 같이 전혀 Ethylene gas의 발생을 측정할 수 없었으며 3배 농도 처리구에서만 미량의 Ethylene gas가 정량되었으나 이는 표준약량의 2, 4-D를 처리한 중에서 발생된 Ethylene gas 량의 1/20에 불과하였다.

  • PDF

경엽 및 관주 처리에 따른 딸기 중 침투성 농약 잔류패턴 비교 (Comparison of residue patterns between foliar application and drenching in export strawberry)

  • 이효섭;홍수명;권혜영;김단비;문병철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4호
    • /
    • pp.313-319
    • /
    • 2017
  • 딸기는 한국의 주요 농산물 중 하나로 매년 3,000만 달러 이상이 수출된다. 그러나 농산물 안전은 최근 농업 무역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어,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려면 적절하게 농약을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딸기는 고설재배를 이용해 경작하는 곳이 많아지고 있는데 점적관수를 이용해 수분, 양분 및 농약을 관주 처리하여 투여하고 있다. 농약을 살포 할 때 관주 처리는 경엽처리를 사용하는 것보다 잔류농약 수준이 더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딸기 중 농약을 관주처리 및 경엽처리 하였을 때, 농약의 잔류량을 경시적으로 비교 하였다. 농약을 농약안전사용기준량 및 두배량으로 처리 한 후 0, 3, 6, 9, 13, 16 및 21 일에 수집한 후 $-18^{\circ}C$에서 보관 하였다. 샘플을 LLE(액체-액체 추출) 및 QuEChERS의 전처리 후 LC 및 LC-MS/MS로 분석 하였다. 결과적으로 관주 처리 한 딸기는 모든 처리구에서 1 mg/kg 미만으로 검출되었다. 농약을 경엽 처리와 관주 처리 하였을 때 딸기의 잔류량 차이는 carbendazim의 경우 5-27배 정도 경엽처리가 높았고, azoxystrobin은 관주처리 시 불검출 되어 비교할 수 없었다.

고려인삼(高麗人蔘)에 대한 제초제(除草劑) Fluazifob-butyl의 안전성(安全性) (Safety of the Herbicide Fluazifop-butyl application on the Korean Ginseng(Panax ginseng C.A. Meyer))

  • 조재성;원준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46-150
    • /
    • 1995
  • 선택성 화본과 잡초의 제초적인 Fluazifop-butyl의 고려인삼에 대한 안전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Fluazifop-butyl을 표준 제초약량을 위시하여 이의 3배 또는 4배 약량까지 약량별로 인삼의 경엽에 분무처리한 후 인삼 잎의 광합성량과 호흡량 및 인삼의 경엽생육을 측정하였다. Fluazifop-butyl을 표준 제초약량 또는 2배 약량을 경엽처리할 경우에는 인삼의 광합성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3배 또는 4배 약량의 처리시에는 처리직후 광합성량의 저하를 초래하였던바 3배약량의 처리시에는 처리후 7일에 인삼 잎의 광합성 능력이 정상으로 회복되었으나 4배 약량의 처리시에는 처리후 15일이 경과되어도 광합성 능력이 회복되지 않았다. Fluazifop-butyl을 표준 제초약량으로 경엽처리 할 경우에도 인삼잎의 호흡량은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호흡량의 감소는 처리후 15일이 경과되어도 정상으로 회복되지 않았고 Fluazifop-butyl의 경엽처리에 따르는 호흡량의 감소정도는 처리약량을 증가할수록 현저히 심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Fluazifop-butyl을 표준 제초약량의 3배 약량으로 경엽처리 하여도 인삼 엽병의 길이나 줄기에 대한 엽병의 각도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또한 인삼의 경장, 경직경, 엽장 및 엽폭의 생육에도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Pyribenzoxim 1% 유제(乳劑)의 경엽(莖葉) 부착량(附着量)과 약효(藥效), 약해(藥害)의 관계(關係) (Foliar Retention of the Herbicide Pyribenzoxim(1% EC), and Its Effects on Herbicidal Activity and Rice Phytotoxicity)

