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견관절 환자

검색결과 389건 처리시간 0.027초

45세 이상의 제 3형 견봉쇄골 관절 탈구 환자의 수술적 치료 - 일차적 쇄골 외측단 절제 술식과 고식적인 견봉쇄골 관절 정복 술식의 비교 - (The Surgical Treatment in Type III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Patients Over 45 Years - Primary Clavicular Lateral End Resection Method vs. Conventional Acromioclavicular Joint Reduction Method -)

  • 문은선;배봉현;최진;김명선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8권2호
    • /
    • pp.88-96
    • /
    • 2005
  • Purpose: To compare and analyze the outcome of primary clavicular lateral end resection method and conventional acromioclavicular (AC) joint reduction method in type III AC dislocation patients over 45 year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on selected 24 cases of type III AC dislocation patients, over 45 years of age, operated at our hospital from 1998 to 2002. Group I consist of 12 patients who underwent primary clavicular lateral end resection methods (average age: 54.3 years$(45{\sim}72)$). Group II consist of 7 patients using Bosworth methods and 5 patients using Phemister methods (average age: 54.4 years$(45{\sim}71)$). Clinical outcome was evaluated by Weaver and Dunn method. Radiological results were compared by measuring coracoclavicular distance between normal and injured side. Results: As clinical outcome, good was 10 cases(83%); fair 2(17%) in Group I, and good 6(50%); fair 3(25%); poor 3(25%) in Group II. In contrast, the difference of coracoclavicular dista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wo groups before or after surgery, and last follow up. At the last follow up, there was no special correlation between the difference of coracoclavicular distance and clinical outcome. Conclusion: We considered that primary clavicular lateral end resection may be effective for prevention of arthrosis in AC joint in type III AC dislocation patients over 45 years.

Gliding-Mobilization이 견관절유착성관절낭염 환자의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n the range of motion of joint with Gliding-Mobilization of the patients of adhesive capsulitis of the shoulder)

  • 정병옥;마상렬;김근조;안병헌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7-34
    • /
    • 2006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increasing range of motion of joint to the patients of adhesive capsulitis of the shoulder applied the gliding-mobilization. Subjects and methods : The subjects are patients of adhesive capsulitis of the shoulder who have limited range of motion due to capsular pattern on the shoulder. The subjects are volunteer patients without a history of neuromuscular problems and randomly distributed into two groups. 15 experimental subjects(4 male, 11 female) received therapy with gliding-mobilization applied on limited shoulder joint and a second group with 15 control subjects(6 male 9 female) was treated by physiological passive range of motion therap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aired t-test to determine striking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course of treatment. Result : 1) In the group treated by gliding-mobilization the range of motion in shoulder flexion was increased in accordance to the course of treatment, and paired t-test showed striking differences(p<.05). 2) The range of motion in shoulder extension was increased in accordance to the course of treatment, and paired t-test showed striking differences(p<0.05). 3) The range of motion in shoulder abduction was increased with serise of treatment, and paired t-test showed striking differences(p<0.05). Conclusion : The gliding-mobilization increases the range of motion of the patient of adhesive capsulitis of the shoulder.

  • PDF

심한 치아 마모 및 파절 환자의 수직고경거상을 동반한 전악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n the patient with severe tooth wear and tooth fracture using reestabilishment of occlusal vertical dimension)

  • 이호선;주세진;진수윤;강동완;이경제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3호
    • /
    • pp.224-231
    • /
    • 2016
  • 과도한 치아의 마모는 치아의 병적 변화, 교합 불균형, 기능 및 심미적 문제를 일으키며 악관절과 근육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수직고경의 감소를 야기할 수도 있다. 수직고경의 감소가 발생한 경우, 전악보철수복을 통해 수직고경을 회복시켜 주기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본 증례는 59세 남성으로 전반적인 치아의 마모와 파절로 인한 수직고경의 감소 및 비심미성을 해결하기 위해 전악 지르코니아 보철 수복을 시행하였다. 생리적 안정위, 견치간 거리 등을 분석하여 수직고경을 3 mm 거상하기로 하였고 전악 왁스업 후 임시치관을 제작하여 6개월동안 사용한 뒤 이를 이용하여 지르코니아 최종 보철을 완성하였다. 1년 6개월 경과 관찰하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동결견 환자에서 관절강내 스테로이드 주사 후 관절가동범위의 변화 (Changes in Range of Motion after Intra-Articular Corticosteroid Injection in Frozen Shoulder: A Retrospective 3-Month Follow-Up Study)

