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결합개발제도

Search Result 4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금융산업구조(金融産業構造)의 결정요인(決定要因)에 대한 실증분석(實證分析)

  • Jwa, Seung-Hui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3 no.3
    • /
    • pp.89-112
    • /
    • 1991
  • 본고(本稿)는 금융시장(金融市場)의 규모(規模)와 금융산업구조(金融産業構造)와의 관계에 대한 몇가지의 가설(假說)을 미국(美國), 영국(英國), 독일(獨逸), 프랑스, 캐나다, 이탈리아, 스웨덴, 벨기에, 네덜란드, 스페인 등 11개 OECD국가와 한국(韓國)의 시계열자료(時系列資料) 및 동(同) 자료(資料)의 크로스섹션결합자료(結合資料)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검증결과에 의하면, (1) 각국의 직(直) 간접금융비중(間接金融比重)은 전체 금융시장규모에 의해 유의하게 영향을 받고 있으며, (2) 직(直) 간접금융(間接金融)은 시장규모(市場規模)의 확대(擴大)에 따라 어느 하나가 압도함이 없이 일정한 균형비율로 수렴해 나가는 것으로 관찰되고 있어 세계금융산업(世界金融産業)은 일반적으로 전업균형(專業均衡)보다는 전업(專業) 및 겸업(兼業)의 혼합균형(混合均衡)으로 이행해 나갈 것으로 기대되며, (3) 최근 진행되고 있는 금융(金融)의 세계화(世界化) 및 개방화(開放化) 추세(趨勢)는 궁극적으로 각국 금융산업조직(金融産業組織)의 동질화(同質化)를 촉진시킬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 (4) 금융시장규모(金融市場規模)의 확대(擴大)에 따른 혼합균형(混合均衡)으로의 이행과정에서는, 겸업주의(兼業主義) 은행제도(銀行制度)는 금융시장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제에서, 역으로 전업주의(專業主義) 은행제도(銀行制度)는 금융시장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경제에서 주로 형성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부수적으로는, 전업주의(專業主義) 금융제도(金融制度)에 비해 금융업무(金融業務)의 자유(自由)를 보다 더 허용하는 겸업주의(兼業主義) 금융제도(金融制度)가 균형금융구조(均衡金融構造)로의 이행(移行)을 촉진시키고 있다는 점도 발견되었다. 이상의 검증결과는, 금융산업(金融産業) 및 제도(制度)는 이를 받치는 전체 금융(金融)의 규모성장(規模成長)에 따라 적절한 균형구조(均衡構造)를 찾아가는 것이기 때문에 전체 금융의 성장과정 및 속도에 부응하지 못하는 인위적인 금융개편정책(金融改編政策)은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시사를 주고 있다.

  • PDF

모바일 클라우드시스템 보안요구사항명세서 개발지원도구

  • Bang, Yeong-Hwan;Jeong, Seong-Jae;Hwang, Seon-Myeo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8 no.10
    • /
    • pp.19-29
    • /
    • 2011
  • 최근 클라우드컴퓨팅은 국내외 많은 IT서비스 패러다임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고, 제2의 디지털 시대를 주도할 핵심 서비스중의하나로정보혁명에커다란변화를가져오고 있다. 특히, 클라우드 컴퓨팅은 무선 네트워크 기술이 고도화되고 모바일 단말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모바일과 결합하면서 IT분야의 신 패러다임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경제성과 우수성이 모바일의 이동성과 합쳐져 서로 시너지 효과를 거두고 있기 때문이다 [1]. 이처럼 클라우드컴퓨팅 기술 분야가 확대됨에 따라서 해결해야 할 첫 번째 문제는 보안이다. 특히, 모바일 클라우드시스템은 이동성, 휴대편의성, IT자원을 소유하지 않고 정보활동이 기능한 형태이므로 필연적으로 보안문제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된다. 이에 따라서, 본고에서는 모바일 클라우드시스템의 정보보호를 위해 특성과 유형을 파악하고 정보보로분야에서 정보보증(Information Assurance, IA)방법, 여러 정보보증제도(CC, ISMS, CMVP등)를 조사 분석하여 모바일 클라우드시스템 보안기능개발을 위한 보안요구사항병세서 지원도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Development of a Railway Safety Maturity Model and Estimate Procedures (철도 안전성숙모델 개발 및 평가절차 방안)

