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계공간

검색결과 1,340건 처리시간 0.025초

메타버스 미디어 공간으로서 스마트시티 그리고 디지털 사이니지 테코레이션

  • 유승철
    • 방송과미디어
    • /
    • 제27권4호
    • /
    • pp.79-90
    • /
    • 2022
  • '스마트 기술(smart tech)'과 '도시화(urbanization)'라는 두 메가트렌드(megatrends)를 융합해 탄생한 스마트시티(smart city)가 전 세계적인 화두다. 스마트시티의 성장 가운데서 핵심적인 요소가 바로 '도시의 다양한 요소가 미디어(媒體, media)의 기능을 하는 커뮤니케이션이 중심이 된 도시'라는 점이다. 특히 메타버스 기술이 스마트시티에 접목되고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초월'이라는 의미의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인 메타버스(Metaverse)는 1992년 닐 스티븐슨(Neal Stephenson)의 소설 《스노우 크래쉬》에서 유래한 개념이라고 알려져 있다[1]. 메타버스는 정의하는 연구자에 따라서 크게 다르지만 흔히 '가상의 것(virtual thing)'으로 한정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메타버스가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적 측면에서 오프라인의 현실과 온라인의 비현실 모두 공존할 수 있는 생활형·게임형 가상 융합 세계라는 의미로 보다 광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스마트시티의 변화를 보면 도시 운영이 고도로 지능화되고 다양한 콘텐츠가 증강되면서 <<도시 공간에서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 구분>>을 파괴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우리는 과거와 다름없이 물리적 도시 공간을 걷고 있지만 이제는 지형지물과 연결된 공간정보를 스마트폰으로 확인하고 또 도심의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를 통해 실시간 공공 및 상업 정보에 항시적으로 접하고 있다. 도시의 지향점으로 간주되는 스마트시티는 이제 일종의 '도시민 생활 플랫폼'으로 메타버스 기술과 융합 콘텐츠를 통해 도시민의 생활을 촘촘하게 연결한다. 본고에서는 '스마트시티가 메타버스 미디어 공간으로 기능하는 현상'을 '테코레이션(Tecoration: Technology + Decoration: 디지털 미디어 기술을 통한 도시 공간구축)'이라고 명명하려고 한다. 본고는 '메타버스 미디어 공간으로서 스마트시티 그리고 디지털 사이니지 테코레이션'을 주제로 '디지털 사이니지가 만들어 가는 스마트시티의 소통'과 관련된 주요 이슈를 다루려고 한다.

수직적 도시 공동주거 커뮤니티에 적용된 공유공간의 계획특성 연구 -단위세대 경계부와 주거동 내부 및 경계부 영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Communal Spaces in Vertical Urban Multi-Family Housing Community -Focused on the Territories of a Unit Boundary,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Boundary-)

  • 조민정
    • KIEAE Journal
    • /
    • 제11권5호
    • /
    • pp.55-6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applicable design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communal spaces in vertical urban multi-family housing. With this goal, several overseas' multi-family housing projects are selected and their communal spaces are identified.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al spaces are analyzed with a special focus on the territories such as an individual unit boundary,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boundary. In terms of the framework for analysis, territoriality, openness, and unique characteristics are reviewed. As a result, the communal spaces are created using various spatial composition methods such as addition, subtraction, connection, extension, accumulation, and isolation. The communal space programs are integrated in plans and sections throughout the buildings. Visual openness and connection with surrounding urban environments are articulated by void spaces, transparent and translucent building materials, green spaces, and applications of graphical images. Communal identities and aesthetics are emphasized by unique building forms and space arrangements. The uses of finish materials, colors, objects, and images add strong characters to the communal spaces. For a further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ombine a design method study with residents' behaviors and community interactions.

단면 구성을 통한 공간 내부 경계의 모호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mbiguity of the Boundary in the Inside Space through the Composition of Section)

  • 임종엽;이홍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95-10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mbiguity of the boundary through the composition of section. The building means the compose of the inside space by physical shell. Inside space that has boundary factors like floor, wall, roof and column is surrounded outside space. The factors which compose the boundary was expressed by architects as various analysis, but it has changed as changing of paradigm and information revolution. The inside space and outside space were connected through the system arrangement, so various space could construct by an aspect of relation. The history of architecture was written as the establishment of in-out space by architectural boundary factors, but the space could not divide definitely, composed complex structure, could experience various recognition. The existing study which is focused on Ambiguity of the Boundary is just focused on contemporary architecture. Ambiguity of the Boundary is developed by using glass. The transparency of glass removed the boundary of space, so it can be created free wall, continuity of view. It was Influenced the boundary of the sight and changed the expression of boundary between the spac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 of boundary awareness and find the ambiguity of boundary in the section.

