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성저질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6 seconds

A Survey of the Rocky Intertidal Biota in Uldolmok, Korea (울돌목 암반조간대 부착생물상 연구)

  • Park Ja-Yang;Lim Byung-Jin;Lee Jae-I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6a
    • /
    • pp.502-506
    • /
    • 2005
  • 2003년 11월과 2004년 4월의 2회에 걸쳐 상용조류발전소 건설 예정지인 울돌목에서 발전소 건설로 인해 야기될 주변생태환경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4개 지점의 주변 암반조간대에 형성된 기존의 부착생물상 조사가 수행됐다. 울돌목 주변의 암반조간대에 형성된 부착생물상은 서식 형태에 따라 크게 대형해조류(Macroalgae)를 포함한 고착생물, 소 이동성 부착동물, 이동성 소형 무척추동물 등으로 구분된다 부착생물상은 서식양상에 있어 각각의 정점별 특이성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각기 다른 비생물학적 요인에 따라 지역 특유의 서식환경이 조성되어 있음을 시사하는 간접적인 결과로 간주된다. 이같은 지역 간 생물상 차이는 조위에 따른 수직분포 분석결과 주로 중부조간대를 중심으로 형성된 생물상에 따라 대별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 PDF

Vertical Distribution of Mega-invertebrate and Calculation to the Stock Assessment of Commercial Species Inhibiting Shallow Hard-bottom in Dokdo, Korea (독도 연안 암반에 서식하는 초대형 저서동물의 수직분포와 산업종의 현존량 추정)

  • Park, Heung-Sik;Park, Rae-Sun;Myoung, Jung-Goo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v.24 no.4
    • /
    • pp.457-464
    • /
    • 2002
  • Distribution and stock assessment of mega-benthos living in the shallow hard bottom around Dokdo were studied in July,2000. Depth and topographical conditions have affected to the densities and biomass of benthic animals. In shallow area, less than 10 m depth, turbo shell Batillus cornutus, mussel, Mytilus corusucs were dominated and showed distinct patterns in vertical distribution. On the other hand, the area over 10m depth, it showed diverse pattern depending on topography. Turbo shell, mussel and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were dominated in terms of fishery resources, but abalones were rarely sampled. Stock assessment were estimated to be 6.54 M/T, 3.89 M/T and 8.92 M/T, respectively. Some parts of coastal hard bottom around Dokdo, such as the area between Dongdo and Seodo, seemed to play an Important role as nursery grou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he environmental monitoring for coastal fishery managements asp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