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부 재발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8초

근치적 방사선치료에 완전반응을 보인 경부 림프절에서의 재발 양상 및 그 의의 (Significance of the Failure Patterns in Cervical Lymph Nodes Achieving a Complete Response to Radical Radiotherapy)

  • 남지호;김원택;기용간;김동현;최영진;조규섭;이진춘;이병주;김동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8권1호
    • /
    • pp.9-15
    • /
    • 2010
  • 목 적: 진행된 두경부암 환자들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 후 완전반응을 보인 경부 림프절 병변에서의 재발 빈도와 양상을 확인하고, 이의 임상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7년부터 2008년까지 원발성 두경부 상피세포암종 및 경부 림프절 종대 병변에 대해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환자들의 임상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들 중 경부 림프절 병변에 충분한 방사선조사를 받은 후 완전 반응으로 평가된 환자들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주기적 영상자료를 바탕으로 경부 림프절에서의 재발 빈도와 양상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재발률과 관련된 예후인자들도 분석하였다. 결 과: 방사선치료 후 경부 림프절에서 완전반응으로 평가된 환자들은 73명이었다. 이들의 추적관찰 기간 동안의 재발률은 19.2%였다. 원발 병변에서도 완전반응을 보인 55명에서의 경부 재발률은 5.5%였다. 경부 재발의 80% 이상이 3년 이내에 확인되었으며, 47%에서 원발 병변의 재발이나 진행과 관련이 있었다. 치료 후 원발 병변의 반응 정도와 방사선 모의치료 방법이 경부 림프절 재발률과 관련 있었다. 결 론: 방사선치료 후 원발 병변 및 경부 림프절 병변에서 완전반응으로 평가된 환자들에서의 경부 림프절 재발률은 약 5%로, 이들에서는 계획된 림프절 절제술 없이 정기적인 추적관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후기 재발성 자궁 경부암의 비전형적인 복막 전이: 증례 보고 및 문헌 고찰 (Unusual Peritoneal Metastasis of Late Recurrent Uterine Cervical Cancer: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박상민;김희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4호
    • /
    • pp.904-909
    • /
    • 2022
  • 자궁 경부암은 여성 비뇨 생식기계에서 가장 흔한 악성 종양이다. 대부분의 재발성 자궁 경부암은 초기 치료 후 2년 이내에 진단되고 무병 기간이 5년 이상인 후기 재발은 매우 드물다. 또한 복막 전이는 보통 복강 내 뚜렷한 다발성 결절 그리고 결절성 또는 미만성 복막 비후의 형태로 나타난다. 여기서 우리는 조영증강 컴퓨터단층촬영에서 우측 횡격막하 공간에 큰 단일 괴사성 종괴로 보인 후기 재발성 자궁 경부암의 비전형적인 복막 전이라는 매우 드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경미한 경부 증상이 있는 대상자의 경추 관절 운동 범위 연구 (Cervical Range of Motion Associations with Sub-clinical Neck Pain)

  • 이해정
    • PNF and Movement
    • /
    • 제1권1호
    • /
    • pp.43-57
    • /
    • 2003
  • 목적: 병원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만큼의 경부통증/증상과 관절가동범위, 경흉추의 다각적 면에서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서이다. 방법: 연령은 19세에서 42세(평균연령 28세로 실험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건강한 성인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경흉추의 척추 자세, 경추 능동 관절 가동범위, 경부 분절 길이 등의 다각적인 면을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들은 동일시에 각 대상자에게 서로 다른 측정자에 의해 두 번 실시되었다. 경부 근 지구력은 수정된 Biering-Sorensen 검사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마지막으로 대상자들에게 경부 통증/증상의 재발에 대한 질문을 하였다. 결과: 14명의 대상자들은 경미한 재발성 경부 통증/증상을 보고하였다. 경부 근 지구력 시간(F(1,38)=6.75, p=0.01)과 좌측 회전 가동 범위(F(1,38)=4.56, p=0.04)가 경부 통증을 가진 대상자들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신전 가동범위가 재 측정에서 특정군 변화 즉, 정상군 증가, 경부 통증/증상군 감소(F(1,38)=4.67, p=0.04)가 보였다. 경부 통증/증상군은 정상군과 비교 시 후인 가동 범위의 증가하였다(F(1,38) =4.56, p=0.04). 통증 유무에 관계없이 모든 대상자들에서 우측 회전보다 좌측 회전에서 가동범위가 더 크게 나타났고(F(1,38) =4.34, p=0.04), 반복 측정에서 좌측 측방굴곡 (F(1,38) =5.10, p=0.03)과 우측 측방 굴곡(F(1,38) = 5.27, p=0.03)의 감소가 나타났다. 결론: 경미한 증상의 경부통증 대상자군과 정상적인 대상자군을 비교할 때 그룹 간 차이는 경부 근 지구력 시간의 감소, 좌측 회전 가동 범위 감소와 특히, 두 번 째 측정에서 신전범위 감소가 나타났으나 후인의 가동범위는 증가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경부 통증의 발생과 관련된 초기 가동범위 변화를 제안한다.

