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겹자음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English Geminate Graphemes by Korean Students (한국 학생들의 영어 겹자음 철자 인지와 발화)

  • Cho, Mi-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092-1096
    • /
    • 2009
  • While Korean allows the same consonants at the coda of the preceding syllable and at the onset of the following syllable, English does not allow the geminate consonant in the same position. Due to this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English, Korean learners of English tend to incorrectly produce geminate consonants for English geminate graphemes as in summer. Based on this observation, a pilo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Korean learners of English perceive and produce English doubleton graphemes and singleton graphemes. Twenty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asked to perform a forced-choice perception test as well as a production test for the 36 real word stimuli which consist of near minimal pairs of singleton and doubleton graphem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accuracy rates for the word with singleton graphemes were relatively high both in perception and production (78.6% and 76.1%, respectively), while those for the word with doubleton graphemes were low both in perception and production (55.3% and 61.7%, respectively). Also, spectrographic analyses were provided where more production errors were witnessed in doubleton grapheme words than singleton grapheme words.

  • PDF

Orthographic Influence in the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English Intervocalic Consonants: A Pilot Study (영어 모음사이 자음의 인지와 발화에서 철자의 영향: 파일럿 연구)

  • Cho, Mi-Hui;Chung, Ju-Ye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2
    • /
    • pp.459-466
    • /
    • 2009
  • While Korean allows the same consonants at the coda of the preceding syllable and at the onset of the following syllable, English does not allow the geminate consonants in the same intervocalic position. Due to this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English, Korean learners of English tend to incorrectly produce geminate consonants for English geminate graphemes as in $su\underline{mm}er$. Based on this observation, a pilo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Korean learners of English perceive and produce English doubleton graphemes and singleton graphemes. Twenty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asked to perform a forced-choice perception test as well as a production test for the 36 real word stimuli which consist of (near) minimal pairs of singleton and doubleton graphem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accuracy rates for the words with singleton graphemes were higher than those for the words with doubleton graphemes both in perception and production because the subjects misperceived and misproduced the doubleton graphemes as geminates due to orthographic influence. In addition, the low error rates of the word with voiced stops were accounted for by Korean language transfer. Further, spectrographic analyses were provided where more production errors were witnessed in doubleton grapheme words than singleton grapheme words. Finally,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Multi-Strata Lexikon vs. Constraintranking: Degemination im Deutschen (다층어휘부와 어휘부 대 제약우위도)

  • Yu Si-Taek
    • Koreanishche Zeitschrift fur Deutsche Sprachwissenschaft
    • /
    • v.1
    • /
    • pp.313-348
    • /
    • 1999
  • 이 논문은 독일어의 겹자음회피현상을 설명함에 있어 어휘음운론에서의 분석이 보이는 문제들을 지적하고, 이 문제들이 제약에 바탕을 둔 이론에서는 어떻게 해결될 수 있는가를 보인다. 제약들간의 상호작용에서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단일형태실현제약 (Uniform Exponence)으로서, 이 제약을 통해 독일어 동사의 현재시제, 단수, 2인칭 형태와 3인칭형태에서 나타나는 겹자음회피현상이 동사의 어형변화표 (Verbparadigma)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규칙들을 통해 2인칭과 3인칭의 올바른 형태를 각각 개별적으로 찾아내는 어휘음운론의 분석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왜냐하면 어휘음운론의 분석에 따를 때, 예를 들어 3인칭 동사 arbeitet에서 Schwa 모음의 삽입은 겹자음회피를 위해 일어난다고 설명되지만 겹자음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Schwa 모음이 마찬가지로 삽입되는 2인칭동사 arbeitest는 설명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분석에서는 2인칭 형태와 3인칭 형태가 서로 아무런 관련 없이 각기 따로 존재하게된다. 이에 반해 단일형태제약은 이 두개의 형태를 동시에 비교하므로, 동사 굴절형태에서 마치 불필요한 것으로 보이는 모음삽입이나 자음탈락의 원인에 대해 이론적인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즉 2인칭 형태와 3인칭 형태는 보다 상위의 제약들이 막지 않는 한 서로 최대한 비슷한 형태를 가지려고 한다. 이 논문은 겹자음 회피를 위한 수단으로서 모음삽입이나 자음탈락은 오로지 이를 통해 동사의 어형변화표가 좋아질 때만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규칙이론이 포착하지 못하고 있는 중요한 일반화를 제시하고 있다. 단일형태 실현제약의 중요성은 접두사 in- 과 un- 이 어간과 결합할 때 보이는 대조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여기서도 어휘음운론의 다층어휘부 구조에 의한 설명이 갖는 문제점이 제약들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해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VII-1 및 VII-2공의 3600 m 하부층은 건성 가스 생성 단계에까지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JDZ VII-1, VII-2 시추공의 3500 m 하위 구간의 올리고세 퇴적층에서 유기물 함량 및 수소 지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것은 매몰 심도가 깊어지면서 유기물이 열 분해되어 이미 탄화수소를 생성한 것으로 해석된다. JDZ VII-1 및 VII-2 시추공의 가스징후 및 길소나이트 (gilsonite)는 탄화수소가 생성되어 이동한 흔적을 시사한다.을 해석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PLAYMAKER2가 보다 신뢰할 만한 퇴적환경 해석을 위한 전문가 시스템으로 구축되기 위해서는 향후 많은 퇴적학 전문가들이 추가로 참여하여 기존 규칙들을 재검증하고 새로운 규칙들을 첨가함으로써 보디 세련된 지식베이스를 개발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이며 세 개의 산소가 이루는 평면에서 $1.68{\AA}$ 소다라이트내로 이동하여 위치한다. 32개의 $Tl^{+}$ 이온은 결정학적 자리 II에 존재하고 있으며 산소와의 결합거리를 $2.70(1){\AA}$을 유지하면서 큰 동공속으로 $1.48{\AA}$ 이동하여 위치한다. 약 18개의 $Tl^+$ 이온은 결정학적 자리III에, 또 다른 10개의 $Tl^+$ 이온은 결정학적 자리III'에 존재하고 골조 산소와 각각 $2.86(2){\AA},\;2.96(4){\AA}$의 결합거리를 이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