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결정성 수지

Search Result 24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Study on the Thermal Properties and Adhesion Strength of Amorphous Polyalphaolefins/Petroleum Resin Blonds as a Hot Melt Adhesive (핫 멜트 접착제로 사용되는 비 결정성 올레핀 수지/석유수지 블렌드의 열적 성질 및 접착성에 관한 연구)

  • 홍인오;김환기;강호종
    • Polymer(Korea)
    • /
    • v.24 no.4
    • /
    • pp.513-519
    • /
    • 2000
  • The effect of petroleum resin as a tackifier for polyalphaolefin (APAO) hot melt adhesive on thermal properties, crystallinity and adhesion strength was investigated. The presence of petroleum resin resulted in the melting temperature decrease in APAO/petroleum blend, especially, in APAO with low ethylene content/C$_{5}$ petroleum blend. It was also found that petroleum resin caused the decrease of crystallinity regardless of ethylene content in APAO. The maximum adhesion strength was found to be at 50/50 (APAO/petroleum) composition. $C_{5}$ resin was more effective to increase adhesion strength than $C_{9}$ for APAO with high ethylene conten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adhesion strength was improved with the decrease of crystallinity in APAO/petroleum resin hot melts.

  • PDF

A Study on the Warpage of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 for Part Design and Operation Condition: Part 2. Crystalline Plastics (유리섬유로 보강된 수지에서 제품설계 및 성형조건에 따른 휨의 연구: Part 2. 결정성 수지)

  • Lee, Min;Kim, Hyeok;Lyu, Min-Young
    • Polymer(Korea)
    • /
    • v.36 no.6
    • /
    • pp.677-684
    • /
    • 2012
  • Injection molding process is a popular polymer processing involving plasticizing and enforcing the material flow into the mold. A polymer material shrinks according to temperature variations during the shaping process, and subsequently molding shrinkage developed. Developed deflections or warpages after molding process in part are caused by residual stress relaxation contained in the part. Adding inorganic materials or fibers such as glass and carbon to control shrinkage and enhance warpage resistance are common. In this study, warpages according to part design have been investigated through experiment. Warpages for molding conditions and mold designs such as gate locations were measured. Warpages along flow direction and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were also measured. Warpages near gate and far from gate were compared. Glass fiber reinforced crystalline polymers, PP and PA66 have been used in this experiment. Glass fiber reinforced crystalline polymers showed large warpage compared with glass reinforced amorphous polymers. Warpages in crystalline polymers were less influenced by molding conditions compared with amorphous polymers, however warpages of crystalline polymers significantly depend on part design.

A Study on the Warpage in Injection Molded Part for Various Part Designs and Non Reinforced Resins (비 보강 수지의 종류와 사출성형품의 설계에 따른 휨의 연구)

  • Lee, M.;Kim, J.H.;Park, S.R.;Lyu, M.Y.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v.44 no.4
    • /
    • pp.373-377
    • /
    • 2009
  • Most of the plastics products are being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Warpage in injection molded affects the product dimension and it causes assembling problem. In this study, warpages in the injection molded part been studied. Specimens are rectangular flat shapes with and without ribs. Amorphous polymers (PC and ABS) and crystalline polymers (PP and PA66) were used for material. Flat shape with ribs showed higher warpage than flat shape without ribs by 6 to 9%. The specimens with ribs that are located parallel to the flow direction has higher warpage than specimens with ribs that are located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by 25 to 39%. Crystalline polymers have higher warpage than amorphous polymers by 23 to 67%. Warpage decreases as packing time increases and it increases as injection temperature increases.