  • Lim, Kwang-Kyun;Yeum, Diogjong;Kim, Sig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1
    • /
    • pp.195-202
    • /
    • 2014
  • The newly updated Rail Safety Act is required to build a comprehensive railway safety management system with corresponding accreditation regulations for the purpose of safe railway operations. However, such efforts would not be enough to achieve a successful safety-performance solely without being in place of an appropriate level of safety cultures in an organization. No research was taken place to propose a safety culture maturity model and its estimate procedures in Korean railway industries. The research reviews a variety of safety maturity models applied in many other industries and the process of conducting surveys in order to propose a framework of railway safety maturity estimates, with a set of railway safety elements.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contribute in diagnosing weak areas and finding their appropriate treatment, along with in placing the railway safety certificate program from 2014.

소프트웨어 광대역 전파분광기 기본 설계 및 향후 계획

  • Gang, Yong-U;Song, Min-Gyu;Wi, Seok-O;Lee, Seong-Mo;Je, Do-Heung;Lee, Jeong-Won;Jeong, Mun-Hui;Gang, Ji-Ma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8 no.1
    • /
    • pp.73.1-73.1
    • /
    • 2013
  • 전파자료처리를 위한 전파분광기는 전파망원경으로 얻어진 우주전파자료를 최종 처리하는 장비이다. 현재, 전파관측에서는 우주의 미세구조를 밝혀내기 위해 관측자료의 대량화와 고속화가 진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초고속 대용량 자료를 처리하기 위해서 FPGA나 ASIC 등으로 구성된 하드웨어 기반의 전파분광기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하드웨어 기반의 전파분광기는 개발에 시일이 많이 소요되고 고가이며 수정 변경이 쉽지 않다. 한편, 관측자료는 더 대량화되고 고속처리가 필요한 추세로 가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고속 계산 플랫폼을 기반으로 구현되는 소프트웨어 전파분광기이다. 미국, EU, 일본 등은 이러한 전파분광기 개발을 이미 진행하고 있다. 특히, THz 대역에서 관측시스템 개발을 이제 막 시작하는 우리나라로서는 경쟁력을 갖추려면 외국의 기술의존성을 탈피하고 첨단의 초고속 관측자료처리 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의 우수한 IT기술을 전파관측기술에 활용하여 단계적으로 기술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고속 계산 플랫폼을 기반으로 구현되는 소프트웨어 광대역 전파분광기의 기술개발에 관한 것으로 전파관측에 적용할 수 있는 x-엔진 개발과 기술 결합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이에 소프트웨어 광대역 전파분광기의 기본 설계 및 향후 계획을 소개한다.

  • PDF

원격 모니터링과 원격 제어가 가능한 초전도 전파수신소자용 바이어스 전원 시스템 개발

  • Gang, Yong-U;Lee, Jeong-Won;Han, Seok-Tae;Wi, Seok-O;Je, Do-Heung;Kim, Su-Yeon;Song, Min-Gyu;Jeong, Mun-Hui;Gang, Ji-Ma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1
    • /
    • pp.68.2-68.2
    • /
    • 2012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을 이루는 각 망원경에 22GHz, 43GHz, 86GHz, 129GHz의 4개의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는 전파 수신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현재, 22GHz와 43GHz의 수신기가 설치되어 있고, 86GHz와 129GHz 수신기가 2012년 상반기에 설치 완료할 예정이다. 이들 중, 129GHz 수신기의 핵심인 초전도 전파수신소자에 공급하는 바이어스 전원의 공급 시스템을 2년에 걸쳐 설계 및 제작 완료하였다. 개발된 Bias Supply System은 주 보드, User Interface, 전용 정전압 모듈, Protection 모듈 등이 한 Sub-Rack에 결합되어 있다. 먼저, Bias Supply System 시제품 1set를 우선 제작하여 연세전파천문대의 129GHz수신기 초전도 전파수신소자 제어에 설제 적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수정과 보완 및 Remote M&C 기능을 추가하여 새로 설계하고 제작한 최종 Bias Supply System 3set를 개발 완료하였고, 129GHz 수신기 3기의 초전도 전파수신소자 구동에 운용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그 개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groundwater pumping and streamflow depletion (하천인근 지하수 양수에 따른 하천수 영향 평가 상관식 개발)

