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안천 유역

Search Result 12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etermination of Focused Control Pollutant Source by Analysis of Pollutant Delivery Characteristics in Unit Watershed Upper Paldang Lake (팔당호 상류의 단위유역별 오염물질 유출특성 분석을 통한 중점관리 오염원 선정)

  • Kim, Dong Woo;Jang, Mi Jeong;Han, Ihn Sup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6 no.5
    • /
    • pp.367-377
    • /
    • 2014
  • Paldang lak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water resource in Korea is classified as a stream type reservoir and water quality of Paldang lake can b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xternal pollutant source. So this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focused control BOD and TP sources of each unit watershed upper Paldang lake through analysis of pollutant source distribution and pollutant runoff characteristics. Generated load, discharge load, delivery load and each load density of 11 unit watersheds upper Paldang lake were calculated using data of water quality and flow rate from pollutant sources and 74 small streams. As a result of generated load, discharge load and delivery load of BOD and TP from pollutant sources, the most BOD generated load was taken by livestock with 66% of total BOD discharge load and domestic had the most BOD discharge load, 42.7%. The ratio of delivery load of livestock and domestic was 36.4% and 34.3%, respectively. Livestock occupied high ratio of TP generated load, discharge load and delivery load with 82.5%, 44.4% and 46.7%, respectively. Gyeongan watershed which had high population density showed the highest BOD delivery load density of $14.6kg/km^2/d$ and the highest TP delivery load density with $1.23kg/km^2/d$ was analyzed in Cheongmi watershed including the biggest number of livestock. From these results, management of domestic sewer and livestock excrement was determined as a focused control pollutant source. And intensive management about domestic sewer in Gyeongan stream and livestock excrement in Cheongmi stream is required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Paldang lake.

Sensitivity analysis of hydrogeologic parameters in SWAT-MODFLOW model (SWAT-MODFLOW 모형의 수리지질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

  • Kim, Nam-Won;Chung, Il-Moon;Lee, Jeong-Woo;Won, Yoo-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824-828
    • /
    • 2006
  • SWAT-MODFLOW 모형은 물리적 기반의 준 분포형 모형인 SWAT모형의 지하수 모듈을 분포형 모형인 MODFLOW로 대체하여 하천과 대수층간의 수위차이에 따른 물교환량으로 지하수 유출량을 결정하는 완전 연동형 지표수-지하수 통합모형이다. 이 모형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유역자료, 기상자료, 하천특성자료, 토지 이용자료, 토양자료, 작물자료, 지하수자료 등 다양한 입력 자료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입력 자료의 변동양상에 따라 모형의 결과가 크게 다르게 나타나므로 모형의 입력 매개변수 변화에 따른 모형의 반응을 분석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유출해석을 담당하는 MODFLOW 모형의 수리지질학적 매개변수 변화에 따른 모형의 반응을 검토하였다. SWAT-MODFLOW 모형을 경안천 유역에 적용하여 투수계수, 저류계수, 하상수리전도도 등의 주요 수리지질학적 매개변수가 지하수 유출현상에 미치는 증감과 변화율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유역출구점에서의 연평균 지하수유출량의 변화, 하천과 대수층의 상호작용에 따른 지하수 유출량 시계열의 변화 등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Evaluation Technique for Stream flow Depletion according to Urbanization in Midium and Small River (중규모하천의 도시화에 따른 건천화 평가기법 개발)

  • Jun, Sang-Mi;Park, Jae-Hyeon;Park, Chang-K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56-156
    • /
    • 2012
  • 최근 우리나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소규모 하천 또는 도시하천은 하천수 및 하천변 지하수 이용의 증가와 토지이용변화 등으로 인해 하천의 건천화가 점증하고 있어 하천의 생태와 건전한 환경이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중소규모 하천 또는 도시하천의 도시화율에 따른 정량화된 건천화의 평가지표를 제시하고 하천 관리지표로 활용하며, 건천화 원인을 분석하여 실용적인 건천화 해소대책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건천화 원인조사 및 원인별 영향 평가에 대하여 국내외 연구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도시화율에 따른 건천화 평가 기준을 개발하고, 연구지역에 적용하여 도시화율에 따른 정량적인 건천화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유역은 남천, 갑천, 경안천, 왕숙천으로 총 4개 유역으로 최근 도시화에 따라 불투수율 증가, 지하수 사용량 증가 등으로 건천화가 진행중인 하천이다. 각 유역은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건천화 평가기법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건천화 등급 1~5심도로 평가되었으며, SWMM_GE 프로그램으로 분석된 유출량과 다변량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불투수율과 지하수사용량에 따른 기저유출 관계식을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향후 대상유역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등 유역의 물건전화 정책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River Channel Morphology and Riparian Land Use Changes using Multi-temporal Aerial Photographs and Topographic Maps of the Early 20th Century in Gyeongan-cheon Watershed (시계열 항공사진과 20세기 초 지형도를 이용한 경안천유역의 하천형태 및 하천부지 변화추세 분석)