  • PDF

하인두암 (Cancer of the Hypopharynx)

  • 설대위;정성민;박윤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5-70
    • /
    • 1987
  • 하인두암은 거의 대부분 이상동(Pyriform Sinus) 에서 발생하며 상당한 정도 진행 시까지 별다른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저자들은 1966년부터 1985년까지 만 20년간 하인두에서 발생된 암환자 63명을 중심으로 임상 관찰 및 문헌고찰과 함께 발표하는바이다. 원발병소로는 전체 중 58명에서 이상동, 하인두벽(hypopharyngeal wall) 3명, Postcricoid hypopharynx 와 pharyngopalatine fold 에서 각각 1명씩의 발생빈도를 보였다. 저자들은 설저(base of tongue)암, supraglottic Ca. 및 경부 식도(cervical esophagus)암 경우는 모두 제외시켰다. 임상증상으로서는 경부 종괴(lump)가 33 예로써 가장 현저했으며 또한 첫증상으로써 연하곤란(dysphagia) 또는 sore throat를 나타낸 경우는 32 예 이었다. 그 외에 hoarseness 가 20 예, bloody sputum 4 례 및 호흡곤란 2 예의 순이었다. 내원까지의 증상기간은 대부분 $4{\sim}6$ 개월 이었다. 흡연관계는 1일 1값 이상의 중등도 흡연 경우는 전체의 58% 이었으며 흡연 사실이 있었던 경우는 전체의 88% 이었다. 연령별 발생빈도는 50대$\sim$60대에서 48명으로서 현저히 높았다. 완치 목적의 수술적 치료는 24명에서 시행하였으며 치료 거절은 16명이었다. 치료 거절하였던 환자들 중 81% 가 임상적 제 4 병기였으며 보조적 치료 요법을 실시한 환자들의 78% 에서 제 4 병기였다. 또한 완치 목적의 치료 실시 경우의 67% 에서 제 4 병기였다. 수술요법은 일반적으로 "후두 인두 적출술 및 양측 경정맥 임파군 곽청술"(laryngopharyngectomy with bilateral jugular dissection) 또는 후두 인두 적출술 및 동측의 표준 광범위 경부 곽청술(standard radical neck dissection) 과 반대측의 경정맥 임파군 곽청술을 시행하였다. 3 년 이내와 3 년 이상무병 상태(free of disease) 경우가 각각 4명씩이었다. 마지막 예후 추적 조사시까지 무병 상태였던 환자를 포함하여 예후 추적 조사기간 중 추적 실패 경우는 7명이었다. 확정된 3 년 생존율(determinate 3-year survival rate) 은 31% 이었다. 수술 사망이 1명 있었으며 재발경우는 9 명이었다. 재발부위로는 원발병소 재발이 7명, 경부 재발 1명 및 원격전이가 1명 이었으며, 저자들은 이에 대한 실패 원인을 규명코져 하였다.