우리나라 경상수지흑자(經常收支黑字)의 실증적(實證的) 분석(分析)

  • Park, Won-Am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1 no.2
    • /
    • pp.65-88
    • /
    • 1989
  • 본고(本稿)는 1986년 이후 우리나라의 경상수지흑자(經常收支黑字) 및 수출입행태(輸出入行態)를 실증적(實證的)으로 분석(分析)하고 그 원인(原因)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1986년의 해외여건호전(海外與件好轉)으로 경상수지(經常收支)가 흑자(黑字)로 반전하게 되자 1987년 이후에는 원화(貨)를 상당히 절상(切上)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경상수지흑자감소(經常收支黑字減少)의 효과가 1988년까지는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환율(換率)의 변화를 수출가격(輸出價格)에 100% 전가(轉嫁)하지 않으려는 기업(企業)의 가격결정정책(價格決定政策)으로 수출물량감소(輸出物量減少)가 지연되고 원화절상(貨切上)의 J-커브효과(效果)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한편 1986년 이후 경상수지흑자기조하(經常收支黑字基調下)에서 수출입행태(輸出入行態)와 구조적(構造的) 안정성(安定性)을 계량적(計量的) 방법(方法)으로 검증한 결과 검증방법(檢證方法)에 따라 구조적(構造的) 안정성(安定性)의 가설(假設)이 기각되기도 하였는데 특히 수출단가(輸出單價) 및 수입물량결정행태(輸入物量決定行態)의 경우 1985년 이전에 비하여 구조적(構造的)으로 상당한 변화(變花)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aily Runoff Simulation Using the Watershed Water Balance and Streamflow Simulation Model (유역물수지모형을 이용한 일별 유출량 모의)

  • Kim Hak Kwan;Park Seung Woo;Hwang Sye Woon;Jang Tae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644-648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새만금 유역의 복잡한 용$\cdot$배수체계와 다양한 하천의 유출체계를 반영할 수 있는 유역 물수지모형을 구축하여 합리적인 유출량 추정을 위하여 새만금 상류유역의 신태인수위표 소유역을 대상으로 유역물수지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고 일별 유출량을 모의하였다. 유역물수지모형을 이용하여 대상유역에서 모형의 보정기간인 1998년의 유출량을 모의한 결과, RMSE는 2.64mm/day, RMAE는 0.24mm/day, 그리고 결정계수($R^2$)는 0.91로 모의되었으며, 모형의 검정기간인 2003년의 유출량을 모의한 결과, RMSE는 3.53mm/day, RMAE는 0.35mm/day, 그리고 결정계수($R^2$)는 0.83로 모의되었다.

  • PDF

Shear Stress Effect on Isothermal Crystallization Behavior of Semicrystalline Polymer (고분자수지의 등온 결정화거동에 미치는 전단응력의 영향)

  • 박헌진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9 no.4
    • /
    • pp.174-182
    • /
    • 1997
  • 결정성 고분자수지는 가공조건에 의해 결정되는 미세구조의 변화에 따라 최종물성 이 현저히 달라지므로 최종 성형품의 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성형가공 중에 필연적으 로 부가되는 열이력 뿐만 아니라 전단이력이 결정화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가공조 건의 최적화를 통하여 미세구조를 적절히 제어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in-situ 상태로 전단유도 결정화거동을 조사할수 있는 rheo-kinetic 실험 방법을 개발하고 결정화 거동에 미치는 열이력과 전단이력의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교적 결정화 속도가 빠른 폴리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대상으로 냉각조건, 전단부가시간, 전단속도등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plate-plate 레오미터로 시간에 따른 전단응력의 변화 를 조사하는 rheo-kinetic 연구를 수행하였다. 아울러 실험 중에 액체 질소로 급냉하여 얻은 시료를 대상으로 등온 및 비등온의 열분석 실험을 수행하고 JMA식과 Hoffman-Lauritzentlr 을 사용하여 분석한 다음, 그 결과를 rheo-kinetic 해석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결정화 거동에 미치는 전단응력의 영향을 규명하였다. 일정전단속동하에서 수행한 rheo-kinetic 실험결과, 시간에 따른 저난응력의 증가와 용융열이 증가하는 경향이 매우 유사한 거동을 보이므로 전 단응력의 증가는 결정화가 일어남에 기인한 결과임을 확인할수 있었으며 고분자수지가 전단 이력을 받게 되면 분자배향의 결과로 결정화 유도시간이 짧아지고 결정화속도가 증가할 뿐 만 아니라 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결정화가 일어나게 됨을 알수 있었다. 또 결정화 반가기 시간과 Hoffman-Lauritzen 식의 매개변수들이 전단속도, 전단부가시간, 결정화 온도 등의 이력에 무관하게 전단응력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하고 있으므로 전단유도 결정화거동은 수지 에 부가되는 전단응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음을 알수 있었다. 이상과같은 전단유도 결정화 거동에 관한 결과를 가공공정상의 열전달 현상과 결합하여 해서하면 성형품 내부의모폴로지 의 예측이 가능하므로 성형품 물성의 극대화 방안의 수립에 이용될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mold design improvement of the clamp chuck by using CAE simulation (CAE 응용설계 기법을 이용한 클젬프 척(Clamp chuck)의 금형설계 개선에 관한 연구)