  • Park, Geun-Ae;Lee, Mi-Seon;Kim, Hyeon-Jun;Kim, Seong-J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5 s.154
    • /
    • pp.379-390
    • /
    • 2005
  • This study is to trace the change of stream shape using the past series of aortal photographs and topographic maps, and to compare the land use changes of inland along the stream. For the Gyeongan first & second class of local stream, aerial photographs of 1966, 1981 and 2000 were selected and ortho photographs were made with interior orientation and exterior orienta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topographic maps of 1914 - 1915 were used to compare with stream of 1966, 1981 and 2000. As apparent changes of the stream, the consolidated reaches of stream with levee construction were straightened and their stream width widened. Especially the stream width of inlet part of Paldang lake was widened almost twice because of the rise of water level by dam construction in 1974. The land use maps (1966, 1981, 2000) of riparian areas were also made, respectively and classified into 6 categories (water, forest, agricultural land, urban area, road, sandbar) by digitizing, The main changes of land use were agricultural land, urban area, road and sandbar.

Simulation of Hydrological Behavior and Water Quality Using AnnAGNPS on Gyeong-an-Cheon Watershed (AnnAGNPS 모형을 이용한 경안천 유역의 수문$\cdot$$수질 모의)

  • Shin Hyung Jin;Kwon Hyung Joong;Kim Seong Joon
    • KCID journal
    • /
    • v.11 no.2
    • /
    • pp.95-103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imulate streamflow and water quality for Gyeongan watershed (561.1 $km^2$) using AnnAGNPS (Bingner et al., 2000). The model was calibrated and verified for three years (2000, 2002, 2003) stream discharge and w

  • PDF

A study on watershed hydrologic cycle quantification and an evaluation framework of its hydrologic soundness (유역 물순환의 정량화 및 건전성 평가체계 연구)

  • Lee, Sangho;Kang, Taeuk;Jin, Youngkyu;Jo, Young Sik;Jeong, Hyu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19-119
    • /
    • 2022
  • 인위적, 자연적 요인에 의한 물순환 왜곡과 물순환 건전성 저하는 이수, 치수, 환경 등 다양한 물 관리 분야의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에 건전한 유역 물순환 관리에 관한 사회적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유역의 물순환 관리를 위해서는 유역 전반의 물 이동과 물 이용에 관한 정량적인 평가가 선행되어야 하고, 유역의 물순환 건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물순환 정량화를 위해 자연계 및 인공계 물순환 요소를 반영한 유역 유출 모형을 구축하였고, 관측 자료와 모형을 통해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물순환을 정량화하였다. 한편, 물순환 건전성 평가를 위해 물환경, 물이용, 물안전의 3가지 범주 내에 수질 관리, 비점오염 관리, 수생태 관리, 하천유지기능, 지하수 보전, 치수 관리, 이수 관리의 7가지 항목에 대한 건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와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계층 분석적 의사결정 기법에 따른 가중치를 이용하여 7개의 평가항목을 종합한 물순환 건전성 지수(hydrologic soundness index; HSI)를 도입하였다. 구성된 물순환 정량화 및 건전성 평가체계를 경안천과 남강, 미호천, 황룡강 중권역에 적용하여 중권역별로 필요한 물순환 개선 사업과 투자 우선순위가 높은 표준유역을 식별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물순환 정량화 및 건전성 평가체계는 유역의 다양한 물 문제를 객관적으로 진단하는 한 가지 방편으로서, 유역의 물 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적 정보 제공에 이바지할 수 있다.

  • PDF

The Development of Fully Coupled SWAT-MODFLOW Model (완전연동형 SWAT-MODFLOW 결합모형)

  • Kim, Nam Won;Chung, Il Moon;Won, Yoo 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057-106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준분포형 지표수 유출모형인 SWAT과 3차원 지하수 유동모형인 MODFLOW의 완전연동형 결합모형을 독자적으로 개발했다. SWAT의 지하수 모형성분은 집중형이므로 분포형 매개변수와 변화하는 양수량, 지하수위의 변화등을 고려하지 못하며 MODFLOW모형은 주요 입력자요인 함양량의 정확한 산정이 어렵다. 두 프로그램의 연결작업은 지하수 함양량의 전달과정과 하천네트워크-대수층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완성하였으며 경안천유역의 오산천 소유역에 모형을 시험구동을 수행했다. 시험구동결과 결합모형은 수문모형 혹은 지하수 모형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하천-대수층간의 경계유량을 고려한 유출해석이 가늠해짐으로써 유역내 지하수 유출량 및 총 유출량의 신뢰성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gradation of Chlorinated Phenolic Compounds by Soil Actinomycetes Isolated from the Contami-nated Soil Nearby the Kyung-An River (경안천 유역 오염토양에서 분리한 방선균의 염화 페놀계 화합물 분해)

