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사가공

Search Result 152,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5-axis machining with selective three-axis controlled CNC machine (선택적 3축 제어기를 이용한 5축 가공연구)

  • 김성구;서석환;이정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11a
    • /
    • pp.683-689
    • /
    • 1996
  • 5축 가공기는 가공중의 공구자세 변화를 요구하는 복잡한 산업형상의 가공, 혹은 경사 가공을 통한 표면조도 향상등의 목적으로 채용되는 첨예의 공작기계로서 이를 지원하는 CAM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산업현장에서 흔히 5축 가공기로 일컬어지는 상당수의 5축 가공기는 기구축은 5축을 가지나, 동기제어 축수는 3측인 “선택적 3/5축 가공기”의 형태로서 진정한 의미의 5축가공기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5축 동기제어를 지원하는 CAM연구는 부분적으로 연구 개발된 상태이나, 선택적 3/5축을 지원하는 CAM 이론은 연구된 바 없으며, 이에 따라 현장에서는 공작물의 셋업을 변경시키는 소위 자동 인덱싱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팀에서는 선택적 3/5축 가공기에서 5축 가공을 실현할 수 있는 공구경로 산출 및 제어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5축 가공 대비) 선택적 3/5축 가공문제의 이론적 특성과 경사가공을 수행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소개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유효성을 보인다.

  • PDF

A Tangential Cutting Algorithm using Simulated Annealing (시뮬레이티드 어니얼링을 이용한 경사선분 추출 알고리즘의 개발)

  • 천인국;김승우;방재철;이효진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d
    • /
    • pp.574-578
    • /
    • 2002
  • 층 단위로 가공하는 RP(Rapid Prototype) 시스템에서 가공되는 물체의 표면에서는 계단형의 윤곽이 나타난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경사절단 방법으로 3D 모델을 가공하여 기존의 가공방법에 의해 발생하는 계단형 윤곽 모습과 표면 왜곡 둥의 문제를 보완할 수 있다. 최적의 경사선분의 집합을 구하기 위해 경사절단 선분의 길이와 중간층 점의 거리를 정의하여 이를 최소화하는 에너지 함수를 구현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경사절단 선분이 에너지가 작아지는 방향으로만 움직이기 때문에 레이어의 윤곽이 복잡한 경우 최적의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서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 국부적 최적해(Local Minima)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부적 최적해를 벗어나기 위해 경사절단 선분 추출 알고리즘에 시뮬레이티드 어니얼링(Simulated Annealing) 방법을 적용하였다. 제안된 방법으로 테스트한 결과 복잡한 레이어 윤곽에서 생길 수 있는 국부적 최적해가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

  • PDF

Effect of Grain Angle on Bending Properties of Pinus densiflora (소나무재의 휨 가공성에 미치는 섬유경사각의 영향)

  • Kim, Jung-Hwan;Lee, Weon-Hee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9 no.2
    • /
    • pp.118-125
    • /
    • 2001
  • In this study, it wa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bending property of red pine(Pinus densiflora S, et Z.) related to slope of grain. At first, we hav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wood species for bending property. At second, it was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grain angle and its related bending property. Specimens were made following to grain angle $0^{\circ}$, $30^{\circ}$, $45^{\circ}$, $60^{\circ}$, $90^{\circ}$, respectively. Dimension of wood materials was $10mm(T){\times}20mm(R){\times}350mm(L)$. Microwave irradiation time for bending process was 30, 60, 90, 120 second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Grain angle of wood was closely related to Young's modulus on bending process. In the process of bending with various grain angle, wood bending was easily proceed on the high grain angle range. 2. However, the strength of bent wood was very weak when the grain angle was high. Therefore, it was considered suitable grain angle for bending was existed. 3. The characteristics of wood properties for wood bending were very different among wood species.

  • PDF

Polyester소재의 광택제어기술 연구

  • Park, Seong-Min;Kim, Ji-Yeon;Jang, Jong-Myeong;Son, Won-Seok;Yun, Nam-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127-128
    • /
    • 2009
  • 30데니어 이하 세데니어의 특수한 광택감을 활용하여 그 효과를 제어하는 기술, 경사의 경우 원사의 사종과 굵기를 조절해서 경사 사이로 비치는 위사의 광택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원사의 선정, 사가공, 사염, 제직, 전처리, 염색, 후가공 공정 전반에 걸쳐 기기 및 조건을 변경하여 시제품을 제작중이다.

  • PDF

Development of Five Axis Laser Cutting System for the Tangent Cutting Solid freeform fabrication System (임의형상가공시스템을 위한 레이저 5축 경사절단기의 개발)

  • 주영철;엄태준;이창훈;공용해;천인국;김승우;방재철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2.11a
    • /
    • pp.260-262
    • /
    • 2002
  • 제품의 소재를 미리 테입 형태로 만들어 단면의 경계면을 따라 레이저로 절단하여 적층하는 방식은 제품의 표면에 계단 모양의 무늬가 생기므로 정밀한 제품을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단면의 경계선을 절단할 때 수직으로 절단하는 것이 아니라 경사면을 따라 절단하여 전체적인 제품의 옆면이 부드럽게 연결되는 경사절단형 임의형상가공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레이저 5축 경사절단기를 개발하였는데, x축과 y축은 상용화되어 있는 x-y table을 이용하였고 z축은 한 개의 z축 이송대를 이용하였다. 롤과 피치를 위하여는 서보모터 두 개를 이용하여 작업대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레이저 5축 경사절단기를 개발함으로써 시편의 어느 위치에서든 어느 각도로도 절단이 가능하게 할 수 있었다.

The Study of Silk Selvedge Recycle (실크샐비지 재활용에 관한 연구)

  • Cho, Seok-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54-54
    • /
    • 2011
  • 실크제품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셀베지는 실크직물 생산량의 약 10% 정도 발생하지만 비용절감을 위해서 경사에 실크외의 합성섬유를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인 회수기술이 없어 전량 폐기되고 있어 이를 효과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맞춤형 셀베지 분리기계 및 분리 system을 개발하고 방적사의 원료로 재활용하여 신규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고효율 회수장치 개발 및 방적사, 부직포 제조기술을 개발 하고자 한다. 경위사분리기의 기본 구성을 보면 제직현장에서 레피어 직기는 원단의 좌우측에서 절단된 셀비지를 한데 모아 두겹으로 배출하기 때문에 수거된 셀비지를 하나씩 분리하여 연속작업이 가능하게 권취하였고, 마찰에 의한 정전기를 막기 위해 물에 적신 후 가압롤러로 경사에 장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물기를 제거하며, 경사를 충분히 벌려주면서 회전날에 의한 진동으로 위사를 경사와 분리시키면서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도록 하였다. 경사의 권취속도와 회전날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기계분리 능력을 올릴 수 있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