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견열 골절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2초

내측 반월상연골 전방 기시부 견열 골절 (Avulsion Fracture of the Anterior Medial Meniscus Root)

  • 민경대;조휘제;김경범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450-455
    • /
    • 2020
  • 슬관절의 반월상연골 손상 중 내측 반월상연골 후방 기시부 파열은 잘 알려져 있다. 내측 반월상연골 전방 기시부 파열은 매우 드물게 보고되고 있으나 내측 반월상연골 전방 기시부의 외상성 견열 골절은 보고된 바가 없다. 저자들은 내측 반월상연골 전방 기시부 견열 골절을 경험하여 관절경적으로 치료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족관절 골절에서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의 진단과 골편 고정술을 위한 전산화 단층 촬영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CT for the diagnosis and the fragment fixation of antero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avulsion fracture in ankle fracture)

  • 나화엽;조국희;정유훈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8-85
    • /
    • 2011
  • 목적: 족관절 골절에서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의 진단 및 골편 고정술을 위한 전산화 단층 촬영의 유용성을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7월부터 2010년 7월까지 본원에서 단순 방사선 검사 및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하여 수술한 족관절 골절 환자 108명을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이 동반된 환자 19명과 대조군 89명으로 나누어, Lauge-Hansen 분류, 수상 시 힘의 양, 원위 경비 인대 결합 손상의 방사선학적 지표를 비교하였다. 두 군의 평균 추시 기간은 각각 25개월 및 23개월이었다. 전체 환자 중 수술 시 부하 검사에 족관절 불안정성으로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의 골편을 고정한 환자 8명과 횡나사 경비 고정술을 한 환자 11명의 최종 추시 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이 동반된 환자 19명 중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만 발견된 환자가 14명이었다.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이 있는 환자가 없는 환자에 비해 회내-외회전에 의한 손상, 고 에너지 손상, 원위 경비 인대 결합 손상에 대한 방사선학적 지표에 해당하는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의 골편을 고정한 환자와 횡나사 경비 고정술을 한 환자 모두 최종 추시 상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고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회내-외회전, 고 에너지 손상, 방사선학적 지표 상 원위 경비 인대 결합 손상에 해당하는 족관절 골절 환자에서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의 유무를 알기 위해 전산화 단층 촬영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이 있는 경우 골편을 직접 고정하는 것이 원위 경비 인대 결합 손상의 치료에 유용한 방법 중 하나로 생각된다.

  • PDF

소아에서 발생한 전방 십자인대 견열 골절에서 유관 나사못을 이용한 관절경적 정복술 -증례보고- (Arthroscopic Cannulated Screw Fixation of Avulsion Fracture of the Intercondylar Eminence of the Tibia in a Child -A Case Report-)

  • 문규필;김경택;강민수;박원로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2-65
    • /
    • 2012
  • 소아 전방 십자인대 견열 골절은 비교적 드물게 발생하며, 주로 청소년기에 발생하고 경쟁 경기 중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수술 후 합병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최근에는 관절경적 수술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나사못, K-강선, 봉합 나사못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유관 나사못 고정술은 수술 술기가 가장 간단하나 단점으로 성장판 손상의 가능성이 있다. 저자들은 8세 여아의 전방 십자인대 견열 골절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유관 나사못 고정술로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전방십자인대 견열 골절의 관절경적 치료: 성장판을 보존한 All-Inside 교량형 봉합술 (Arthroscopic Treatment of an Anterior Cruciate Ligament Avulsion Fracture: Physeal-Sparing, All-Inside Suture Bridge Repair)

  • 박병문;이승환;양봉석;김지현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444-449
    • /
    • 2020
  • 전방십자인대 견열 골절은 주로 소아 및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드문 손상으로 전방십자인대의 길이를 유지하여 정상적인 슬관절의 기능을 보존하기 위해서 견열 골편의 정복 및 고정이 필요하다. 이에 다양한 술기가 보고되었으나 성장판이 열려있는 소아에서의 성장판 손상의 위험으로 인해 치료 방법에 논란의 여지가 있다. 저자들은 성장판이 열려있는 소아의 전방십자인대 견열 골절에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술을 시행하여 성장판의 손상 없이 견고한 고정 및 좋은 임상 결과를 얻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71세 남자에서 발생한 후방십자인대 대퇴골 부착부 견열 골절 - 1례 보고 - (Femoral Bony Avulsion Fracture of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 a Seventy one Year Old Man - A Case Report -)

