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결찰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27초

저산소성 허혈성 손상을 받은 신생 흰쥐 뇌 해마에서 Fas와 FasL 단백 발현 (Fas/FasL expression in the hippocampus of neonatal rat brains follwing hypoxic-ischemic injury)

  • 장영표;김명주;이영일;임익제;조재주;김종완;여성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2호
    • /
    • pp.198-202
    • /
    • 2006
  • 목 적 : Fas는 세포표면 수용체로 세포사멸 신호를 전도한다. 많은 질환에서 세포표면의 Fas가 Fas ligand(FasL)와 결합하여 세포사멸 과정을 유발하게 된다. 연구자들은 7일된 신생 흰쥐에 저산소성 허혈성 손상을 유발한 후 뇌 해마에서 Fas와 FasL의 발현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 7일된 신생 흰쥐를 오른쪽 총 경동맥 영구 결찰 후 8% 산소에 2시간 노출시켰다. 저산소성 허혈성 손상 후 12, 24, 48시간에 뇌를 적출 냉동 보관하였다. Western blotting 방법과 면역형광염색 방법으로 냉동 보관된 뇌의 경동맥을 결찰한 오른 쪽 해마에서 Fas와 FasL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결 과 : Fas와 FasL의 발현은 저산소성 허혈성 손상 후 12시간에 경동맥이 결찰된 오른쪽 해마에서 크게 증가하고 이후 감소하는 것을 western blotting 방법에 의해 관찰하였다. Fas와 FasL의 면역형광발현은 오른쪽 해마의 CA1 영역에서 손상 후 12시간과 24시간에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Fas의 면역형광 발현은 손상 후 48시간에 감소하였으나 FasL의 면역형광발현은 손상 후 48시간에도 지속되었다. 결 론 : 세포표면에서 Fas와 FasL의 발현과 그들의 결합은 저산소성 허혈성 손상을 받은 미성숙 뇌의 신경세포 손상에 기여할 것으로 추측되었다.

랫드 척수신경 결찰에 따른 척수신경절세포의 퇴행성변화 (Degenerative Changes of the Rat Dorsal Root Ganglion (DRG) Cells Following a Tight Spinal Nerve Ligation)

  • 김이석;조승묵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3호
    • /
    • pp.261-266
    • /
    • 2009
  • 본 연구는 잘 알려진 통증모델을 대상으로 척수신경절세포의 변성과정을 경시적으로 관찰하고자 하였다. 10주령된 Sprague-Dawley 계통의 랫드를 실험동물로 사용하였고, pentobarbital (50mg/kg)로 마취상태에서 다섯째 허리신경(L5)의 앞가지를 결찰한 후 1일, 3일, 7일 실험군으로 구분하였다. 실험 1일과 3일군에서 작은 신경절세포에서 퇴행성변화가 먼저 관찰되었고, 중간 및 큰 신경절세포에서는 그 변화가 미약했다. 7일 실험군에서는 작은 신경절세포의 수가 크게 감소하였던 반면, 중간 및 큰 신경절세포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전자현미경 소견으로는 작은 신경절세포의 경우 초기 1일 및 3일군에서 미토콘드리아의 능선의 변형과 부종이 관찰되었으며, 세포질은 검게 변성되었다. 반면 큰 신경절세포의 경우 모든 실험군에서 변형된 세포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소기관들도 잘 보존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척수신경 결찰에 의한 통증자극으로 랫드 척수신경절 내 작은 신경절세포는 다른 신경절세포에 비해 퇴행성변화가 빠르게 나타났으며, 미토콘드리아 등 세포질소기관의 부종을 동반한 암적화변성(dark degeneration)을 통해 사멸되었다.

동맥관으로 오인된 좌폐동맥 결찰에 대한 재수술 치험 (LPA Occulusion Due to the Erroneous Ligature of Patent Ductus Arteriosus; a report of 3 cases)

  • 송태승;윤태진;민경석;서동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5호
    • /
    • pp.422-427
    • /
    • 2000
  • Confusion of a patent ductus arteriosus (PDA) for the descending thoracic aorta is a fatal error occurring occasionally in infants or neonates. As a result, the left pulmonary artery (LPA) may be misconceived as the PDA, and ligated. This surgical mishap of other hospital leads to serious congestive heart failure and loss of left lung function due to the underdevelopment in the peripheral vascular and alveolar structures in neonates and premature infants. In this report, 3 cases of LPA ligation and subsequent treatment are presented.

  • PDF

일차 자연 기흉의 치료를 위한 흉강경하 폐기포 결찰술 (Thoracoscopic Bleb Ligation in Patients with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 문성호;장인석;이정은;김종우;최준영;이상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2호
    • /
    • pp.133-138
    • /
    • 2010
  • 배경: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수술법은 자연 기흉의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수술방법은 자동봉합기를 이용한 폐쐐기 절제술, 폐기포 결찰술, 늑막유착술 등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2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일차 자연 기흉으로 흉강경하 폐기포결찰술을 시행한 89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평균 65개월 동안 추적하여 재발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폐기포 결찰술에 의한 일차자연기흉의 치료 후에 추적 기간 중 7명(8%)에서 기흉이 재발하였다. 결론: 일차 자연 기흉의 치료볍으로서 흉강경 폐기포 결찰술은 유용한 수술 방법으로 사료된다.

