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로생성

Search Result 1,54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자율운항선박의 항계 내 계층적 경로 생성 프레임워크에 관한 기초 연구

  • 박정홍;강민주;윤원근;김혜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79-8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이 복잡한 항계 내에서 다양한 해상 객체와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하여 계층적 경로 생성 기법을 연계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항계 내에는 항로를 항행하는 선박 외에도 정박 영역 내 정박 또는 묘박 중인 선박뿐만 아니라 항로 표지나 부표와 같은 정적 객체들이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다. 자율운항선박의 효율적 운항을 위해서는 운항 중에 조우하게 되는 객체의 정적/동적 속성에 따라 경로 생성 기법이 달리 적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경로 생성 프레임워크는 항계 내의 정적 객체나 항행 가항 영역 및 항행 불가항 영역 등에 대한 위치 정보들은 사전적 정보로 활용 가능하므로, 샘플링 기반의 전역 경로 생성 기법을 적용하여, 초기 출발지에서 최종 목적지까지의 예상 경로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전역 경로를 추종하며 운항하는 과정에서 조우하게 되는 동적 객체들과의 조우 상황별 국제해상 충돌예방규칙(COLREGs)을 고려한 지역 경로를 생성한다. 샘플링 기반의 전역 경로와 국소 영역에서의 충돌 회피를 위한 지역 경로를 연계하기 위한 계층적 경로 생성 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프레임워크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 PDF

Building Certification Paths in Certificate Validation Server (인증서 검증서버의 인증경로 생성)

  • 노종혁;김태성;원형석;진승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c
    • /
    • pp.604-606
    • /
    • 2002
  • PKI에 필수적인 요소인 인증서 검증에 있어 인증서 검증서버인 ETRI/VA는 인증서의 상태 검증의 적시성을 제공하고 인증경로 생성 및 검증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부담을 줄이며. PKI 상호연동을 지원하고 도메인간의 인중서 정책을 중앙집중 관리한다. 본 논문은 ETRI/VA에서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인증경로 생성 방법을 제안하였다. 인중기관 인증서로 이루어진 인증경로를 미리 생성하고 저장하여 사용함으로써 검증 요청시 빠르게 인증경로를 생성할 수 있고. 요청에 의해 생성된 인증경로를 저장하여 이후 동일한 검증대상 인증서의 검증시 기 저장된 인증경로를 재사용하게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인증경로를 생성한다.

  • PDF

A Program Test Path Generation and Complexity Metrics Based on Execution Path and Program Activity Characteristics (프로그램 동작특성과 실행경로 기반의 테스트 경로 생성과 복잡성 척도)

  • 고일석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5A
    • /
    • pp.752-762
    • /
    • 2001
  • 소프트웨어의 유지보수 과정에서 효율적인 복잡성 척도와 테스트 경로의 생성은 중요한 문제이다. 대부분의 경우 테스트 경로의 생성과 복잡성 척도의 측정은 독립적인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테스트 경로의 생성과 복잡성 척도를 통합적으로 생성하고 있다. 제안한 기법은 PUT(Program Under Test)를 확장한 페트리네트 그래프(EPG)를 이용하여 모델링하고 이것의 통합적인 분석을 통하여 테스트 경로를 생성하며, 이 과정에서 생성된 실행경로의 제어구조별 평균 발생 빈도수를 이용하여 복잡성 척도 EV(G)를 구하였다. EV(G)는 실제 프로그램의 실행경로에 기반을 두었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제어구조별 차이점 외에도 프로그램의 동작 특성을 복잡도에 잘 반영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통합 기법에 의한 테스트 경로 생성 기법과 복잡성 척도를 소프트웨어의 유지보수에 활용한다면 노력과 비용의 절감 및 소프트웨어의 질적 향상을 가져올 것이다.

