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결석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26초

비위축성 신절석술 55례 (Anatrophic Nephrolithotomy; Experience in 55 Cases)

  • 김태진;박동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1호
    • /
    • pp.149-155
    • /
    • 1992
  • 1983연 7월부터 1990년 6월까지 만 7년동안 비위축성 신절석술을 시행하였던 5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후 합병증과 잔석의 빈도 등을 중심으로 임상적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장 흔한 주소는 측복통으로 40례(72.7%)에서 나타났고, 다음은 혈뇨로 16례(29.1%)였고 증상 없이 우연히 발견된 경우는 4례(7.3%)였다. 동반질환은 타요로계 결석 질환이 16례(29.1%)로 가장 많았으며, 그외에 고혈압 11례(20.0%), 위궤양 7례(12.7%), 신낭종 5례(9.1%)등이었다. 수술전 요배양검사에서는 양성이었던 경우가 19례(34.5%)로 나타났으며, 그중 포도상구균이 5례로 가장 많았고, 그외에 대장균 3례, 녹농균 3례, Proteus 및 Acinebacter가 각각 2 등이었다. 신결석의 형태에 따른 분포는 다발성결석이 20례, 완전녹각석이 13례, 부분 녹각석(분지결석)이 10례, 신배결석이 9례, 신우결석이 3례이었다. 신결석의 성분분포는 수산칼슘과 인산칼슘의 혼합결석이 22례(40.0%)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수산칼슘석이 17례(30.1%), 인산마그네슘암모늄석이 8례(14.5%), 뇨산석이 3례(5.5%) 등이 순이었다. 평균수술 시간용 219.8분이었고 신혈관 차단시간용 평균 43.5분이었으며, 수술중 수혈은 22례(40.0%)였으며 수술당 평균수혈양은 2.36 pints이었다. 수술후 합병증은 지속적 요로감염 5례(9.1%), 무기폐 4례(7.3%), 일시적 뇨누출 2례(3.6%), 지연출혈 2례(3.6%) 및 요저류 2례(3.6%) 등이었고, 술후 3mm이상의 잔류결석은 15례(27.3%)였으나, 추적관찰중 8례(53.3%)에서 자연배출 되었고 결석의 재발은 2례(3.6%)에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비위축성 신절석술은 결석조각을 모두 제거하고 누두성형을 시행하여 뇨정체를 없애줌으로써 결석재발의 빈도를 감소시키는데 좋은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 PDF

하부 요관결석 환자에서 Dormia Stone Dislodger를 이용한 경뇨도적 요관배석술의 의의 (Transurethral Dormia Dislodging in Patients with Lower Ureteral Stone)

  • 김은길;서준규;김영수;박동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권1호
    • /
    • pp.81-85
    • /
    • 1985
  • 저자들은 하부 요관결석에서 경뇨도적배석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1983년 9월부터 1985년 8월까지 만 2 년동안 영남대학병원 비뇨기과에 입원한 하부 요관결석 환자중 결석의 크기가 1.0cm 이하이며 방광경 조작의 적응이 되는 37명에서 Dormia stone dislodger를 이용한 경뇨도적 배석술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37명의 환자중 16명에서 결석이 조작 즉시 배출되었고, 5명에서는 유치한 catheter 제거시 동시에 배출되었으며, 4명에서는 조작후 l 주이내에 자연배출되어 68%의 성공률을 얻었다. 2. 결석의 크기에 따른 성공률은 결석의 장경이 0.4cm 이하인 경우 77%, 0.4~0.6cm인 경우 58%, 0.6cm 이상에서 33%로서 결석의 크기가 작을수록 성공율이 높았다. 3. 합병증으로는 배석기의 파손으로 요관 절석술을 시행한 1례, 요관협착으로 중등도의 수신증이 병발한 1례, 지속적인 혈뇨가 생긴 1례로서 8.1%의 합병증률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1.0cm 이하의 하부 요관결석에서 경뇨도적 요관배석술을 시행하여 비교적 높은 성공률과 낮은 합병증률을 보였다. 이에 저자들은 하부 요관결석 환자에서, 특히 결석의 크기가 작고 반복적인 동통이 동반된 경우에는 일차적으로 경뇨도적 요관배석술을 시행해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 PDF

개에서 발생한 뇨 저류에 의한 전립선 결석의 치료 (Treatment of Prostatic Calculus Causing Urinary Retention in a Dog)

  • 박철호;오기석;손창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03-505
    • /
    • 2013
  • 과거 방광결석으로 진단되어 처방식으로 관리 중인 6살의 잡종견이 혈뇨 증상을 주증으로 전남대학교 동물병원에 내원하였다. 환축은 복부 방사선 검사 결과 전립선 위치에 결석이 확인되었고, 초음파 검사와 CT 검사 결과 전립선 내 결석이 전립선 요도 내강으로 돌출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환축은 prostatolithotomy를 통해 전립선 내 결석을 제거한 후 찢어진 전립선 요도를 봉합하였고, 결석에 의한 전립선 내강은 omentum을 채워 넣은 후 봉합하였다. 결석의 성분 분석을 위해 crystallographic analysis를 시행한 결과 결석은 magnesium ammonium phosphate (struvite) 80%와 carbonate apatite 20%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환축은 수술 후 회복하여 뇨의 누출은 관찰되지 않았고, 혈뇨 증상은 개선되었으며, 수술 후 6개월에도 특별한 임상증상은 없었다.