  • 이영현;안길영;남일현;문기혁;김기철;이채경;이상충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8-130
    • /
    • 2010
  • 후방십자인대의 대퇴골 견열 골절은 성인에서 매우 드문 손상이다. 과거 슬관절 손상으로 인해 관절 운동의 부분적 제한이 있던 71세 남자 환자가 약 2미터 높이에서 떨어지는 사고로 내원하였다. 촬영한 컴퓨터 단층촬영 및 자기공명영상검사에서 후방십자인대 대퇴골 부착부 견열 골절을 확인하였다. 관절경 시술 하에 두개의 강선으로 대퇴 내과를 통하여 고정하였다. 술 후 1년째 강선 제거술 및 2차 관절경 검사로 골절 부위의 유합을 확인 하였기에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개에서 발생한 양측성 경골조면 부분 견열골절의 방사선학적 변화 (Radiographic Changes of Bilateral Partial Avulsion Fracture of Tibial Tuberosity in a Dog)

  • 계서연;최미현;이남순;장재영;이혜경;김현욱;윤정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4-137
    • /
    • 2013
  • 4개월 된 수컷 진도 견에서 좌측 후지 파행이 발생하였다. 방사선 검사에서 양측 경골 견인 골단 아래 작은 골편이 관찰되었으나, 견인 골단의 변위는 없었다. 그 후 양측 경골 조면 부위의 골밀도는 방사선 투과성에서 비투과성으로 변화하였다. 좌측 경골은 수술 후 회복되었으나, 우측 경골은 보존적 처치로 자가 치료되었다. 본 환자는 경골조면의 부분 견열골절로 진단되었으며, 이는 개에서 'Osgood-Schlatter disease'로 불려져 왔던 질환이다. 이 증례는 환자의 경골조면 부분 견열골절의 순차적인 방사선학적 영상 변화에 대한 유용한 임상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슬관절 인공관절 치환술 중 발생한 내측 측부 인대 견열 골절에 대해 생흡수성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고정 후 발생한 골용해 (Osteolysis-Related Bioabsorbable Suture Anchor Fixation in a Medial Collateral Ligament Avulsion Fracture during Total Knee Arthroplasty)

  • 허정욱;박만준;홍성확;박준형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545-549
    • /
    • 2020
  • 슬관절 인공관절 치환술 중 드물게 발생하는 내측 측부 인대 견열 골절의 치료는 보조기나 캐스트 등의 보존적 치료, 금속 나사못을 이용한 고정 등의 다양한 치료법이 소개되고 있다. 생흡수성 봉합 나사못은 생체 적합성, 방사선 투과성, 제거를 위한 2차 수술이 불필요하다는 장점 등으로 여러 부위에서 금속 고정물을 대체해 사용되고 있으나 골용해 등의 합병증이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슬관절 인공관절 치환술 중 발생한 내측 측부 인대 견열 골절에 대해 생흡수성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고정 후 심각한 골용해 소견을 경험하여 사용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판단하에 이에 대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생흡수성 핀을 이용한 소아 경골 과간부 견열 골절의 관절경적 정복 및 고정 방법 - 수술 술기 - (Arthroscopic Reduction and Fixation of an Anterior Cruciate Ligament Avulsion Fracture From the Tibial Eminence Using Bioabsorbable Pins - Technical Note -)