  • 구석진;김정수;이재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04-313
    • /
    • 1998
  • 유제(乳劑)를 살포하였을 때 벼와 피에 대한 경엽부착량을 다양한 조건에서 조사하고 그것을 약효 및 약해와 연관시켜 보았다. 경엽부착량의 측정은 형광물질인 rhodamine B를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1. 피에 대한 경엽부착량은 표준처리조건 (약량; 30g ai/ha, 처리물량; 1000 L/ha)에서 disk-type 노즐 (국내 수동배부식 분무기용)로 전착제 가용시, 비가용시, flat-fan 노즐 (구미 boom-sprayer용)로 전착제 가용시, 비가용시, 경엽 생체중 1g 당(當) 각각 2.3-2.7, 1.4-1.5, 0.6-0.7, $0.3-0.5{\mu}g$ 이 었다. 2 처리물량을 고정시키고 농도를 변화시킨 경우와 농도를 고정시키고 처리물량을 변화시킨 경우에 부착량 증감의 기울기는 각각 1.0-1.8, 1.6-2.4로 후자의 경우가 변동의 폭이 더 컸다. 3. 피에 대한 경엽부착량은 약효와 밀접한 연관이 있었으며, 90% 방제를 나타내는 부착량은 경엽 생체중 1g 당(當) 약 $0.8{\mu}g$이었고, 그 이하의 부착량에서는 약효가 거의 직선적으로 감소하였다. 4. 벼에 대한 경엽부착량은 표준처리조건에서 disk-type 노즐로 전착제 가용시, 비가용시, flat-fan 노즐로 전착제 가용시, 비가용시, 경엽 생체중 1g 당(當) 각각 1.9-2.3, 1.2-1.3, 0.6-0.9, $0.3{\mu}g$이었다. 5. 처리물량을 고정시키고 농도를 변화시킨 경우와 농도를 고정시키고 처리물량을 변화시킨 경우에 부착량 증감의 기울기는 각각 1.0-2.8, 1.3-4.4로 파에서와 마찬가지로 후자의 경우가 변동의 폭이 더 컸다. 6. 4배 이내의 약량(농도) 또는 살포량 증가 시에 벼에 대한 pyribenzoxim의 경엽부착량의 증가나 노즐, 전착제 유무에 의한 차이는 약해와 관련이 없었다. 7. 타(他)약제와 혼용시 벼에 대한 pyribenzoxim의 경엽부착량은 약제에 따라 약 30-50%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 PDF

직파(直播) 벼의 제초제(除草劑) 약해(藥害) 요인(要因)과 회복(回復) 연구(硏究) - 2. 영양(營養) 조건(條件)에 따른 약해(藥害) (Factors and Recovery of Herbicide Phytotoxicity on Direct-seeded Rice - 2. Phytotoxicity of Herbicide with Nutrient Condition)

  • 임일빈;구정건이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4-30
    • /
    • 1997
  • 담수 직파 벼에서 최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제초제들의 영양(營養) 유무(有無)에 따른 약해 반응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Bensulfuron-methyl, pyrazosulfuron-ethyl 및 imazosulfuron의 처리는 경엽부(莖葉部)보다 근부(根部)의 생육을 크게 억제시켰으며 영양(營養) 조건 재배에서 무영양(無營養) 조건의 재배에서보다 생육 억제 정도가 컸다. 또한 영양(營養) 재배와 무영양(無營養) 재배에서 벼 생육 억제율(抑制率)의 차이는 pyrazosulfuronethyl의 처리에서 가장 컸다. 2. Dimepiperate의 처리는 경엽부(莖葉部) 근부(根部) 모두 무영양(無營養) 조건에서 생육 저해 정도가 컸으며, 근부(根部)보다 경엽부(莖葉部)의 생육을 크게 억제시켰으며, 특히 초장신장이 크게 억제되었다. 3. Molinate 처리는 경엽부(莖葉部)의 억제율(抑制率)이 근부(根部)보다 컸으며 경엽부(莖葉部)는 영양(營養)조건에서, 근부(根部)는 무영양(無營養) 조건에서 생육 억제율(抑制率)이 큰 경향이었다.

  • PDF

감자후작 벼에 대한 감자경엽 및 비료 사용 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 of Fertilizers and Leaves and Stems of Irish Potato on Rice Crop Cultivated After Potato)

  • 강양순;양의석;박계연;정연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7-114
    • /
    • 1983
  • 감자 재배단지에 있어서 후작 벼에 대한 감자경엽시용방법 및 적정질소 시용량을 구명코자 경엽시용방법 3수준과 질소시용량을 4수준으로 처리하였던 바 1. 감자경엽을 토양중에 시용함으로써 Ammonia태 질소 방출량은 많았으나 토양의 환원이 심하여 수도의 초기생육은 무경엽구에 비하여 억제되었고 그 정도는 신군경엽구 > 반건경엽구 > 부숙경엽구 순으로 컸으며 질소시용량이 많을수록 더욱 현저하였다. 2. 감자경엽 시용으로 벼 식물체 경엽중의 질소와 가리함량은 무경엽구에 비하여 생육초기에는 낮았으나 후기에는 높았고 인산은 그 반대이었으며 규산은 전생육시기를 통하여 높았다. 3. 반건경엽구 및 부숙경엽구는 신군경엽구에 비해서 전생육기를 통하여 규산함량이 높았고 낮은 질소수준(N 5㎏)에서는 출수기까지 질소함량이 낮았으며 규질비는 높았으나 질소 10㎏ 이상에서는 그 차이가 경미하였다. 4. 감자경엽은 반건하거나 부숙시켜 시용함으로써 수도의 등숙비율 및 천립중이 증가되어 3-5%의 증수를 보였다. 5. 감자경엽 시용시 질소시비 적량은 구할 수 없었으나 수도안전재배상 10a당 7㎏ 수준이 적당할 것으로 보였다. 6. 감자후작벼 재배답에서는 토양중 유효인산함량은 과다했으나 가리나 규산함량은 부족되었다. 7. 수확기 경엽중 가리함량과 수량과는 정의 유의상관을 보였다.