아동의 학교결석일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 패널고정효과모형을 활용하여 - (A Longitudinal Study of the Ecological-Systemic Factors on School Absenteeism in South Korean Children - A Panel Fixed Effects Analysis -)

  • 김동하;엄명용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3호
    • /
    • pp.105-125
    • /
    • 2016
  • 학교결석은 학업중단이나 비행 범죄에 대한 잠정적인 조기 예측요인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관점을 토대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아동의 학교결석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에서 초4 패널의 2차년도와 3차년도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초등학교 2,378명을 대상으로 패널회귀분석의 고정효과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아동의 컴퓨터 사용시간, 부모의 학대, 학교활동참여정도, 학업성적이 학교결석일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컴퓨터 사용시간, 부모의 학대는 학교결석에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학교활동참여와 학업성적은 학교결석에 보호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아동 청소년 문제에 대한 예방적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학교결석에 대한 체계적인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PDF

방선균에 의해 발생된 기관지 결석증 (Broncholithiasis Caused by Actinomycosis)

  • 박정옥;방성식;김삼현;서필원;류재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3호
    • /
    • pp.236-239
    • /
    • 2006
  • 32세 남자 환자가 내원 15일 전부터 지속되는 피가 섞인 가래를 주소로 전원되었다. 환자는 내원 전부터 반복되는 폐렴으로 개인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흉부 X-선상 우폐 중엽에 폐허탈이 관찰되었다.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상 우폐 중엽 기관지에 결석이 관찰되었으며 우폐 중엽에 폐허탈이 동반되어 있었다.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하여 기관지 결석을 제거하려 하였으나 제거할 수 없었다. 이에 수술 치료로 기관지결석을 제거하고 우폐 중엽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조직병리 검사상 기관지결석의 원인은 방선균증으로 진단되었다. 방선균에 의한 기관지 결석은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반복적인 폐쇄성 폐렴은 동반한 방선균에 의한 기관지결석에 대한 외과적인 치료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체외충격파쇄석술 적용을 위한 총담관결석의 선택 (Patient's Selection for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for Treatment of Common Bile Duct Stones Resistant to Endoscopic Extraction)

  • 이원홍;손순룡;박천규;김창복;강성호;류명선;이용문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8권2호
    • /
    • pp.105-110
    • /
    • 2005
  • 담관 결석은 동통뿐만 아니라 황달이나 담도염 또는 췌장염 등을 유발할 수 있다. 결석에 대한 내시경적 제거가 실패할 경우 체외충격파쇄석술이 요구될 수 있는데, 이 논문은 담관 결석환자에 대한 체외충격파쇄석술 적용에 있어 보다 더 적절한 선택 기준을 정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총담관 결석 환자 중 기계적 쇄석술을 포함한 내시경적 제거에 실패한 46명이 체외충격파쇄석술을 받았다. 46명 모두 체외충격파쇄석술 전에 내시경적 유두괄약근 절개술을 받았으며, 경비담도배액관의 삽입이 이루어 졌다. 사용된 쇄석기는 초음파 유도하에 결석을 포착하는 시스템으로 spark-gap type이였다. 쇄석 후 추가적인 내시경적 제거술이 이루어 졌으며, 결석이 완전 제거된 경우는 89.1%(41/46)였으며, 자연 배출된 경우는 6.5%였다. 쇄석 후 결석제거율은 결석의 수(단일: 82.8%, 둘-셋: 100%, 넷 이상: 100%)와 크기(33 mm 미만: 92.9%, 33 mm 이상: 83.3%)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결석들의 장축 길이 합과 결석이 위치하지 않는 부분의 총담관 길이 합을 비교하였을 때 완전 제거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비가 1:1.4와 1:1.1, 그리고 가장 큰 결석의 직경과 결석하방의 총담관 직경을 비교한 경우는 그 비가 1:0.9와 1:0.4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결석의 수나 크기보다는 총담관 내에 분쇄된 결석이 충분히 움직여 바스켓으로 포획될 수 있는 공간이 있을 경우에 체외충격파쇄석술 적용이 상당히 유용하나 그렇지 않은 경우는 경피적 담도경을 이용한 제거가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 PDF

Mini-review: 멜라민에 의한 신요로계 결석 (Mini-review; Melamine-related Urinary Stone Disease)

  • 강희경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3권1호
    • /
    • pp.21-25
    • /
    • 2009
  • 2008년 말 발생한 멜라민 파동은 멜라민에 오염된 분유를 섭취한 영아들에서 요로계 결석이 발생한 것으로부터 비롯되었다. 멜라민 관련 요로계 결석의 위험인자는 3세 미만의 나이, 많은 멜라민 섭취량과 탈수, 요산의 요 배설량 증가 등의 일반적인 요로계 결석 위험인자의 동반이다. 멜라민 관련 결석은 주 성분이 요산이므로 수분 공급과 소변 알칼리화의 보존적인 치료로 회복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체외 충격파 결석 파쇄 장치에 의한 대상물 파쇄시의 발생음의 측정과 해석 (Measurement of Sounds Radiated of Phantom Piezoelectric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ter and Their Analysis)