  • PDF

Smooth Path Generation using Hexagonal Cell Representation (육각형 격자를 사용한 부드러운 경로생성)

  • Jung, Dong-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9 no.12
    • /
    • pp.1124-1132
    • /
    • 2011
  • This paper deals with smooth path generation using B-spline for fixed-wing unmanned aerial vehicles manuevering in 2D environment. Hexagonal cell representation is employed to model the 2D environment, which features increased connectivity among cells over square cell representation. Subsequently, hexagonal cell representation enables smoother path generation based on a discrete sequence of path from the path planner. In addition, we present an on-line path smoothing algorithm incorporating B-spline path templates. The path templates are computed off-line by taking into account all possible path sequences within finite horizon. During on-line implementation, the B-spline curves from the templates are stitched together repeatedly to come up with a reference trajectory for UAVs. This method is an effective way of generating smooth path with reduced on-line computation requirement, hence it can be implemented on a small low-cost autopilot that has limited computational resources.

Local Path Generation Method for Unmanned Autonomous Vehicles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강화학습을 이용한 무인 자율주행 차량의 지역경로 생성 기법)

  • Kim, Moon Jong;Choi, Ki Chang;Oh, Byong Hwa;Yang, Ji Hoon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3 no.9
    • /
    • pp.369-374
    • /
    • 2014
  • Path generation methods are required for safe and efficient driving in unmanned autonomous vehicles. There are two kinds of paths: global and local. A global path consists of all the way points including the source and the destination. A local path is the trajectory that a vehicle needs to follow from a way point to the next in the global path.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method for local path generation through machine learning, with an effective curve function used for initializing the trajectory. First, reinforcement learning is applied to a set of candidate paths to produce the best trajectory with maximal reward. Then the optimal steering angle with respect to the trajectory is determined by train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Our method outperformed existing approaches and successfully found quality paths in various experimental settings, including the cases with obstacles.

Real-time Obstacle Detection and Avoidance Path Generation Algorithm for UAV (무인항공기용 실시간 장애물 탐지 및 회피 경로 생성 알고리즘)

  • Ko, Ha-Yoon;Baek, Joong-Hwan;Choi, Hyung-Sik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2 no.6
    • /
    • pp.623-629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al-time obstacle detection and avoidance path generation algorithm for UAV. 2-D Lidar is used to detect obstacles, and the detected obstacle data is used to generate real-time histogram for local avoidance path and a 2-D SLAM map used for global avoidance path generation to the target point. The VFH algorithm for local avoidance path generation generates a real-time histogram of how much the obstacles are distributed in the vector direction and distance, and this histogram is used to generate the local avoidance path when detecting near fixed or dynamic obstacles. We propose an algorithm, called modified $RRT^*-Smart$, to overcome existing limitations. That generates global avoidance path to the target point by creating lower costs because nodes are checked whether or not straight path to a target point, and given arbitrary lengths and directionality to the target points when nodes are created. In this paper, we prove the efficient avoidance maneuvering through various simulation experiment environment by creating efficient avoidance paths.

A Path Generation Method for a Autonomous Mobile Robot based on a Virtual Elastic Force (가상 탄성력을 이용한 자율이동로봇 경로생성 방법)

  • Kwon, Young-K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8 no.1
    • /
    • pp.149-157
    • /
    • 2013
  • This paper describes a global path planning method and path optimization algorithm for autonomous mobile robot based on the virtual elastic force in a grid map environment. A goal of a path planning is information for a robot to go its goal point from start point by a effective way. The AStar algorithm is a well-known method for a grid based path planning. This paper suggest a path optimization method by a virtual elastic force and compare the algorithm with a orignal AStar method. The virtual elastic force makes a shorter and smoother path. It is a profitable algorithm to optimize a path in a grid environment.