$K{\acute{a}}rm{\acute{a}}n$ 경계층 유동의 공간증폭에 관한 이론적 연구 (A study of the spatial amplification of the $K{\acute{a}}rm{\acute{a}}n$ boundary-layer)

  • 황영규;이윤용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B
    • /
    • pp.585-590
    • /
    • 2000
  • The hydrodynamic instability of the three-dimensional boundary layer on a rotating disk introduces a periodic modulation of the mean flow in the form of stationary cross flow vortices. Detailed numerical values of the growth rates, neutral curves and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two instabilities have been calculated over a wide range of parameters. Presented are the neutral stability results concerning the two instability modes by solving new linear stability equations reformulated not only by considering whole convective terms but by correcting some errors in the previous stability equations. The present stability results are agree with the previously known ones within reasonable limit. The flow is found to be always stable for a disturbance whose dimensionless wave number at Re=1200 is greater than 0.75. Also, the spatial amplification contours have been calculated for the moving disturbance wave, whose azimuth angle is between ${\varepsilon}=15^{\circ}$ and $12.5^{\circ}$.

  • PDF

모폴로지 재구성과 비선형 확산을 적용한 영상 분할 방법 (An Image Segmentation method using Morphology Reconstruction and Non-Linear Diffusion)

  • 김창근;이귀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6호
    • /
    • pp.523-531
    • /
    • 2005
  • 확산(Diffusion)을 이용한 기존의 칼라영상 분할은 확산의 횟수가 반복될수록 경계선 정보가 적절히 유지되지 못하거나 잡음을 제거하지 못함으로써 워터쉐드(Watershed)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경우, 과분할을 피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리 형태학(Mathematical Morphology)과 비선형 확산(Non-Linear Diffusion)을 함께 적용하여 과분할의 문제점을 제거한 워터쉐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칼라영상 분할방법을 제안한다. 임의의 칼라 영상을 LUV 색상공간으로 변환하여, 그 각각의 색상공간에 수리 형태학을 응용한 재구성에 의한 닫힘(Reconstruction) 연산과 비선형 확산을 함께 적용하여 경계선을 적절히 유지하면서 잡음을 제거한 단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 영상에서 칼라 영상의 기울기(Gradient) 정보를 획득하고, 워터쉐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영상을 분할한다. 실험 결과, 기존의 방법보다 과분할이 현저히 제거되고, 칼라 영상이 매우 효과적으로 분할됨을 확인하였다

대규모 동계스포츠 및 집회시설의 친환경계획요소 분석 (Analysis of Sustainable Building Design Element in Winter Sports Stadia and Convention Centre)

  • 최동호;양정훈;석호태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49-58
    • /
    • 2009
  • 본 논문은 대공간에 적용된 친환경 계획요소 검토와 친환경요소기술의 적용성을 외국의 사례연구를 통해 분석함으로서 국내 친환경건축물 활성화와 설계기술 향상에 기여할 기초자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 동계올림픽 개최에 즈음하여 최근 완공된 캐나다 동계스포츠시설 2곳과 컨벤션센터 1곳을 대상으로 이들 대공간에 적용된 친환경계획요소를 소개하고, 이들 대공간에 적용된 친환경 건축기법을 LEED Green Building Rating System평가항목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 PDF

창덕궁 후원부의 공간경계요소(담장)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Walls as Space boudary elements of Changdeok-gung Garden)

  • 조정식;조진동
    • 건축역사연구
    • /
    • 제24권1호
    • /
    • pp.41-50
    • /
    • 2015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architectural ornaments of the walls (DamJang) and their bordering area that defines the Rear Garden of Changdeok-gung, one of the Royal Palaces in Seoul. This area, centered on Buyong-ji(부용지) and Aeryeon-ji(애련지), features the morphological diversity of buildings, walls, gates and stone bases in the palace.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amJang, as a basic architectural element for the space organization, takes a set of various forms featuring different construction materials while responding positively to the physiographic nature of the surroundings; Second, DamJang along with their gates, also features different types of ornamental expressions which also suggest the hierarchy of its building and space; Third, typical of the traditional garden design in Korea are a group of DamJang standing as independent structures mostly around Buyong-ji and Aeryeon-ji whose finishing conditions also differ based on the nature of the space; Fourth, among commonly observed examples of DamJang in the Rear Garden and Changdeok-gung palace-wide, is a 'T' shaped wall whose heights and materials function as a design element for the garden.

