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견뢰도

Search Result 247,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Natural Dyeing with Aqueous Black Bean Seed Coat extract (검정팥 종피 추출물에 의한 천연염색)

  • Cha, Hae-Suk;Bae, Do-Gyu;Jung, Yang-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42-42
    • /
    • 2012
  • 팥에 함유되어있는 색소와 관련된 연구 중에서는, 검정팥의 색소성분을 분리하여 delphinidin-3-glucoside(D-3-G)로 보고한 Sasanuma의 연구와 검정팥 껍질속에 포함된 안토시아닌의 함량을 평가한 Yoshida의 연구 결과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검정팥 종피에서 색소를 추출하여, 적정 염색조건을 설정하였으며, 매염제별 색상변화 및 견뢰도를 측정하는 과정을 통해 염색 특성을 파악하여 새로운 천연염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진단하였을 뿐만 아니라 응용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의 확보에 주안점을 두었다. pH에 따른 염색성에서는 견직물의 경우 pH 4에서 가장 염착량이 많았고, 면직물의 경우에는 주어진 범위내에서는 pH가 높을수록 염착량이 많았다. 염색온도와 시간에 따른 염색성은, 견직물의 경우, 염색온도 $80^{\circ}C$에서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K/S 값이 크게 나타났으며, 면직물의 경우도 견직물과 비슷한 결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염색시간이 경과될수록 K/S 값이 크게 나타났다. 견직물에 대한 매염제 종류별 표면색의 변화에서는 Fe 매염포만 $YR{\rightarrow}Y$ 로 변화되었을 뿐 다른 매염제에서는 매염 후에도 색상 변화는 크지 않았다. 매염처리 전 견직물의 일광 견뢰도는 무매염이 4~6등급, Al 처리포는 4~5등급, Cu와 Sn은 3~4등급으로 나타났고 Fe는 2~3등급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세탁견뢰도에서는 무매염 2등급, 매염제 처리의 경우 2~3등급으로 나타났다. 무매염 면직물의 일광견뢰도는 1~2 등급, Fe 매염은 2~3등급, Cu 2등급 Al과 Sn은 1~2등급으로 매염처리에 의해 전혀 개선되지 않았으며, 세탁견뢰도의 경우 Cu매염이 4등급으로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무매염, Al, Sn과 Fe는 3등급으로 나타났다.

  • PDF

Weight Reduction Behavior and Dyeing Properties of Sea-island Type PET Nanofilament Knitted Fabric (해도형 폴리에스터 초극세사 편성물의 감량 거동 및 염색 특성)

  • Lee, Jung-Jin;Kim, Hyun-Sung;Shin, Eun-Suk;Ok, Chi-Min;Kim, Hyoung-N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27-27
    • /
    • 2012
  • 나노필라멘트는 단면직경이 수백 나노미터에서 수십 나노미터 수준인 초극세 장섬유를 말하며, 해도형 복합방사로 얻어진 섬유를 알칼리 감량을 통해 해성분을 용출하여 도성분에 해당하는 나노필라멘트를 얻는다. 이러한 나노필라멘트사는 극세사와 마찬가지로 단위중량당 표면적이 크고, 작은 굴곡반경 및 낮은 굴곡 반발성으로 인하여 일반 합성섬유에 비하여 고가성 및 새로운 기능성을 부여하는 제품에 응용될 수 있다. 나노필라멘트 편물은 원사섬도, 편물의 조직, 밀도 및 중량 등에 따라 분할율과 용출 특성이 상이하므로 후가공 공정에 있어서 감량공정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나노필라멘트와 같은 세사의 경우 일반사보다 비표면적이 증가하여 동일한 염색조건에서 옅은 색상을 나타낸다. 이로 인해 같은 색상을 위하여 보다 많은 염료를 투입해야 하며, 결과적으로 견뢰도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800nm급 해도형 나노필라멘트 PET 100% 또는 나노필라멘트와 일반 PET사를 복합한 편물을 이용하여 알칼리 감량거동 및 분산염료에 대한 염색성과 견뢰도를 연구하였다. 알칼리 감량이 진행됨에 따라 감량률이 증가하였으며, SEM분석, DSC분석, 양이온염료 염색법 등을 통하여 해성분 용출 및 도성분 분할이 진행되는 정도를 평가할 수 있었다. 나노필라멘트 편성물은 염료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K/S값이 증가하였으나, 일반 극세사 편성물에 비해 낮은 K/S값을 얻었다. 또한 나노필라멘트/일반 PET 복합편물에 있어서 염색온도가 110에서 $130^{\circ}C$로 증가함에 따라 K/S값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고온에서 분산염료가 나노필라멘트로부터 일반 PET사로 이염이 더 많이 발생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세탁견뢰도의 경우 양호하였으나, 일광견뢰도의 경우 1등급으로 매우 낮았다.