Serpulina(Treponema)hyodysenteriae 배양여과액의 돼지 공장 계제 점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iltrates of Serpulina(Treponema) hyodysenteriae on the epithelium in colonic loops in swine)

  • 강부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29-442
    • /
    • 1993
  • Serpulina(S) hyodysenteriae B 204 strain이 생산한 세포독소에 의한 장점막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사육조건에서 사육된 8주령, 수컷 잡종돼지 2마리의 결장을 외과적으로 결찰한 계제(loop)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Serpulina균을 trypticase soy broth(TSB)에 배양하여 결찰한 결장계제 4곳에 각각 멸균한 Serpulina균 TSB, 여과한 Serpulina균 TSB, 세척한 Serpulina균, 무처치 Serpulina균 TSB를 접종하였다. 점막조직을 접종(p.i.) 24, 48시간 후에 채취한 후 처리하여 주사전자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여과한 Serpulina균 TSB를 접종한 경우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세척한 Serpulina균을 접종한 경우는 무처치 Serpulina균 TSB를 접종한 부위에서 나타난 것과 유사한 초기변화가 관찰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Serpulina균의 세포독소가 실험적 감염시 초기병변형성에 별로 기여하지 않음을 시사하였다. Serpulina균의 독소가 병변을 야기하는데 관여하는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다.

  • PDF

치과위생사의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과 인간공학적 평가 (Evaluation of the Ergonomic Method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in Dental Hygienist)

  • 오나래;김해경;정미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234-24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치과위생사의 근골격계 증상과 작업관련 요인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자기기입식 설문지는 서울, 경기, 대구, 포항의 210명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2011년 8월1일부터 12일까지 조사를 실시한 후 회수하여 응답이 불분명하거나 크게 사고를 당한 5명을 제외한 205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교차분석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고 인간공학적 분석은 RULA 와 REBA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의 205명중 신체 한 부위라도 근골격계 증상을 경험한 사람은 196명으로 95.6%의 총경험률을 나타내었고, 근골격계 증상 경험은 오른쪽 목과 어깨사이가 82.4%로 가장 높았다. 목부위가 78%, 오른쪽 어깨가 69.8%, 오른쪽 손목이 66.3% 순으로 나타났다. 치과에서의 작업환경 개선은 치과위생사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는데 필요하다. 스켈링 position별 점수는 술자 7시 방향에서 점수가 높았고, 교정장치 결찰작업 중 설측 교정결찰 작업의 REBA Total score가 12점으로 Action Level 5 에 해당 되었다.

뇌의 허혈-재관류손상에 대한 연구: 혈소판활성인자의 관련 (A Study on Cerebr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Involvement of Platelet-Activating Factor)

  • 이원석;임병용;홍기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8
    • /
    • 1993
  • 뇌의 허혈-재관류 손상에 있어서 혈소판 활성인자 (PAF, platelet activating factor)의 관련을 증명하기 위하여 흰쥐와 생쥐에서 양측 총경동맥을 10분간 결찰하고 그후 6시간동안 재관류시켜 허혈-재관류 손상을 야기시켰다. 생쥐에 PAF 길항제인 BN52021과 CV6209 (각각 1 mg/kg, i.p.)를 총경동맥결찰 10분전 또는 재관류 시작 1시간 후에 투여시 McGram stroke index는 심하게 억제되었다. 흰쥐와 생쥐에서 뇌허혈-재관류에 의한 뇌수분함량의 증가는 BN52021 또는 CV6209 전처치에 의하여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BN52021 전처치는 허혈 후의 혈압변동을 개선시켰을 뿐만 아니라 뇌연막동맥의 확장지연에 대하여도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로 보아 PAF가 뇌허혈-재관류 손상의 발생에 내인성 인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나아가 PAF 길항제가 뇌허혈후의 병리학적 후휴증의 개선 내지는 예방에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체동맥 폐동정맥루 치험례의 보고 -1례 보고- (Systemic Pulmonary Arteriovenous Fistula - 1 Case Report -)

  • 허재학;김영태;성숙환;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4호
    • /
    • pp.409-412
    • /
    • 1998
  • \ulcorner증례는 매우 드물게 보고되는 질환인 체동맥에서 혈류공급을 받는 폐동정맥루의 수술례에 관한 보고이다. 이 체동맥 폐동정맥루는 수술시 부행혈관으로 인한 출혈과 폐의 울혈로 어려움을 겪기 쉽다. 환자는 재발성의 빈번한 객혈을 주소로 내원한 16세 여자 환자로 다발성의 공급혈관을 갖는 체폐동정맥루로 진단받고 수술 전에 동맥색전술을 시행한 후 수술을 시행한 경우이다. 우중엽과 우하엽에 걸친 15$\times$8 cm의 동정맥루로 우하엽 및 우중엽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시 심한 출혈과 폐울혈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수술후 15일째에 별 다른 합병증없이 퇴원하였다. 안전한 수술을 위해서는 비록 많은 수의 부행혈관으로 어려움이 있더라도 폐정맥의 결찰전에 이를 모두 결찰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어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