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량형 녹화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7초

옥상녹화에 따른 공동주택 에너지 저감효과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Energy Reduction Effects in Housing According to Green Roof)

  • 김지현;손형민;권혁삼;김정곤;이범식
    • 토지주택연구
    • /
    • 제7권4호
    • /
    • pp.299-305
    • /
    • 2016
  • 본 연구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계획적 수단으로서 옥상녹화에 따른 건축물 에너지 저감효과를 분석하여 옥상녹화 적용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상지는 최근 준공된 공동주택 중 옥상녹화가 적용된 주동과 부대복리시설을 선정하였다. 건축 유형에 따라 경량형(토심 20cm) 및 혼합형(토심 40cm) 옥상녹화를 적용하고, 디자인 빌더(Design Builder)를 활용하여 옥상녹화 적용에 따른 에너지 저감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대상 건축물에서 옥상녹화 적용시 에너지 저감효과가 있으며, 혼합형 옥상녹화가 경량형 옥상녹화에 비해 냉 난방 에너지 저감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경량형 옥상 녹화 유형 정의와 적용 현황 (Current Status of Applications of Extensive Greening Technology)

  • 김현수
    • KIEAE Journal
    • /
    • 제12권5호
    • /
    • pp.85-92
    • /
    • 2012
  • This research was executed to analyze the problems of Korean type of 'Light-weight' Greening that has been applied similarly by the type of 'Intensive Greening,' and to suggest the better way. To achieve this purpose,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theory about the definition of Korean type of Roof Greening and the type of Greening of FLL. And we researched documents and fields of 18 sites of Seoul City that applied the type of 'Light-weigh' Greening, and produced improvement issues and directions. To resolve the confusion of the type definition and site application, arising from considering 'weight of greening' as the main viewpoint to classify the type of Greening, we have to change the term 'Light-weight' with more suitable for contents-based definitions. According to a 'Light-weight' Greening field survey, only 5 among 18 sites are suitable for Extensive Greening and the rest sites show the character of Intensive Greening. Korean concept of 'Light-weight' Greening corresponds with the definition of 'Weight of Greening', but has a problem that does not correspond with the viewpoint of 'Maintenance of Greening'. This problem comes from the fact that the surveyed Light-weight(extensive) Greening sites are designed and executed for use. Therefore, Extensive Greening is proper to be applied for sites, excluded from use. 5 sites, determined suitable for Extensive Greening, adopts 'Sedum-herbaceous Planting' or 'Sedum-grasses Planting' forms of Greening, based on Sedum. So, it has to precede with selecting and breeding plants for developing various forms of Greening, suitable for Extensive Greening including 'Grasses-herbaceous Planting.'

옥상녹화용 인공배합토에서 토심 및 관수주기에 따른 몇몇 자생식물의 생육특성 (Effects of Soil Depth and Irrigation Period on Some of the Native Plants in and Artificial Substrate of Roof Garden)

  • 방광자;주진희;김선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75-83
    • /
    • 2004
  • 본 연구는 경량형 옥상조경 소재로 도입가능성이 높은 자생식물을 중심으로 인공배합토에서 토심과 관수주기에 따른 식물의 생육반응을 검증함으로써 경량이면서 저관리형의 옥상조경을 실현하고 자생식물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심과 관수주기에 상관없이 생육이 양호하였던 수종은 애기기린초(Sedum middendorffianum Maxim)와 두메부추(Allium senescens L.)로 고사율 0%로 나타나 토심 5cm의 무관수의 조건에서도 생육이 가능한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에 적용 가능한 소재라 판단된다. 또한 두메부추는 토심 5cm에서 건물률이 높아 충실한 생장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엽록소 측정을 통한 관상가치에서는 토심 10cm에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관상가치를 고려한다면 토심 10cm 이상의 옥상녹화에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2. 한라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Herb. Subsp. Coreanum (Nakai) Y. Lee Stat.)와 술패랭이(Diauthus superbus L. var. longicalycinus (Maxim) Williams)는 토심 5cm에서 고사율이 높았으며 생육이 저조하였다. 관수는 토심이 5cm인 경우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심 10cm에서는 무관수에서도 양호한 생장을 하였다. 따라서 무관수의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최소 10cm 이상의 토심을 조성하여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3. 목본류인 백리향(Thymus quinquecostatus Celak)은 토심 5cm에서 무관수이거나 3주간의 관수주기에서 90% 이상 고사하였으며 최소 1주간격으로 관수하였을 경우 생육상태가 양호하였다. 특히 토심 10cm에서는 무관수일 경우에도 생육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토심 10cm에서 저관리 옥상녹화의 조성에 도입 가능한 수종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실험한 수종은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에 도입할 경우 최소 토심 10cm가 적정하며 5cm 이하의 토심에서는 최소 2주일에 1회 이상의 관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토심 5cm에서도 애기기린초(Sedium middendorffianum)나 두메부추(Allium senescens L.)와 같은 수종을 도입하였을 경우에는 초경량 저관리의 옥상녹화 조성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생초화류을 중심으로 토심과 관수와의 관계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한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에 앞으로 다양한 토양과 수종에 대한 개발과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특히 인공배지에서의 적정시비량과 저토심에서의 목본류에 대한 실험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지피식물을 이용한 우수저장형 옥상녹화 시스템 및 식물 내건성 평가 (Assessment of Roof-rainwater Utilization System and Drought Resistance of Ground Cover Plants)