  • PDF

반응염료의 현황과 문제점

  • 김공주
    •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 /
    • v.6 no.4
    • /
    • pp.77-91
    • /
    • 1994
  • 1956년 반응염료가 시판된 이래 장족의 발전을 하였으며, 구형의 cellulose용 염색을 추월하여 거의 대부분의 cellulose의 염색에 반응염료, 일변도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많은 반응 염료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세월이 가면서 문제점도 만만치 않다. 장점으로는 색상이 선명하고 견뢰도가 우수하고 응용범위가 넓고 조작이 용이하다는 점이며, 문제점으로 나타난 것은 흡착염색공정에서 다량의 전해질과 알칼리제를 첨가함에도 불구하고 흡착율, 고착율이 낮고 염색후의 세정공정과 많은 물과 energy 및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이다. 또한 최근 더욱 관심을 끈 것은 반응염료의 가수분해 현상으로 인하여 다량의 가수분해된 염료가 폐수화하여 버려짐으써 심각한 공해가 야기할 뿐만 아니라 염색물에 부착하여 견뢰도에도 영향이 많다. 이런 문제를 염료제조업계에서는 해결하지 않으면 안될 시점에 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염료의 구조적인 면, 염색적인 면 그리고 소비자의 취급적인 면에서 검토하여 과거의 영광을 존속하기 위하여 개량형의 염료를 합성하여 고고착률, wash-off성의 양호 및 일광, 염소, 땀, 세탁 등에 견뢰한 염료를 얻고자 반응염료의 현황과 문제점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 PDF

Studies on the Printing of Silk Fabric II. Vinylsulfone Reactive Dye (견직물의 날염에 관한 연구 II. Vinylsulfone계 반응성염료)

  • 탁태문;김순심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 /
    • v.27 no.1
    • /
    • pp.42-46
    • /
    • 1985
  • Silk fabric was printed with the reactive dye (vinylsulfone type)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adsorption and fixation by steaming time, viscosity of dyeing paste and alkali concentration. It was found that the amount of adsorption and fixation against silk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steaming time, and showed the maximum value at 340cp of dyeing paste. The amount of adsorption and fixation was influenced by alkali concentration. Light, washing, and perspiration fastness were very excellent.

  • PDF

Dyeing for High-Visibility on Recycled Polyester Fabrics (재생 PET 소재에 대한 Hi-Vis. 염색가공 기술 적용)

  • Hong, Jin-Pyo;Yoon, Seok-Han;An, Hun-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120-120
    • /
    • 2012
  • 최근 주야간 산업현장의 근로자 안전성을 위한 식인성이 우수한 Hi-vis. 염색이 work-wear에 많이 적용되고 있으며, Hi-vis. 염색에서의 형광색상은 차별화된 패션성을 원하는 소비자에게도 레져용, 아웃도어용, 캐쥬얼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형광염료는 주로 안료나 PET용 분산염료로의 전개가 일반적이며, 예전에는 형광안료 코팅을 통한 필름이나 테이프 등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의류에 직접 염색공정을 적용하는 기법으로 형광분산염료가 많은 용도에 적용된다. 이러한 고가시 산업용 work-wear는 주간에는 선명한 색상을 띄며, 야간에는 빛나는 재귀 반사의 성능을 지니며 대표적인 형광컬러는 Yellow, Red-Orange, Red, Yellow-Orange, Pink, Green, Yellow-Green 등 색상이 있다. 고가시성 안전의류(High Visibility Warning Clothing) 기준의 색도 좌표 및 일광 견뢰도 등 성능을 만족해야 하며, 대표적인 규격은 유럽의 EN-471로 일광, 마찰, 세탁, 땀, 드라이클리닝, 염소 등 견뢰도에 대한 각각의 합격기준이 있으며, 색도 및 형광팩터 등의 기준에 맞는 염색처방이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the Carrier Dyeing for PET Fiber (PET 섬유의 캐리어 염색에 관한 연구)

  • Song, Kyoung-Hun;Lee, Mun-Soo;Lee, Rae-Yohon
    • The Journal of Natural Sciences
    • /
    • v.9 no.1
    • /
    • pp.169-175
    • /
    • 1997
  • In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about dyeability, light-fastness, wash-fastness and tensile strength in PET fiber using the effective carrier solvent such as benzyl alcohol, benzaldehyde and acetophenone. As a results, dyeability in mixed solvent was better than that of single solvent. And dyeability in mixed solvents of benzyl aldehyde and acetophenone was of them. But effective carrier action was resulted in decrease of properties such as light-fastness and tensile strength of PET fiber after dyeing.