  • PDF

초기 후두암의 치료 - 보존적 후두절제술의 적용범위와 방법 - (Treatment of Early Laryngeal Cancer - Indication and Technique of Conservative Partial Laryngectomy -)

  • 서장수;송시연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7-36
    • /
    • 1997
  • 초기후두암에 있어서 보존적 술식의 장점은 후두 전적출술시와 같은 국소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후두의 생리적 기능을 최대한 보존하는데 있다. 성공적인 후두부분절제술을 위해서는 후두내에서 종양의 발생위치 및 그 확산에 대한 연부조직들의 해부학적 역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과거에는 초기후두암환자에서 정상적인 목소리를 보존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방사선 치료가 일차적 치료요법으로 많이 시행되어 왔다. Wang 과 Wong은 성대 막양부에 국한된 병변에서 방사선치료에 대한 5년간 조절율(5-year control rate)이 92%, 전연합부를 침범한 경우가 81%, 그리고 후방으로 전파된 경우 76%로 감소된다고 보고하였다. Olofsson 등은 전연합부를 침범한 57례의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여 85.7%의 5년 생존율을 얻었으나, 57례중 15례에서 재발하여 구제수술(salvage surgery)을 시행하였고, Jesse 등$^{13)}$ 은 전연합부를 침범한 91례의 T1, T2 성문암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여 8.8%의 실패율을 보였으나 22례의 환자에서 재발하여 후에 salvage surgery를 시행하였다. 그러나 Ogura 등은 피열 연골을 침범한 79례의 환자에서 보존적 수술을 시행한 결과 6례의 환자에서 재발하여 90%의 3-years control rate를 얻을 수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이처럼 병변이 전연합부, 피열연골 혹은 후방성문하부로의 침범이 있는 경우는 방사선 치료 효과가 떨어지고, 따라서 방사선 치료에 실패할 가능성이 보다 높기 때문에 비록 방사선 치료 후 실패한 경우에서 구제 수술을 시행할 수는 있지만 후두기능을 보존하려는 궁극적인 목표를 생각할 때 보존적 수술을 우선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Biller 등은 방사선 요법에서 실패한 성문부 종양에서는 대부분 전적출술을 시행하지만 일부는 보존적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들은 반대측 성문부에 종양의 침범이 없어야 하고, 전연 합으로의 파급은 있어도 가능하며 성대돌기를 제외한 피열연골이 정상이어야 하고, 종양의 성문하부로의 파급이 5mm 이내라야 하며, 연골에 침범이 없어야 하고, 성대고정이 없어야 하며, 재발 병소가 방사선요법 전의 원발병소와 상관관계가 있어야 하며, 원발병소가 후두부분적출술에 합당할 경우 보존적 술식을 시행할 수 있다고 하였다. 최근에는 다양한 후두 재건술의 발달로 보다 진행된 후두암에 대한 보존적 후두절제술들이 소개되고 있다. 단측 T3,T4 후두암 혹은 경성문암, 이상와에 위치한 암의 경우 음성만을 재건하는 후두근적출술 (near total laryngectomy)을 시행하기도 한다. 본원 이비인후과에서 1986년부터 초기성문암 51례 중 24례(47.1%)와 초기성문상암 17례 중 12례 (70.6%)에 대하여 보존적 술식을 시행하였다. 초기 성문암의 보존적 술식을 시행한 24례중, 2례(8.3%)에서 경부재발, 1례(4.2%)에서 경부재발과 동반된 폐의 원격전이가 있었으나 원발부위의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고, 술후 합병증으로 1례(4.2%)에서 후두협착, 3례(12.5%)에서 수술부위의 육아종형성, 그리고 1례(4.2%)에서 기관지염이 발생하였으나 오연으로 인한 폐렴은 발생하지 않았다. 초기성문 상암의 보존적 술식을 시행한 12례 중 1례(8.3%)에서 원발병소의 재발, 2례(16.7%)에서 경부재발이 있었으며, 술후 합병증으로 3례(16.7%)에서 오연으로 인한 폐렴의 발생이 있었지만 다른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초기성문암 24례 중 재발이 나타난 3례의 환자를 제외한 21례(97.5%)와 초기성문상암 12례 중 재발이 나타난 3례의 환자를 제외한 9례 (75%)에서는 현재까지 재발소견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보고자들과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지만 아직까지 증례가 많지 않기 때문에 생존율을 얻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자궁 경부암의 수술후 방사선 치료에서 선량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ose Distribution in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Uterine Cervical Cancer)

