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결정 소성

Search Result 655,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Effect of plastic gradient on analysis of grain interactions of polycrystalline solids (소성 구배를 고려한 다결정 고체 해석의 상호작용에 대한 영향)

  • Chung, Sang-Yeop;Han, Tong-Seok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257-260
    • /
    • 2011
  • 마이크로 스케일에서 다결정 재료의 소성 거동을 살펴볼 때, 결정의 geometrically necessary dislocation(GND) 효과에 의한 소성 구배(plastic gradient)의 고려는 재료의 소성 거동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성 구배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결정 고체(polycrystalline solids)의 거동을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소성 구배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구배 경화 계수(gradient hardness coefficient)와 먼 거리 변형률에 대한 재료 길이 변수(material length parameter)가 사용되었다. 재료 길이 변수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재료 길이 변수의 차이에 따른 다결정 고체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또한 소성 구배 효과의 고려와 재료 길이 변수의 변화에 따라서 다결정 고체 내부에 위치한 단결정이 받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재료 길이 변수에 따라 결정이 받는 영향을 비교하여, GND에 의한 다결정 고체 거동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 PDF

The study of recrystallization of willemite crystal in ceramic glaze (도자기용 아연 결정유의 재결정화 연구)

  • Lee, Hyun-Soo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30 no.4
    • /
    • pp.136-142
    • /
    • 2020
  • Crystallization of zinc crystalline glaze requires demanding conditions such as the formation of a nucleating agent and the amount of nucleating agent, and growth of crystalline. Zinc crystalline glaze is hard to utilize in the industry because of its narrow range of the firing temperature, and the crystallization's dependency on the quality of zinc. Stimulation of zinc crystallization and formation of frit enable zinc crystalline glaze to be reconstituted in a various range of firing schedule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a competitive industrial glaze.

Effect of plastic gradient from GND on the simulation of polycrystalline solids (GND에 의한 소성 구배의 다결정 고체 모사에 대한 영향)

  • Chung, Sang-Yeop;Han, Tong-Seok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542-545
    • /
    • 2010
  • 재료의 마이크로 스케일 해석에서 결정의 geometrically necessary dislocation (GND) 효과에 의한 소성구배(plastic gradient)를 고려하는 것은 재료의 소성 거동을 분석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먼거리(long range)에서 전위(dislocation)의 영향을 고려하는 GND의 효과를 적용하여 소성 구배의 영향을 받는 다결정(polycrystal) 고체의 거동을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재료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해 탄성(elastic)과 소성(plastic) 변형에 먼 거리 변형률(long range strain)을 고려한 항(term)이 포함된 변형 구배(deformation gradient)의 multiplicative decomposition 모델을 사용하였다. 먼 거리 변형률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구배 경화 계수(gradient hardness coefficient)와 먼 거리 변형률 길이에 대한 재료변수(parameter)가 사용되었다. 각각의 계수들이 다결정 고체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두 변수의 적용에 따른 다결정 고체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다결정 재료의 GND 효과에 의한 소성 구배 효과를 고려해서, 고려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발생하는 경화(hardening)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서 GND에 의한 다결정 고체 거동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 PDF

Evaluation of Effect of Plastic Gradient on the Behavior of Single Grain inside Polycrystalline Solids (소성 구배의 영향을 고려한 다결정 고체 내부의 결정 거동 분석)

  • Chung, Sang-Yeop;Han, Tong-S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1 no.2
    • /
    • pp.39-44
    • /
    • 2011
  • Plastic gradient from geometrically necessary dislocation(GND) can strongly affect micro-scale plastic behavior of polycrystalline solids. In this research, mechanical behavior of polycrystalline solid is investigated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incorporating plastic gradient from GND effect. Gradient hardness coefficient and material length parameter a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plastic gradient on the behavior of materials. Sensitivity of the modeling parameters on the plastic gradient from GND is presented and effects of plastic gradient and material parameters on the behavior of single crystal inside a polycrystalline aggregate are investigated. It is confirmed that the plastic gradient from GND amplifies hardening response of polycrystals and affects single crystal behavior embedded in polycrystalline solids.

Fractographic Studies in Ballistically Damaged Polycrystalline Alumina (탄도충격으로 파괴된 다결정 Alumina의 파면조직)

  • 김종희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15 no.3
    • /
    • pp.127-134
    • /
    • 1978
  • 탄도충격에 의하여 파괴된 단결정 alumina의 파면조직을 광학 및 투과 전자현미경으로 연구 분석하였다. 파면의 주된 파괴 양상은 결정 입개면의 분리 또는 결정입내 파괴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파괴과정은 복잡한 cleavage 양상과 결정입자 내에서의 소성변형을 수반하고 있다. 미세조직 관찰 결과에 의하면 alumina ceramics의 충격 파괴과정에서 에너지의 흡수가 국부적인 소성변형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crystalline control of zinc crystal glaze for ceramics (도자기용 아연결정 유약의 결정 제어를 위한 연구)

  • Hyun-Soo Lee;Chi Youn Lee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33 no.6
    • /
    • pp.234-243
    • /
    • 2023
  • Zinc crystals of ZnO and SiO2 in glaze raw materials, developed according to composition and firing requirements, are preferred because of their high decorative properties. However, most zinc crystal glazes have a high firing temperature and a narrow firing temperature range, making it difficult to use them as commercial glazes in ceramics. Therefore, in this study, it was expected that the firing temperature of a typical zinc crystal glaze could be lowered to below 1270℃ by using the eutectic effect through mixing frit, the main raw material used in manufacturing zinc crystal glaze. As a result, not only was the formation temperature of zinc crystals lower in the mixed frit glaze, but also the firing temperature range was widened to 1230~1270℃, making it possible to develop a glaze that produces crystals stably. The firing temperature was lowered to 1230~1250℃ and the holding temperature during cooling was lowered to about 950℃, resulting in the development of an economically effective glaze. When using a combination of frit, it has been shown that the holding temperature during cooling affects the recrystallization of zinc crystals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glaze, and the crystal structure can be adjusted at this time. Additionally, the amount and shape of crystals can be controlled by using a nucleating agent.