공간 지반 정보 시스템을 활용한 2차원 분지 모델링 기반의 홍성 지역 부지 효과 평가 (Estimation of Site Effects at Hongsung Based on 2-Dimensional Basin Modeling within Spatial Geotechnical Information System)

  • 선창국;추윤식;정충기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253-256
    • /
    • 2008
  • 지하 토사 조건 및 지질 구조는 지진 시 지반 운동의 증폭에 관련된 부지 효과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홍성 지역을 대상으로 시추 조사와 현장 탄성파 시험을 포함한 현장 조사 및 지표 부근지질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부지 답사를 통해 부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홍성 지역은 1978년 계기 지진이 발생한 지역으로서 기반암 상부에 최대 약 50 m 두께의 풍화대 지층이 분포한다. 연구 대상 지역의 공간 지층 구조를 효율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법 기반의 지반 정보 시스템(GTIS)의 구축하였으며, 홍성 지역은 분지는 얕고 넓은 형상임을 확인하였다. 홍성 지역의 부지 지진 응답을 평가하기 위하여 대표 단면에 대한 2차원 유한 요소 해석을 수행하였다. 도출된 지진 응답으로부터 지반 운동이 기반암 상부 토사층을 통해 전단파가 전파되면서 증폭되고 분지 형상에 따른 전단파의 상호 작용으로 생성된 표면파로 인해 분지 경계 부근 진동 지속 시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분지 내의 선정된 토사 부지들에 대해서 추가적인 1차원 유한 요소 지진 응답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 대상 분지가 매우 얕고 넓음에 따라 분지 경계 부근을 제외하고는 분지 내 대부분의 위치에서 2차원 지진 응답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 PDF

CFD와 공간분포를 고려한 반경험식을 이용한 해머헤드 발사체의 천음속 압력섭동 예측 (Prediction of Pressure Fluctuations on Hammerhead Vehicle at Transonic Speeds Using CFD and Semi-empirical Formula Considering Spatial Distribution)

  • 김영화;남현재;김준모;선철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457-464
    • /
    • 2021
  • 위성발사체에 심각한 진동하중을 발생시키는 버펫 현상을 해석하기 위하여, CFD 해석과 반경험식을 결합하여 천음속 영역 해머헤드 발사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압력섭동을 예측하였다. RANS 해석을 수행하여 충격파 진동 영역, 박리영역, 박리 재부착 지점 등을 확인하였으며, 경계층 두께, 배제 두께, 경계층 끝단에서의 유동 정보를 계산하였다. RANS 결과와 공간 분포를 고려한 반경험식을 결합하여 해머헤드 페어링 주위의 압력 섭동과 파워스펙트럼을 예측하였고 시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일본 하우스비전 전시에 나타난 주거 공간의 영역과 경계 (Territory and Boundary of Residential Space in House Vision Exhibition)

  • 이경진;김경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5호
    • /
    • pp.3-10
    • /
    • 2019
  • This study is purposed to analyze of House Vision exhibition and projects in Japan. The contemporary residence has been planned and designed with fixed territory and boundary of rooms. According to the symposium of House Vision, the spatial boundary can be studied in the aspect of territory that molds the experience of residents. So, this study reviews Aldo van Eyck's concept of 'in-between'. Through the analysis, House Vision exhibition is revealed that the housing models present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middleware and third place. The cogni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boundary stems from movements and activities of residents. That is the dwelling and residential space determined by users and residents. In this regard, 'in-between' of House Vision has structures(multilayer) causing various relationships to be perceived, so as to connect with the dwelling and activities of residents. As a result, it has relational meanings of sharing, as well as makes possible other community life to be done. According to the projects of House Vision, the units and cores have created the new connections and relationships between privacy and publicity.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hows a new direction of the spatial strategies on House Vision exhibition in Jap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