  • Kim, Nam-Won;Lee, Jeo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22-422
    • /
    • 2012
  • 지하수개발 이용의 허가시 지하수 양수로 인한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지하수의 고갈과 오염을 예측하고 이를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지하수의 보전과 합리적인 이용을 도모하고자 지하수영향조사제도가 시행되어 왔다. 특히 하천구역의 경계로부터 300미터 내의 지역에서 지하수를 개발 이용하는 경우에는 지하수영향조사서를 첨부하여 국토해양부장관과 미리 협의하도록 되어있고, 이 때 지하수개발 이용이 하천의 수량에 영향을 미친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취수량 취수 기간의 제한 및 취수 금지 등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나, 하천인근의 지하수 양수가 하천수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법이 마련되어있지 않아 실무적으로 지하수영향조사 및 허가 절차상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 이용에 따른 하천수량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간편 상관관계식을 지표수-지하수 통합모의 결과를 이용하여 유도 제시하였다. 지표수-지하수 통합모의를 위해서 SWAT-MODFLOW 결합모형을 적용하였고, 두 개의 시험유역에 대해 가상의 양수정 설치에 따른 하천수량 변화량을 평가하는 시나리오 분석을 수행하였다. 상관관계는 다중회귀분석을 통해서 하천수 감소량을 지하수 양수량, 하천과 양수정 이격거리, 대수층 및 하천바닥의 수리전도특성, 강수량 등의 함수로 나타내었다.

  • PDF

Performance comparison of INM-CM5 and INM-CM4 for monthly precipitation in historical period (INM-CM5 및 INM-CM4의 과거기간 월 강수량에 대한 성능 비교)

  • Song, Young Hoon;Chung, Eun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97-197
    • /
    • 2020
  • 기후변화 연구의 주요 요소 중 하나는 온도, 강수량 및 증발과 같은 기후 요인의 변화를 연구하는 것이다. General Circulation Model(GCM)은 다양한 기후 요인의 변화를 연구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CMIP)는 전 세계의 30여 개 이상의 기관에서 개발한 GCM의 모의 결과를 연구 및 공유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기후 연구에서 대표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CMIP5의 GCM은 미래 시나리오인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RCP)를 기반으로 전망 기간의 기후요소를 예측한다. 현재 개발하고 있는 CMIP6의 미래 시나리오인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SSP)는 인구, 경제개발, 생태계, 자원, 제도 및 사회적 요인에 대한 미래의 사회적, 경제적 변화에 따른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을 포함하고 있으며, CMIP6의 미래 시나리오는 사회적 및 경제적 결합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한 정책 영향에 대한 증진된 결과를 도출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CMIP5의 INM-CM4와 CMIP6의 INM-CM5를 사용하여 대한민국의 과거 기간(1970-2005)의 월 강수량에 대한 성능을 비교하였다. 격자형 자료인 GCM을 Inverse distance weight를 사용하여 대한민국 22개 관측소로 거리 보간을 수행하였으며, 편이보정 방법으로는 분위사상법(Quantile mapping) 방법 중 Smoothing Spline 방법을 사용하여 관측소와의 오차를 수정하였다. 산정된 강수량을 토대로 6개의 평가지표(NRMSE, Pbias, NSE, PRCP100, PRCP200, PRCP300)를 사용하여 GCM의 성능을 평가하여 INM-CM4와 INM-CM5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 PDF

Image-Based Cadastral Mapping with Fusion of Cadastre and Image Information (영상정보와 지적정보에의 융복합에 의한 영상응용지적도 개발)

  • Lee, In Su;Chang, Cheong Hwa;Seo, Yong Cheol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0 no.4
    • /
    • pp.45-54
    • /
    • 2012
  • Nowadays, a variety of efforts, such as the open of SPACEN, the enactment of law related to Spatial Information and the improvement of institute in order to encourage of the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in domestic, are fulfilled. At this moment, it is expected that spatial information market will be vigorous, with the development of image-based cadastral map with combining cadastral information(vector) with Imagery information (raster). Hence, this study deals with the Image-Based Cadastral mapping and its application.