  • 김성민;김창영;김응수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30 no.3
    • /
    • pp.287-292
    • /
    • 2002
  • Lignin-peroxidase (LiP)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dustrial enzymes for biodegradation of various recalcitrant toxic compounds such as chlorinated aromatic hydrocarbons and azo-dyes. Recently, several soil actinomycetes have been reported to secrete a functionally-similar lignin-peroxidase called actinomycetes lig-nin-peroxidase (ALiP). In this manuscript, we isolated over 100 morphologically distinct actinomycetes from the contaminated soils around 10 different gas stations located nearby the Kyung-An river. Among these actinomycetes screened based on the congo-red dye-decolorization activities, one newly-isolated actinomycetes named SMA-2 showed the most significant dye-decoloring activity on the congo-red plate as well as a significant ALiP activity in a yeast-extract-malt-extract liquid media supplemented with starch. The optimum SMA-2 culture condition fur ALiP production was determined and the kinetic parameters fur the SMA-2 AkIP activity were characterized. The optimally-cultured SMA-2 also exhibited the oxidation activities toward various recalcitrant aromatic compounds including phenol, 2- chlorophenol, 4- chlorophenol, 2,4- dichlorophenol ,2,6- dichlorophenol, and 2,4, f-trichlorophe - not, suggesting a potential application of SMA-2 for contaminated soil bioremediation.

Economic Analysis and Evaluation of Flood Damage in Gyeongan Watershed by Using Improved Spatial Analysis Data (개선된 공간분석 자료를 활용한 경안천 유역 홍수피해의 경제성 분석 및 평가)

  • Kang, Yu Jin;Wang, Won-Joon;Kim, Sam Eun;Eom, Junghyu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77-177
    • /
    • 2021
  • 우리나라는 최근 이상기후로 유발되는 여름철 태풍과 집중호우로 인해 매년 심각한 홍수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도시화에 따른 자산 및 인구의 집중화로 인해 홍수피해 규모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재난 발생 시 위험도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재난에 대한 예방이 선행되어야 한다. 한정된 예산에서 효율적인 재난관리의 일환으로 경제성 분석이 있는데, 이는 경제성이 높은 사업을 우선적으로 순위에 두고 시행하는 것이다. 다차원 홍수피해 산정법(이하 다차원법)은 2004년에 개발된 경제성 평가모형으로서, 예상피해액 산정 결과가 개선법에 비해 정확하다고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다차원법에 적용되는 토지피복도는 동일한 구역에 있는 군집으로 나누어진 자료로 건물피해액 산정 시 도로면적까지 포함되는 경우가 있어 실제 피해액이 과대평가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로명주소 전자지도를 활용해 다차원법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도로명주소 전자지도는 폴리곤 객체 단위로 건물이 구현되는 공간분석 자료로 건물피해액 산정 방법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안천 유역의 홍수위험지도를 사용하여 도로명주소 전자지도와 토지피복도를 각각 적용했을 때 나타나는 경제성 분석 결과를 비교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의 토지피복도를 사용한 피해액 산정결과보다 개선된 공간분석 자료를 적용했을 때 더 정확한 예측피해액 산정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법의 일반자산 피해항목 중 건물피해 산정방법만을 개선시켰는데, 향후 연구에서 농업지역, 산업지역, 공공시설물 피해 등의 산정방법의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 Integrated Surface Water-Groundwater Modeling by Using Fully Combined SWAT MODFLOW Model (완전연동형 SWAT-MODFLOW 모형을 이용한 지표수-지하수 통합 유출모의)

  • Kim, Nam Won;Chung, Il Moon;Won, Yoo Se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5B
    • /
    • pp.481-488
    • /
    • 2006
  • This paper suggests a novel approach of integrating the quasi-distributed watershed model SWAT with the fully-distributed groundwater model MODFLOW. Since the SWAT model has semi distributed features, its groundwater components hardly considers distributed parameters such as hydraulic conductivity and storage coefficient. Generating a detailed represent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head distribution and pumping rate is equally difficult. To solve these problems, the method of ex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ydrologic response units (HRUs) in SWAT with cells in MODFLOW by fully combined manner is proposed. The linkage is completed by consider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tream network and the aquifer to reflect boundary flow. This approach is provisionally applied to Gyungancheon basin in Korea. The application demonstrates a combined model which enables an interaction between saturated zones and channel reaches. This interaction plays an essential role in the runoff generation in the Gyungancheon basin. The comprehensive results show a wide applicability of the model which represents the temporal-spatial groundwater head distribution and rechar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