  • 장윤석;박무훈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36-40
    • /
    • 1997
  • 결석 치료에 있어서, 체외 충격파 결석 파쇄 장치(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ter)의 유효성은 잘 알려져 있지만 , 충격파 조사시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보고는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충격파에 의한 파쇄과정에 있어서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체외 충격파 결석 파쇄 장치에 의한 대상물 파쇄시에 발생하는 음을 분석하는 연구를 행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결석모델로서 chalk를 선정하여, 단발 충격을 가할 시의 방사음의 특징을 조사하고, 아울러, 임상용 결석 파쇄 장치를 사용한 모의실험에 의해 전술한 실험결과를 확인한다. 그 결과, 고유 진동의 피크 주파수가 충격횟수에 따라 변환되는 것이 확인되어, 실제로 장치를 임상용으로 사용할 때, 파쇄 과정 감시에 충분히 활용 가능하다.

  • PDF

규폐증 환자에서 기관지 결석증으로 인한 기관지식도루 -1예 보고- (Bronchoesophageal Fistula Complicated by Broncholithiasis in a Patient with Silicosis - 1 case -)

  • 황여주;전양빈;박철현;박국양;이재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6호
    • /
    • pp.450-453
    • /
    • 2005
  • 규폐증 환자에서 기관지 결석증은 드물게 발생판다. 특히 기관지 결석증의 합병증으로 기관지식도루가 발생한 예는 매우 드물어 국내에서는 1예 보고된 바 있다. 기관지 결석증과 기관지 식도루의 수술치료는 손상되지 않은 폐실질을 최대한 보존하고, 누공의 비혈관성 조직들을 완전히 제거하여 식도와 기관지 봉합 부위를 흉막 피판이나 늑간근 피판으로 완전히 감싸주는 것이 중요하다. 저자들은 규폐증 환자에서 기관지 결석증으로 인한 기관지식도루 1예를 수술 치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소아에서의 요로결석: 단일기관에서 22년간의 경험 (Pediatric Urolithiasis: Our 22-year Experience at a Single Center)

  • 김수연;김민지;이주훈;김건석;박영서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7권2호
    • /
    • pp.101-109
    • /
    • 2013
  • 목적: 소아 요로결석은 흔하지 않은 질환이나 신장에 치명적인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성인 요로결석의 경우 많은 수의 문헌 보고들이 있으나, 소아에서는 대규모의 연구들이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22년간 3차 의료기관에서 22년간 경험한 소아 요로결석 환아들을 분석하였다. 방법: 1991년 1월부터 2013년 5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 소아비뇨기과에서 요로결석으로 진단된 환아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분석하였다. 진단 시 연령, 성별, 임상 증상, 가족력, 동반 질환, 요로결석의 위치, 결석 성분 분석, 원인 및 치료 방법, 재발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137례(남:여=96:41)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령 분포는 생후 5일경 진단받은 경우부터 17세까지로 1세 미만이 43례(31%)로 가장 많았고 그 중 16례(37%)에서 중환자실 치료의 과거력이 있었다. 요로결석의 가족력은 13명(9.5%)의 환자에서 보였다. 진단 당시 주증상으로는 육안적 혈뇨가 56명(41%)으로 가장 많았으며 측복부 동통 또는 복통이 46명(34%)이었다. 요로결석의 위치는 신석 82례(62%), 요관석 30례(22%), 방광석 2례(1.4%) 였으며, 20례(15%)에서는 다발성으로 있었다. 요 저류를 일으킬 수 있는 구조적인 원인이 동반된 경우는 모두 26례(19%) 이었으며, 대사 검사는 91례(66%)에서 시행하여 38%(35/91)에서 이상을 발견하였고, 요로감염은 26례(19%) 에서 발견되었다. 요로결석 성분검사는 35례에서 가능하였으며 칼슘석이 20례(20/35,57%)로 가장 많았으며, 감염석 5례(5/37,14%), 요산석 4례(4/35,11%), 탄산염 인회석 3례(3/35,7%), 시스틴석 2례(2/35,6%), 인산염석 1례 순이었다. 개방 수술적 치료가 5례(4%)에서 시행되었으며 77례(56%)에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나머지 55례(40%)에서는 1가지 이상의 비개방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총 18례(13%)에서 요로결석이 재발하였다. 결론: 소아 요로결석은 흔히 비뇨 생식기계의 구조적 이상, 대사 이상, 요로감염과 연관되어 발생하며, 두가지 이상의 원인을 함께 동반하기도 하고, 특발성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들을 배제하기 위한 검사들이 시행되어야 한다. 또한 소아 요로결석은 절반에서 자연배출이 되며, 최근 20년 들어 기구와 술기가 발전하여 최소 침습적 치료들이 가능하다. 소아 요로결석은 재발율이 높으므로 장기간의 추적관찰이 필요하며 잔류 요로결석이 완전히 사라지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