An Analysis of the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Records from a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erspective (기록관리 관점에서 본 연구기록물의 가치와 특성 분석)

  • Koo, Chan Mi;Kim, Soon-H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17 no.3
    • /
    • pp.49-70
    • /
    • 2017
  • This study, as the basic research for making research records management policies, aims to define research records and analyze the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records from a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erspective.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defines research records and their types by reviewing related studie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following research records values: (1) evidence of research integrity and accountability with regard to research misconduct; (2) information for a succeeding study and an honorable failure; and (3) an asset fo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technology transfer. Finally, this study extract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records: (1) each type of documents, data, and materials; (2) the archival bond between program and records; and (3) the continuity of production and use of the records. The findings from this analysis could be considered in revising related laws and policies.

Economical and Industrial Effects of Fusion Technologies of multi-sensor Spatial Imagery (멀티센서 공간영상정보 통합처리기술의 경제적.산업적 효과분석)

  • Chang, Eun-Mi;Yoon, Min-Kyung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147-155
    • /
    • 2007
  • 본 연구는 기술개발 자체의 효과성을 개발된 기술의 시장성, 확대 보급가능성, 민간분야의 기술 로드맵과의 관계성을 도출하는 것으로 실제로 업계에서 다양한 인맥과 프로젝트의 경험을 가지고 있는 자에 의한 심층인터뷰를 근거로 한 정성적 판단과 시장조사를 통한 정량적 판단을 결합하여 멀티센서의 기술개발의 가치를 평가하는 후속 조치에 해당되는 연구이다. 직접적 측면의 산업적 파급효과는 2006년에는 시범적인 수준에서 적용된 사례를 중심으로 정리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전문화된 기업의 경우 각자의 강점에 기반을 두어 멀티센서의 적용시장을 바라보고 있다는 점이다. 모든 소프트웨어의 생산을 서버 부분부터 웹 버전, 모바일 버전까지 모두 보유하고 있는 벡터 부분의 GIS 수준과는 달리 위성영상 및 멀티센서 분야의 소프트웨어는 대용량으로 인한 한계로, 서버중심, 웹 중심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모바일 분야까지 확장되지는 않고, 차량항법장치와의 연계를 통한 확장을 꾀하는 수준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둘째, 전문기업이 아닌 대기업의 시장분석 및 전략에 관한 부분을 요약하자면, 멀티센서와 직접적인 연관을 갖는 회사는 많지 않으나 대체로 U-city 사업 발굴 시 멀티센서가 융합기술이 요소기술로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는 하고 있으며, 규모도 1,000억 원 대를 상회할 것으로 바라보고 있다. 셋째, 멀티센서 개발기술의 상용화 및 산업화를 위한 제거 요소 및 감소 요소, 증가 요소 및 새로이 만들어야 할 요소 등을 다차원 전략으로 제시하였으나, 전략을 구사할 기관이 산재되어 있어 제도적 차원의 뒷받침이 기술개발과 더불어 진행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넷째, 개발된 4개의 기술에 대하여 KVA에서 산출한 기업평가 방식을 변형하여 적용하였는데, 위성영상과 DEM 개발기술이 87% 이상의 점수를 받아 가장 시장성 및 활용성이 높은 기술로 평가되었으며, 초다분광영상에 대한 기술은 70%를 겨우 넘는 수준에서 평가가 되었다. 멀티센서 공간영상정보 통합처리 기술 개발은 다목적 실용위성의 보유, 국가 NGIS 사업의 결과물이 상당히 축척이 되어 있고, 라이다(LiDAR) 기술의 도입을 위한 환경이 조성되었기에 다른 국가에 비해 멀티센서 기술의 적용과 산업화가 가시화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멀티센서 자료의 수급이 용이하지 못하고, 법 제도적인 한계, 시장의 성숙도가 기대이하라는 점 등의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