  • 이수찬;양일순;서희수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83-187
    • /
    • 2009
  • 목적: 성장판이 남아 있는 청소년기 환자에서 발생한 경골 과간부 견열 골절에 대해 생흡수성 핀을이용한 간단한 관절경적 정복 및 고정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수술 술기: 전외측 및 전내측 삽입구를 통하여 진단적 관절경 검사를 시행 후, 손상부를 잘 관찰하기 위하여 미세 골절파편과 응고된 혈액을 제거한다. 탐침을 이용하여 골절편을 정복한 상태에서 1.1 mm K-강선을 관절의 전상부에서 경피적으로 삽입하여 임시로 골절편을 고정한다. 드릴 가이드를 관절 내로 삽입 후, poly-p-dioxanone로 만들어진 40 mm 길이의 생흡수성 핀들을 다양한 각도에서 삽입하여 골절편을 완전히 고정한다. 수술 후 슬관절을 신전시킨 상태에서 장하지 석고 고정을 4주간 시행하여 술 후 슬관절의 완전 신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결론: 전방십자인대에 의한 경골 과간부 견열 골절을 생흡수성 핀을 이용하여 관절경적으로 고정하는 술기는 기술적으로 어렵지 않으며, 골절 치유와 관절의 안정성을 얻을 수 있는 수술 방법이다.

  • PDF

태권도 선수에서의 양측성 좌골 조면 병변 - 증례 보고 - (Lesions of the Bilateral Ischial Tuberosity in a Tae-Kwon-Do Athlete - A Case Report -)

  • 민경대;최상욱;류기훈;이병일;김준범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2-125
    • /
    • 2007
  • 좌골 조면 견열 골절은 초기 청소년기에 슬괵건의 급격한 견인력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손상인 반면, 좌골 조면의 견인 골단염은 과도한 활동과 반복된 미세 외상에 의해 서서히 발생하며 진단시 간과하기 쉽다. 저자들은 태권도 선수로 활동 중인 16세 남자에서 특징적인 방사선 소견을 보이는 간과된 좌골 조면 견열 골절과 반대쪽의 견인 골단염이 동시에 나타난 드문 증례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요수근 관절의 골절-탈구에서 단요월상인대의 손상 형태에 따른 치료 결과의 비교 (Comparison of the Outcomes according to the Injury Type of the Short Radiolunate Ligament in Fracture-Dislocation of the Radiocarpal Joint)

  • 허윤무;김태균;송재황;장민구;이석원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51-60
    • /
    • 2021
  • 목적: 요수근 관절 탈구는 고에너지 손상에 의해 발생하며 요골 경상돌기 골절 및 단요월상인대 손상을 동반한다. 단요월상인대는 요골 부착부에서 파열되기도 하지만 요골 월상골와의 전방연에서 견열 골편을 동반하여 발생하기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요골 경상돌기 골절이 동반된 요수근 관절 탈구에서 단요월상인대의 손상 형태 및 치료 방법에 따라 결과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요수근 관절 탈구로 수술을 시행한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요수근 관절 탈구는 Dumontier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Group 1 (순순한 탈구 또는 요골의 작은 견열 골절)과 Group 2 (주상골와의 1/3 이상을 침범한 요골 경상돌기 골절)로 분류하였다. Group 2는 단요월상인대의 부착부가 파열되거나 작은 견열 골절을 동반한 경우를 2A, 비교적 큰 견열 골절을 동반하여 내고정이 가능한 경우를 2B로 분류하였다. 전자는 단요월상인대의 직접 봉합으로, 후자는 작은 나사를 이용한 견열 골편의 내고정으로 치료하였다. 최종 추시에서 통증, 관절 운동 범위와 파악력, 영상 검사를 확인하였다. 치료 결과는 patient-rated wrist evaluation(PRWE), modified Mayo wrist score (MMW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모든 증례는 Group 2 (2A 6명, 2B 12명)로 분류되었다. 굴신 운동 범위는 건측의 79%, 파악력은 72.9%를 보였다. Group 2A가 2B보다 신전/굴곡/회전에서 더 큰 운동 범위를 보였다. 요사위/척사위/회외전과 통증, 파악력 회복은 차이는 없었다. PRWE, MMWS에서는 두 군의 차이가 없었다. 합병증으로 외상성 관절염 7예, 관절 불안정 5예가 있었다. 결론: 단요월상인대가 손상될 때 요골 월상골와의 전방연에서 발생한 견열 골절은 치료 결과에 영향이 없었다. 그러나 견열 골편이 전위되거나 회전되어 탈구의 정복을 방해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하며, 골편에 부착하는 단요월상인대의 기능을 복원하기 위해 해부학적 정복과 견고한 내고정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