  • 강태호;조홍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1-8
    • /
    • 2013
  • 이 연구는 2종의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시스템(세덤박스와 우수저장형 옥상녹화시스템)을 대상으로 옥상녹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옥상의 건조한 조건에 잘 견딜 수 있는 내건성 식물 12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우수저장형 옥상녹화시스템의 기초 연구를 위해 식물의 내건성을 평가하였다. 식물의 내건성 평가를 위해 무관리 조건에서 12종 식물의 건조스트레스의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내건성 평가는 처리 시간에 따라 12종 식물의 상대수분함량의 변화, 전해질 용출 평가, 엽록소 함량의 변화, 토양수분과 건조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건조처리 시간이 길수록 식물들의 상대수분 함량과 엽록소 함량이 감소하면서, 전해질 용출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식물의 내건성 평가 결과, Pulsatilla koreana, Ainsliaea acerifolia를 제외한 10종이 내성이 강하여 옥상녹화에 적용 가능한 종으로 판단되며, 우수저장형 옥상녹화 시스템에서 식물들의 내건성은 식생박스의 식물들보다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수저장형 옥상녹화 시스템이 식물의 생육과 건조조건에 대한 저항성 증진 효과가 있는 것이 증명되어 도시 옥상녹화에 이용할 수 있다.

경량형 옥상녹화에 따른 열부하 저감 잠재성 연구 (Reduction Potential for Thermal Load by Extensive Green Roofs)

  • 김연미;남미아;장대희;김현수;김현옥
    • KIEAE Journal
    • /
    • 제13권5호
    • /
    • pp.67-77
    • /
    • 2013
  • Based on the increasing demand for a solution to reduce thermal load, extensive green roofs have great opportunity for application to existing roofs due to their light-weight and easy maintenance. The present study delivers data regarding thermal behavior and heat reduction potential in relation to vegetation coverage between green roof types. 1) In the hottest hour in a day, green roofs showed considerable potential to mitigate heat load in roof environments, which can be up to $10^{\circ}C$ difference. 2) Compared to conventional cement roofs, the extensive green roofs only have a slight potential to cool the air over green roofs. By statistical analysis of linear regression, green coverage has little to do with the reduction of air temperature; the cooling effect was proven only in nighttime. 3) Green roofs act as an insulating roof membrane, the inner substrate of green roofs remained cooler than cement roof surfaces in the daytime, but in the nighttime the green roofs generally were warmer than the cement roof surfaces. 4) The variable of vegetation coverage resulted in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rmal behavior in the air, but had the greatest effect in keeping the substrate cool in the daytime. The high vegetation coverage also hindered the rapid cooling of the substrate in the nighttime, and therefore was warmer than other measured temperatures. In order to draw a clear conclusion to combat urban heat island effect with extensive green roofs, the experiment needs to be applied on a larger scale.

옥상녹화하중이 LH 공동주택 및 부대복리시설의 옥상층 슬래브 설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een Roof Load on the Structural Design of Roof Slab of LH Housing and Service Facilities)

  • 이범식;권혁삼;김정곤;김지현
    • 토지주택연구
    • /
    • 제7권1호
    • /
    • pp.53-63
    • /
    • 2016
  • 본 논문은 옥상녹화하중 세 가지 유형(경량형, 중량형, 혼합형)이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에서 공급하는 공동주택과 부대복리시설의 옥상층 슬래브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해석과 설계를 통해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옥상녹화하중이 작용하는 옥상층 슬래브의 구조설계시 활용가능한 배근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였다. 구조해석 및 설계결과, 옥상녹화하중의 종류에 관계없이 LH 공동주택의 옥상층 슬래브는 슬래브 주근을 D10 철근 200~250mm 간격으로 배근할 경우 안전하며, 슬래브 두께도 150mm로 적용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콘크리트 설계강도가 24, 27, 30MPa로 변화하여도 옥상층 슬래브의 슬래브 주근은 D10 철근을 200~250mm 배근하고 슬래브 두께도 150mm가 적용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옥상녹화하중이 작용하는 부대복리시설의 2방향 슬래브는 토양 종류와 토심 두께에 관계없이 D10철근을 200mm 간격으로 배근하고 슬래브 두께도 150mm로 적용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