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결합 학습 모델

Search Result 40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Learning Algorithm for Multiple Distribution Data using Haar-like Feature and Decision Tree (다중 분포 학습 모델을 위한 Haar-like Feature와 Decision Tree를 이용한 학습 알고리즘)

  • Kwak, Ju-Hyun;Woen, Il-Young;Lee, Chang-Hoon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2 no.1
    • /
    • pp.43-48
    • /
    • 2013
  • Adaboost is widely used for Haar-like feature boosting algorithm in Face Detection. It shows very effective performance on single distribution model. But when detecting front and side face images at same time, Adaboost shows it's limitation on multiple distribution data because it uses linear combination of basic classifier. This paper suggest the HDCT, modified decision tree algorithm for Haar-like features. We still tested the performance of HDCT compared with Adaboost on multiple distributed image recognition.

Korean Named Entity Recognition using Joint Learning with Language Model (언어 모델 다중 학습을 이용한 한국어 개체명 인식)

  • Kim, Byeong-Jae;Park, Chan-min;Choi, Yoon-Young;Kwon, Myeong-Joon;Seo, Jeong-Ye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7.10a
    • /
    • pp.333-337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개체명 인식과 언어 모델의 다중 학습을 이용한 한국어 개체명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다중 학습은 1 개의 모델에서 2 개 이상의 작업을 동시에 분석하여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방법이지만, 이를 적용하기 위해서 말뭉치에 각 작업에 해당하는 태그가 부착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추가적인 태그 부착 없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언어 모델을 개체명 인식 작업과 결합하여 성능 향상을 이루고자 한다. 또한 단순한 형태소 입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입력 표상을 자소 및 형태소 품사의 임베딩으로 확장하였다. 기계 학습 방법은 순차적 레이블링에서 높은 성능을 제공하는 Bi-directional LSTM CRF 모델을 사용하였고, 실험 결과 언어 모델이 개체명 인식의 오류를 효과적으로 개선함을 확인하였다.

  • PDF

Reinforcement Learning of Bipedal Walking with Musculoskeletal Models and Reference Motions (근골격 모델과 참조 모션을 이용한 이족보행 강화학습)

  • Jiwoong Jeon;Taesoo Kwo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9 no.1
    • /
    • pp.23-29
    • /
    • 2023
  •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method to obtain high-quality results at a low cost for simulating musculoskeletal characters based on data from the reference motion through motion capture on two-legged walking through reinforcement learning. We reset the motion data of the reference motion to allow the character model to perform, and then train the corresponding motion to be learned through reinforcement learning. We combine motion imitation of the reference model with minimal metabolic energy for the muscles to learn to allow the musculoskeletal model to perform two-legged walking in the desired direction. In this way, the musculoskeletal model can learn at a lower cost than conventional manually designed controllers and perform high-quality bipedal walking.

Efficient Reconstruction of 3D Human Body Pose Using Spatio-Temporal Features (시-공간 특징을 이용한 효율적인 3차원 인체 자세 재구성)

  • Yang Hee-Deok;Ahmad Mohiuddin;Lee Seong-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892-894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스테레오 영상에서 깊이 정보를 추출하여 사람의 자세를 학습된 2차원 깊이 영상들의 선형 결함으로 표현하여 3차원 인체 모델을 재구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한 장의 2차원 깊이 영상으로 최소 제곱법을 이용하여 프로토타입 깊이 영상의 선형 결합으로 표현되는 최적의 계수를 찾을 수 있다. 입력된 깊이 영상의 3차원 인체 모델은 프로토타입 깊이 영상에서 예측된 계수를 적용하여 생성한다. 학습 단계에서는 데이터를 계층적으로 나누어 모델을 생성한다. 또한, 재구성 단계에서는 실루엣 영상과 깊이 영상으로부터 계층적으로 나누어진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3차원 인체 자세를 재구성한다. 학습 및 재구성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실루엣 영상 대신 깊이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인체 모델을 재구성한다. 한 장의 실루엣 영상을 이용하면 영상의 노이즈에 민감하기 때문에 재구성 단계의 상위 레벨에서는 실루엣 영상의 누적 영상을 이용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방법이 효율적으로 3차원 인체 자세를 재구성함을 보여준다.

  • PDF

Data Flow Prediction Scheme using ARIMA Model (ARIMA 모델을 이용한 데이터 흐름 예측 기법)

  • Kim, Dong-Hyun;Kim, Min-Woo;Lee, Byung-Jun;Kim, Kyung-Tae;Youn, He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141-142
    • /
    • 2018
  • 기존 데이터의 패턴 예측에는 통계를 기반으로 한 수학적 모델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이 부족하기 때문에 장기간의 데이터 예측에 한계가 있다. 또한 데이터의 특성이 다양하고 복잡한 경우에는 수학적 모델의 결합 및 계산과정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의 학습 및 예측에 기존 정적 모델이 아닌 기계학습 중 시계열 데이터 분석 (Time Series Analysis) 을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계학습은 복잡한 특성을 가진 데이터를 학습하여 미래의 데이터 값을 예측하거나 분류하는데 있어서 정확도 및 처리시간 측면에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Joint CTC/Attention Korean ASR with CTC Ratio Scheduling (CTC Ratio Scheduling을 이용한 Joint CTC/Attention 한국어 음성인식)