  • PDF

Effect of Rumex acetosella Extract on Germination and Growth of Festuca arundinacea

  • Yosep Kang;Но-Jun Gam;Eun-Jung Park;Bo-Ram Choi;Ki-Yong Kim;Sang-Mo Kang; In-Jung Lee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2-112
    • /
    • 2022
  • 외래잡초인 애기수영(Rumex acetosella)는 생태계 교란종으로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고, 우리나라 목초지에 우점하고 있어 큰 문제를 야기한다. 애기수영의 경우, 살초효과 및 제초활성물질인 chrysophanic acid와 catechd이 밝혀져 있지만, 톨페스큐(Festuca arundinacea)에 대한 살초 효과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는 톨페스큐 종자에 대해 애기수영 MeOH 추출물을 처리한 Seed bioassay를 진행해 IC50 값을 구하고, 톨페스큐에 애기수영 MeOH 추출물을 경엽처리를 진행한 후 생육조사를 진행했다. Seed bioassay의 경우, petri dish 위에 톨페스큐 종자 20개가 치상하고, 애기수영 지상부 추출물과 지하부 추출물을 각각 20,000 mg L-1, 10,000 mg L-1, 5,000 mg L-1, 2,500 mg L-1 농도로 serial dilution 하여 1mL씩 분주한 뒤, 일주일 뒤에 발아한 종자에 대해 생체중을 조사하고 Prizm 프로그램을 이용해 IC50을 구하였다. 경엽처리의 경우, 톨페스큐 종자 파종4주 뒤에 IC50값이 더 낮았던 지상부 추출물을 100,000 mg L-1, 50,000 mg L-1, 25,000 mg L-1, 12,500 mg L-1, 6,250 mg L-1 농도로 serial dilution 한 뒤 5mL씩 일주일 간격으로 3회 경엽처리를 진행하였고, 마지막 처리 일주일 뒤 초장, 근장, 생체중, 건물중을 조사하였다. Seed bioassay 결과, 애기수영 지하부 추출물에 대한 톨페스큐의 IC50값은 3274가 나왔고, 애기수영 지상부 추출물에 대한 톨페스큐의 IC50값은 2728가 나왔다. Seed bioassay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 이 었던 지상부 추출물을 이용해 톨페스큐 경엽처리를 진행하였다. 애기수영 지상부 추출물 경엽처리 결과, 톨페스큐 초장과 생체중이 추출물 처리량이 높아짐에 따라 낮아졌으며, 100,000 mg L-1 처리구는 Control과 비교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처리량이 높아짐에 따라 근장이 감소했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건물중은 100,000 mg L-1 처리구가 Control, 12,500 mg L-1, 6,250 mg L-1 처리구와 비교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 PDF

Cyantraniliprole의 담배가루이에 대한 살충활성과 이를 통한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 예방 (Effect of Cyantraniliprole against of Bemisia tabaci and Prevention of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TYLCV))

  • 이문행;이희경;이환구;이순계;김점순;김성은;김영식;서정근;윤영남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3-40
    • /
    • 2014
  • 토마토에 발생하는 담배가루이 방제를 위하여 토마토 정식 직후 cyantraniliprole 근부관수 fb cyantraniliprole 경엽살포 fb 기존 등록약제 3회 혼용살포(처리 1), cyantraniliprole 근부관수 fb dinotefuran + emamectin benzoate 혼용경엽살포 fb 기존 등록약제 3회 혼용경엽살포(처리 2), dinotefuran 근부관수 fb cyantraniliprole 경엽살포 fb 기존 등록약제 3회 혼용살포(처리 3), dinotefuran 근부관수 fb dinotefuran + emamectin benzoate 혼용경엽살포 fb 기존 등록약제 3회 혼용경엽살포(처리 4) 및 무처리(처리 5) 등 5처리를 시험하였다(Table 1 참조). 정식 20일 후 조사(8월17일)에서는 담배가루이의 밀도는 처리 1, 2, 3에서 각각 20주당 0, 0, 0마리였으며, 처리 4, 5에서는 0, 2마리로 담배가 루이의 유입이 적었다. 9월 17일 마지막 조사에서는 처리 1, 2, 3에서 각각 20주당 10.3, 10.3, 10.6마리였으며, 처리 4, 5에서는 23.3, 37.6마리로 cyantraniliprole 근부관수 및 경엽살포가 비교적 우수하였다. 황화잎말림바이러스병(TYLCV)의 발생도 유사한 경향으로 3화방기까지 처리 1, 2에서는 발병이 없었으며, 처리 3, 4에서는 각각 3, 17%로 무처리의 33%에 비하여 효과가 인정되었다. 그러나 3화방기 이후에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상품수량은 처리 1, 2에서 각각 5주당 9,148 g, 9,698 g으로 많았으며, 착과수와 평균과중도 같은 경향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