A Path Planning Scheme Using the Moving Tendencies of Users in Road Network Environments (도로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의 이동 성향을 고려한 경로 생성 기법)

  • Hwang, Dong-Gyo;Park, Hyuk;Kim, Dong-Joo;Li, He;Park, Jun-Ho;Park, Yong-Hoon;Bok, Kyoung-Soo;Yoo, Ja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c
    • /
    • pp.169-171
    • /
    • 2012
  • 일반적인 경로 생성 기법에서는 거리가 가장 짧은 최단경로 및 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빠른 경로와 같이 사용자의 이동 성향을 고려하지 않고 경로를 생성하였다. 하지만 사용자들은 시간, 거리, 도로 혼잡도와 같은 속성들에 의해 선호하는 경로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이동 성향에 맞는 경로를 생성하는 기법들이 필요하다. 기존의 기법들은 이동 성향을 고려하여 경로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이동 성향 정보를 추가적으로 입력하여야 한다. 하지만 네비게이션 및 모바일 장치의 불편한 인터페이스 특성상 이러한 정보 입력은 거의 하지 않고 출발지와 목적지만을 입력하여 경로를 추천 받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추가적인 이동 성향에 대한 정보 입력 없이 과거 궤적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 성향을 암시적으로 추출하고 이동 성향에 맞는 경로를 생성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성능평가를 통해 최소 시간 경로나 최단 거리 경로와 비교하여 제안하는 기법이 사용자의 이동 성향을 고려한 경로가 생성됨을 입증한다.

Development of Way-points Generation Algorithm for Autonomous Tractor (자율주행 트랙터의 경로점 생성 알고리즘 개발)

  • Kim, Ki Duck;Lee, Hyeon Seung;Lee, Young Ju;Kim, Dong Ki;Shin, Beom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53-15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농작업지내 모서리 점을 이용하여 자율주행 트랙터의 경로점을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작업지는 직사각형의 형태에서 거리가 긴 방향으로 직선주행 경로로 하고, 직선경로의 수는 작업폭에 의해 결정되며 홀수 또는 짝수 개일 수 있다. 또한 TM좌표계에서 직선주행 경로의 기울기는 양수 또는 음수 일 수 있으며, 선회시 전체적으로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즉 총 8가지의 경우에 대하여 조건이 주어지면 경로점을 구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하였다. 선회를 위한 곡선경로 생성에는 트랙터의 최소 회전반경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이때 새로 진입할 다음 경로가 충분히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선회 구간에서도 직선 경로 구간이 생길 수 있음을 고려하였다. 한 주기의 경로점은 직선 경로 구간의 시작점과 끝점, 선회 구간의 시작점과 끝점, 다음 직선경로로 진입을 위해 선회하기 직전까지의 직선 구간에 대한 시작점과 끝점 등 6가지의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어떤 끝점 경로점은 다음 조작 구간의 시작점 경로점이 되므로 최종적인 경로점 데이터는 4개가 된다. 여기서, 첫 번째 경로점 생성에서는 직선구간 진입을 위한 선회구간의 시작점과 끝점은 제외하였으며, 작업지로 진입할 수 있는 입구와 출구는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여, 작업이 완료되는 지점에서 선회하여 다시 출발점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추가 구성하였다. 실제 상황에서는 직선주행 경로의 수가 정수가 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때는 작업 구간이 약간씩 오버랩되도록 작업폭을 조정하여 경로의 수가 항상 정수가 되도록 하였다. 알고리즘 평가에 사용된 작업 패턴은 관행적인 방법으로서 작업 포장을 반으로 나누어 8자형 패턴을 이용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hortest Path Algorithm With Direction (최단 경로 생성 알고리즘 연구)

  • 정지문;김기모;최성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0.10a
    • /
    • pp.364-369
    • /
    • 2000
  • 지리 정보 시스템은 컴퓨터 능력의 향상으로 제한된 분야에서 일반적인 분야의 업무에 확대 적용되고 있다. 그 예로는 우편경로 최적화 시스템, 차량항법 시스템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 이러한 분야에서 꼭 필요한 최단 경로 생성 알고리즘에 대해 다양하게 다루어 볼 것이다. 또한 기존에 발표된 최단경로 생성 알고리즘에 대하여 비교 및 분석하고, 추후 연구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