  • Moon, YoungKi;Jo, YongRae;Cho, WonIk;Jo, GeunSi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37-41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Joint CTC/Attention 모델에 CTC ratio scheduling을 이용한 end-to-end 한국어 음성인식을 연구하였다. Joint CTC/Attention은 CTC와 attention의 장점을 결합한 모델로서 attention, CTC 단일 모델보다 좋은 성능을 보여주지만, 학습이 진행될수록 CTC가 attention의 학습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 진행에 따라 CTC의 비율(ratio)를 줄여나가는 CTC ratio scheduling 방법을 제안한다. CTC ratio scheduling를 이용하여 학습한 결과물은 기존 Joint CTC/Attention, 단일 attention 모델 대비 좋은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Combining Deep Learning Models for Crisis-Related Tweet Classification (재난관련 트윗 분류를 위한 딥 러닝 결합 모델)

  • Choi, Won-Gyu;Lee, Kyung-So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649-651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CNN에서 클래스 활성화 맵과 원샷 러닝을 결합하여 트위터 분류를 위한 딥 러닝 모델을 제안한다. 클래스 활성화 맵은 트윗 분류에 대한 분류 주제와 연관된 핵심 어휘를 추출하고 강조 표시하도록 사용되었다. 특히 작은 학습 데이터 셋을 사용하여 다중 클래스 분류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원샷 러닝 방법을 적용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검증하기위해 TREC 2018 태스크의 사건 스트림(TREC-IS) 학습데이터를 사용하여 비교실험을 했다. 실험 결과에서 CNN 기본 모델의 정확도는 58.1%이고 제안 방법의 정확도는 69.6%로 성능이 향상됨을 보였다.

  • PDF

A Structure-Adaptive Self-Organizing Map with Combination of Supervised and Unsupervised Learning Algorithms (비교사 학습과 교사 학습 알고리즘을 결합한 구조 적응형 자기구성 지도)

  • 김현돈;조성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333-335
    • /
    • 1999
  • 일반적으로 자기구성 지도에서는 구조가 초기에 결정되어 학습이 끝날때까지 변하기 않기 때문에 각 문제에 대한 구조를 반복된 실험을 통해서 최적화시켜야 한다. 그러나, 지도의 구조가 학습중에 적절하게 변경된다면, 해당 문제에 가장 알맞은 구조의 지도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적응형 자기 구성 지도의 비교사 학습방법에 LVQ 알고리즘을 이용한 교사 학습방법을 결합한 구조 적응형 자기 구성 지도 모델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일반적인 자기구성 지도 알고리즘보다 작은 수의 노드를 가지고 높은 성능을 보일 뿐만 아니라, 자기 구성 지도의 특성인 위상 보존도 잘 이루어진다. 오프라인 필기 숫자 데이터로 실험한 결과, 제안한 방법이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a Dialogue System Model for Korean Restaurant Reservation with End-to-End Learning Method Combining Domain Specific Knowledge (도메인 특정 지식을 결합한 End-to-End Learning 방식의 한국어 식당 예약 대화 시스템 모델 개발)

  • Lee, Dong-Yub;Kim, Gyeong-Min;Lim, Heui-Seok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0a
    • /
    • pp.111-115
    • /
    • 2017
  • 목적 지향적 대화 시스템(Goal-oriented dialogue system)은 텍스트나 음성을 통해 특정한 목적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최근 RNN(recurrent neural networks)을 기반으로 대화 데이터를 end-to-end learning 방식으로 학습하여 대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에 활용한 연구가 있다. End-to-end 방식의 학습은 도메인에 대한 지식 없이 학습 데이터 자체만으로 대화 시스템 구축을 위한 학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도메인 지식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데이터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도메인 특정 지식을 결합하여 end-to-end learning 방식의 학습이 가능한 Hybrid Code Network 구조를 기반으로 한국어로 구성된 식당 예약에 관련한 대화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식당 예약을 목적으로하는 대화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본 시스템은 응답 별 정확도 95%와 대화 별 정확도 63%의 성능을 나타냈다.

  • PDF

CRNN-Based Korean Phoneme Recognition Model with CTC Algorithm (CTC를 적용한 CRNN 기반 한국어 음소인식 모델 연구)

  • Hong, Yoonseok;Ki, Kyungseo;Gweon, Gahgene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8 no.3
    • /
    • pp.115-122
    • /
    • 2019
  • For Korean phoneme recognition, Hidden Markov-Gaussian Mixture model(HMM-GMM) or hybrid models which combine artificial neural network with HMM have been mainly used. However, current approach has limitations in that such models require force-aligned corpus training data that is manually annotated by experts. Recently, researchers used neural network based phoneme recognition model which combines recurrent neural network(RNN)-based structure with connectionist temporal classification(CTC) algorithm to overcome the problem of obtaining manually annotated training data. Yet, in terms of implementation, these RNN-based models have another difficulty in that the amount of data gets larger as the structure gets more sophisticated. This problem of large data size is particularly problematic in the Korean language, which lacks refined corpora. In this study, we introduce CTC algorithm that does not require force-alignment to create a Korean phoneme recognition model. Specifically, the phoneme recognition model is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which requires relatively small amount of data and can be trained faster when compared to RNN based models. We present the results from two different experiments and a resulting best performing phoneme recognition model which distinguishes 49 Korean phonemes. The best performing phoneme recognition model combines CNN with 3hop Bidirectional LSTM with the final Phoneme Error Rate(PER) at 3.26. The PER is a considerable improvement compared to existing Korean phoneme recognition models that report PER ranging from 10 to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