  • PDF

땅콩껍질을 이용한 나일론직물의 천연염색

  • Kim, In-Ok;Heo, Man-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08.10a
    • /
    • pp.51-52
    • /
    • 2008
  • 폐기되고 있는 땅콩껍질로부터 재활용이라는 로하스 개념을 적용한 천연염색 자원개발 측면에서 땅콩껍질의 색소 추출을이용하여 나일론직물의 염색성, 염색 견뢰도와 더불어 기능성을 토하고자 하였다. 볶은 땅콩(학명 Arachis hypogaea)의 외피를 분리하여 땅콩껍질 5kg에 증류수 10L을 가하여 $100^{\circ}C$에서 120분간 환류시켜 색소를 추출 여과하였다. 매염제는 시약은 1급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시료는 KS K 0905에 규정된 염색 견뢰도 시험용 정련된 표준 나일론직물 사용 하였으며 염액의 욕비 1:50, 시간에 따른 염색조건, 염색온도, pH, 반복 염색성은 $100^{\circ}C$에서 90분씩 염색하여 건조하는 순서로 6회 반복 염색하였다. 염색온도가 높아질수록 시간이 길어질 수록황색이 점차 진해지며 온도 증가함에 따라 K/S값과 ${\Delta}E$값이 점차 증가함을 보여주고 있다.

  • PDF

Dyeabilites of Lac extract onto the silk and wool fabrics(II) -Effects of mordanting methods and various mordants- (동물성 섬유에 대한 Lac추출물의 염색성(II) -매염방법과 매염제 종류의 효과-)

  • 김호정;박문영;이문철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7 no.9_10
    • /
    • pp.1134-114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urface color change and effects of mordants on the K/S values of silk and wool fabrics dyed with Lac extract, according to the mordanting methods and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concentration and time of the mordanting bath.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K/S values of the silk and wool fabric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mordanting bath were shown a slight decline beyond 40$^{\circ}C$. 2. Surface color of the silk changed from red to reddish purple and that of the wool showed red tone when mordanted with Aluminum postassium sulfate, Copper acetate and Copper (II) sulfate regardless of the mordanting conditions. 3. The light and dry cleaning fastness of silk and wool fabrics dyed with Lac extract according to the mordanting methods were very good.

Change of Physical Properties of Socks by Repeated Washing (반복세탁에 의한 양말의 물성변화에 관한 연구)

  • Song, Kyoung-Hun;Kim, Kyoung-A
    • The Journal of Natural Sciences
    • /
    • v.8 no.2
    • /
    • pp.191-198
    • /
    • 1996
  • We were investigated the change of shrinkage, pilling, tensile strength, color fastness and staining of Cotton, Nylon, Cotton/Nylon(60/40) socks after wearing and washing. From the experiment we found that color fastness of the color socks decreased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of wearing and washing. Our results showed that color fastness in the case of Cotton is best among them. Shrinkage was significant in Nylon/Cotton and Cotton socks. In the experiment of male and female socks, male showed a greater evidence of staining, shrinkage and pilling than female.

  • PDF

Dyeability of Saxon Blue Derived from Polygonum (Tinctorium Polygonum Tinctorium을 이용한 Saxon Blue 염색)

  • Kang, Ji-Yun;Ryu, Hyo-S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10
    • /
    • pp.1763-1769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쪽의 발효염색이 잿물과 같이 강 알칼리 매체 하에서 사용해야 하고 또한 자연 발효의 경우 온도조절이 제한되어 있어 단백질 섬유 특히 양모에는 적합하지가 않은 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 주로 현재 재배되고 있는 polygonum tinctorium을 사용하여 Saxon blue 법으로 단백질 섬유를 염색하여 염색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Saxon blue로 염색할 때의 등온흡착곡선은 Langmiur형임을 보였으며 색상은 주로 B 영역에서 나타났다. Saxon Blue로 염색한 견 직물과 양모 직물 모두 우수한 항균성을 나타내었으며 드라이 크리닝과 마찰에 대해서는 좋은 견뢰도를 보여 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