  • 신명균;허용정;강성남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0.10a
    • /
    • pp.74-77
    • /
    • 2000
  • 사출성형에 관한 연구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공정 시뮬레이션을 위한 상용화된 CAE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는 분야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다양한 고분자 재료의 성질, 금형의 복잡한 형상 및 성형조컨 둥의 변화로 인해 금형설계 및 제작 그리고 사출성형시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된다. 사출성형 공정에서는 금형온도, 플라스틱 재료, 냉각수, 보압과 사출압 등의 여러 가지 공정변수가 있어 현장전문가의 경험에 의해 사출금형의 제작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보통이다 이와 같은 경험에 의한 금형 제작은 상당한 납기지연과 노동집약적인 방식으로 흘러가게 된다. 금형 제작시 가장 고려해야 될 사항 중의 하나는 사출성형품의 수축이다. 사출성형에서 광음수지는 냉각, 고화하면서 수축하는데 성형품 치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축하는만큼 금형의 치수를 보정하여야 한다. 이 수축률은 사용수지의 종류와 성형품 크기, 살두께 등에 따라 다르다. 또 동일한 수지일 경우에도 성형조건에 따라 변화하고 특히 배향성을 가진 수지는 유동방향에 따라서도 변화가 있다. 즉, 금형의 온도가 높으면 수축률은 증가하고 사출압력이 높으면 감소한다. 또한 살두께가 두껍고 길이가 길 때 수축률은 증가한다 방향성이 있는 수지는 유동방향에 대하여 지각방향에서 가장 적다. 특히 방향성이 현저한 HDP에서는 유동방향에 따라 수축차가 크므로 성형할 때 변형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PE, PP. PA와 같은 결정성 수지는 PS, SAM, ABS 등의 비결정성 수지보다 수축률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한조산업사에서 제작한 '클랠프 척' 금형 제작과정에서 성형품의 수축으로 인한 금형의 치수보정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유동해석 전용 CAE 프로그램인 C-mold를 사용하여 해석하고 평가하였다. 그리하여 현장 전문가가 경험적으로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거쳐 완성된 금형을 제작하던 기존의 방법보다 체계적이고 합리적이며 또한 신속하게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금형설계 및 제작기간을 단축하고자 한다.

Shrinkage in Injection Molded Part for Operational Conditions and Resins (성형조건과 수지의 종류에 따른 사출 성형품의 성형 수축)

  • Mo, Jung-Hyuk;Chung, Wan-Jin;Lyu, Min-Young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v.38 no.4
    • /
    • pp.295-302
    • /
    • 2003
  • The amount of shrinkage of injection molded parts is different from operational conditions of injection molding such as injection temperature, injection pressure and mold temperature, and mold design such as gate size. It also varie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crystalline structure in resins. In this study, part shrinkage was investigated for various operational conditions and resins.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for crystalline polymer, and polycarbonate (PC) and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for amorphous polymers were used. Crystall me polymer showed higher part shrinkage by about three times than that of amorphous polymers. Part shrinkage increased as melt and molt temperatures increased, and injection pressure decreased. Part shrinkage decreased as gate size increased since the pressure delivery is mush easier for larger gate sizes. Part shrinkage at the position close to the gate was larger than that or the position far from gate. This phenomenon might be occur by difference of residual stress.