석회석의 소성기술

  • 고재만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10a
    • /
    • pp.103-117
    • /
    • 2002
  • 생석회, 소석회, 경소돌로마이트, 경질탄산칼슘 생산을 위한 필수제조공정인 소성기술은 원료 석회석, 연료, 석회소성로의 응용에 따라 각 생산제품의 품질을 다양하게 변환시켜 석회사용용도에 적합하도록 석회제품을 생산하는 기술이다. 석회석 소성품질은 석회석의 크기 및 입자범위, 석회석의 화학성분, 결정형태, 고체연료와 유체연료의 사용구분, 석회소성로의 소성온도, 소성시간에 따라 소성도 및 반응성이 달라져 소성제품인 석회의 품질상태가 다양해진다. 예를 들면 사용되는 제강용 석회는 매우 빠른 반응성이 요구되고 카바이트용 석회는 매우 낮은 반응성이 요구되는데 현실적으로 석회를 제조할 경우 동일한 소성로안에서 일정한 소성온도, 소성시간을 같게 하여도 석회석의 크기가 다르고, 석회석 한 개체는 표면과 내부와의 소성온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소성도와 반응성이 동일하지 않다. 동일한 소성도 및 반응성을 갖는 석회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 중 낮은 소성온도의 장시간 소성방법은 높은 생산비용으로 경제성이 문제된다. 따라서 최적의 석회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먼저 석회 활용 용도에 맞는 품질기준을 설정하여 그에 적합한 소성기술의 응용이 필요하다.

  • PDF

석회석의 소성기술

  • 고재만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2.10a
    • /
    • pp.103-117
    • /
    • 2002
  • 생석회, 소석회, 경소돌로마이트, 경질탄산칼슘 생산을 위한 필수제조공정인 소성기술은 원료 석회석, 연료, 석회소성로의 응용에 따라 각 생산제품의 품질을 다양하게 변환시켜 석회사용용도에 적합하도록 석회제품을 생산하는 기술이다. 석회석 소성품질은 석회석의 크기 및 입자범위, 석회석의 화학성분, 결정형태, 고체연료와 유체연료의 사용구분, 석회소성로의 소성온도, 소성시간에 따라 소성도 및 반응성이 달라져 소성제품인 석회의 품질상태가 다양해진다. 예를들면 사용되는 제강용 석회는 매우 빠른 반응성이 요구되고 카바이트용 석회는 매우 낮은 반응성이 요구되는데 현실적으로 석회를 제조할 경우 동일한 소성로안에서 일정한 소성온도, 소성시간을 같게 하여도 석회석의 크기가 다르고, 석회석 한개체는 표면과 내부와의 소성온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소성도와 반응성이 동일하지 않다. 동일한 소성도 및 반응성을 갖는 석회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중 낮은 소성온도의 장시간 소성방법은 높은 생산비용으로 경제성이 문제된다. 따라서 최적의 석회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먼저 석회 활용 용도에 맞는 품질기준을 설정하여 그에 적합한 소성기술의 응용이 필요하다.

  • PDF

Microstructural Development During Microwave Sintering of CaO-$ZrO_2$-$SiO_2$Glass (마이크로파 소결에 의한 CaO-$ZrO_2$-$SiO_2$계 결정화 유리의 미세구조)

  • 소지영;김형순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7 no.12
    • /
    • pp.1178-1186
    • /
    • 2000
  • 타일의 내마모성과 내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결정화유리가 최근에 새로운 유약 재료로서 소개되고 있다. 신 유약의 연구에 사용된 조성은 $Ca_2$ZrSi$_4$O$_{12}$ 상에 근접하는 CaO-ZrO$_2$-SiO$_2$계의 유리조성의 분말로, 마이크로파 가열 (2.45 GHz)에 의해서 900-120$0^{\circ}C$의 0-20분간 소성되어 평가되었다. 그 결과, 100$0^{\circ}C$ 이상에서 소성한 시편은 내부 결정화를 나타내었으며, 결정상은 미세(5$mu extrm{m}$)한 크기를 갖는 $Ca_2$ZrSi$_4$O$_{12}$가 주 결정상이며, $Ca_2$ZrSi$_4$O$_{12}$, CaSiO$_3$, SiO$_2$의 세 상이 나타났다. 소결체의 미세구조는 사용한 유리분말의 입도의 영향을 받았다. 미세분말 (<38$\mu\textrm{m}$)을 이용한 소결체의 조직이 조세분말 (45-150$\mu\textrm{m}$)의 경우보다 수축율면에서 높았으며 낮은 기공도를 갖는 미세구조를 가졌다. 마이크로파에 의한 유리분말의 소성은 1000-120$0^{\circ}C$ 구간에서 10분 이내 결정화가 완료되는 급속 가열 공정이었으며 CaO-ZrO$_2$-SiO$_2$계 결정화 유리 제조에 균일한 체적가열을 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