  • 신세원;김성규;김명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8권1호
    • /
    • pp.166-177
    • /
    • 1991
  • 1986년 4월부터 1991년 3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자궁 경부암으로 확진되어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22명의 환자에서 방사선 선량 분포에 따른 치료성적은 다음과 같다. 1. 22명중 3명(13.6%)에서 골반이나 복부에 재발이 생겼으며 임상적 병기가 진행될수록, 외부조사선량이 적을수록 재발이 많았다. 2. 골반내 임파선 전이와 임파혈관 침범인 경우에 재발이 되었다. 3. 강내조사 선량이나 수술방법은 재발과 무관하였다. 4. 중대한 합병중은 임상적 병기가 앞설수록 외부조사 선량이나, 총조사 선량이 증가할수록 많이 발생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본원 치료방사선과의 자궁 경부암의 수술후 방사선 치료원칙은 적절하며 재발방지와 합병증의 예방을 위한 세심한 주의와 항암제를 위시한 전신요법의 추가를 고려하여야 하겠다.

  • PDF

흉부식도암의 근치적절제후 국소 재발에서의 유리공장 이식술 -1례- (Surgical Treatment in Local Recurrence of Esophageal Cancer with Free Jejunal Graft -A Case Report)

  • 이종목;임수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4호
    • /
    • pp.449-452
    • /
    • 1997
  • 저자들은 흉부식도암의 근치적 절제후 국소재발을 보인 1례를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식도아절제술후 후종격동 경로를 통한 경부식도-위 문합술을 시행받았었다. 수술 20개월후 환자는 연하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였고 컴퓨터 단층촬영과 경피적 세침흡인 조직검사등을 통해 국소재발을 확인하였다. 환자는 경부식도절제, 위 분문부의 부분절제 및 후두절제를 시행하고 유리공장 이식 편을 이용하여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 PDF

두경부암 환자의 추적관찰에서 $^{18}F$-FDG PET/CT의 유용성 (The Utility of $^{18}F$-FDG PET/CT for Following Up Head and Neck Cancer)

  • 정은재;백승국;우정수;권순영;정광윤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8-182
    • /
    • 2010
  • 서 론 : 두경부암의 예후에 가장 중요한 인자는 진단시 병기와 치료 후 재발의 유무이다. 따라서, 재발 병변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두경부암 환자의 추적 관찰에서 $^{18}F$-FDG PET/CT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4년 4월부터 2008년 8월까지 고려대 안암병원에서 두경부암으로 치료를 완료한 후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88 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는 본원의 두경부암 추적관찰 양식에 따라 술 후 6, 12개월째 $^{18}F$-FDG PET/CT를 시행하였으며, 원발부위 및 경부 재발, 원격전이와 중복암의 진단에 있어 $^{18}F$-FDG PET/CT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율, 음성예측율을 평가하였고, 기존의 추적관찰 방법과 이를 비교하였다. 결 과 : 원발부위 재발의 진단에 있어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율, 음성예측율은 각각 95%, 97%, 90%, 98% 였다. 경부전이 재발의 진단에 있어서는 각각 94%, 98%, 83%, 99%였으며, 원격전이 및 이차암 진단에 있어서는 94%, 100%, 100%, 99%였다. 원발부위 재발은 고식적인 진단 방법, 원격전이와 이차암은 $^{18}F$-FDG PET/CT가 진단에 의미있게 유리하였다. 결 론 : $^{18}F$-FDG PET/CT는 두경부암의 추적관찰 과정에서 재발 여부를 판정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하며, 특히 원격전이 및 이차암의 발견에 있어 유용하다. 그러나, 위양성 및 위음성의 가능성으로 고식적인 진단 방법과 병행해야 진단의 효과를 높힐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