Determination of optimal capacity for rainwater use facilities through water balance analysis (물수지 분석을 통한 빗물이용시설 최적용량 결정)

  • Ham, Dae Heon;Song, Yang Ho;Choi, Gyung Min;Lee, Ju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29-329
    • /
    • 2020
  • 일정규모 이상의 공공건축물에 대하여 빗물이용시설의 설치는 의무화 되어있으나, 빗물이용시설의 용량결정의 관한 기준은 부처별, 기관별로 상이하고, 동일한 기관의 기준내에서도 적용방법에 따라 용량 결정의 기준 범위는 광범위 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토지주택연구원을 대상으로 빗물이용시설의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편익을 용량 및 집수면적별로 산정하여 최적용량 결정을 위한 가이드를 제시하였다. 빗물이용시설의 편익은 우수유출 저감, 폭염 저감, 미세먼지 저감, 조경용수 사용으로 설정하였으며, 대전광역시의 2019년 실제 강우사상을 대상으로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빗물이용시설은 일반적으로 B/C가 낮게 산정되어 경제성 측면에서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아왔다. 빗물이용시설의 경제성은 빗물이용시설의 용량에 따른 빗물의 활용정도를 계산하여 산정하였으나, 실제 빗물이용시설의 경제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강우패턴과 빗물의 용도에 따른 사용량이다. 강우에 의한 공급량과 빗물의 소비량이 1차적인 요소이고, 2차적으로는 공급량을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인 빗물이용시설의 집수면적과 용량, 소비되는 빗물의 용도별 편익에 따라 빗물이용시설의 경제성이 결정된다.빗물이용시설의 설치를 위한 선행단계로 빗물의 사용용도와 그에 따른 사용량을 설정하고, 각 용도에 따라 편익을 설정한 후 용량별 집수면적별 B/C를 산정한다. 이렇게 작성된 B/C 테이블을 현장에 제공하고, 현장여건에 맞추어 공사감독자가 용량을 결정한다면, 기존의 광범위한 용량기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효율적인 빗물이용시설 용량 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Preparation of strip-cast alloys for high performance Nd-Fe-B sintered mangnets (고특성 Nd-Fe-B 소결자석 제조용 strip-cast 합금의 제조)

  • 이대훈;장태석;임태환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2.05a
    • /
    • pp.52-54
    • /
    • 2002
  • 본 연구는 고특성 소결자석 제조용 strip-cast 합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단계 연구로서 파양한 조건을 통해 strip-cast 합금을 제조한 후, 제조조건이 합금의 미세조직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조성이 Nd/sub 15/Fe/sub 77/B/sub 8/인 strip-cast 합금을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한 결과, wheel speed 즉, 냉각속도가 5 m/s 이하에서 strip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수지상정이 잘 발달한 것을 발견하였으나, 그 이상의 냉각속도에서는 수지상정이 붕괴되며 미세한 결정질로만 구성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잘 발달된 수지상정을 얻기 위해서는 냉각속도를 5 m/s로 유지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 때 수지상정간 간격은 약 4-7㎛로써 고특성 소결자석의 기준에 잘 부합되었다. 한편 XRD 분석결과, 냉각속도 5 m/s이하에서는 <001> 방향으로 뚜렷하게 preferred orientation이 일어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것은 strip 합금의 분쇄 및 소결시에 결정립 배향성에 유리하게 작용하여 최종 소결자석의 자기적 특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