  • 조형준;윤승현;김민철;김대환
    • Clinical Pain
    • /
    • 제18권2호
    • /
    • pp.76-81
    • /
    • 2019
  • Objective: To examine (1) the degree of reduction of passive range of motion (PROM) on the affected side compared to that on the unaffected side and (2) the degree of increase in PROM following intra-articular corticosteroid injection (IACI) in patients with frozen shoulder. Method: The medical records of 120 patients with frozen shoulder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PROM of the unaffected and affected shoulder (flexion, extension, abduction, internal rotation, external rotation) was compared, and changes in PROM of the affected shoulder after a single IACI (triamcinolone 20 mg) were evaluated after 12 weeks. Results: At the time of diagnosis, PROM of the affected shoulder was most limited in external rotation, followed by internal rotation, abduction, extension, and flexion, compared to that of the unaffected shoulder. Compared to before IACI, PROM of external rotation demonstrated the greatest increase compared to all the other movements after IACI. Conclusion: Limitation in PROM of the frozen shoulder at the time of diagnosis was greatest for external rotation. Moreover, external rotation experienced the greatest improvement after IACI. Our findings should help to further clarify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frozen shoulder, aid in its diagnosis, and allow the prediction of the effects of IACI.

연령에 따른 턱관절장애의 증상과 징후의 유병률 (Prevalence of Signs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with aging)

  • 장주연;강수경;어규식;홍정표;전양현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3호
    • /
    • pp.183-188
    • /
    • 2012
  • 노인층에서의 턱관절장애의 증상과 징후에 관한 이전 연구에서 일관된 결론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에 따른 턱관절의 증상과 징후의 유병률을 분석하는 것이다. 젊은층을 대조군으로 평가하였다. 40명의 노인층 환자 (28명 여자, 12명 남자, 평균연령: $65.2{\pm}2.5$)와 40명의 젊은층 환자 (30명 여자, 10명 남자, 평균연령: $23.3{\pm}2.6$)로서 턱관절장애(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로 진단받은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 대상자는 다음과 같은 평가기준을 적용하였다. 주관적 평가인 주소에서 구강안면 통증의 정도(VAS), 객관적인 평가에서 하악 개구 시 운동량, TMJ 관절잡음 (관절음, 염발음), TMJ 촉진 시 통증, 저작과 관련된 근육(교근, 측두근)과 목 근육, 견부근의 촉진 시 통증에 관한 것을 포함한다. 두 그룹 간 차이점 분석은 t 검정과 카이제곱 검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SPSS v. 17) P 값이 0.05 이하인 것을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보았다. 주관적인 평가에서 주소에 나타난 구강안면 통증 정도에서는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객관적인 평가에서 노인층 환자에서 개구 시 염발음이 25%에서 관찰되었고 저작근 촉진 시 통증은 82.5%에서 관찰되었으며 측두근 촉진시에 60%에서 통증을 보였다. 반대로, 젊은층에서 62.5%에서 관절잡음이 관찰되었고 개구 시 좀 더 큰 운동량을 보였다. (p=0.043) 관절잡음과 촉진 시 근육 통증, 하악 운동량에서 두 그룹 간 차이는 현저했다. 노인층에서 TMD에 대한 개구 시염발음, 근육 촉진 시 통증이 자주 관찰되는 반면 젊은 층에서는 하악 운동 시 관절잡음, 운동 시 개구량의 증가가 보다 많이 관찰되었다.

고령의 상완골 원위부 관절내 분쇄골절의 수술적 치료: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과 일차적 주관절 전치환술의 임상적 결과 (Clinical Outcome after Surgical Treatment of Intra-articular Comminuted Fracture of the Distal Humerus in the Elderly: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Versus Total Elbow Arthroplasty)

  • 김두섭;윤여승;이창호;우주형;나중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5권2호
    • /
    • pp.130-137
    • /
    • 2012
  • 목적: 골다공증이 있는 노인환자에서 상완골 원위부 관절부위 골절로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과 주관절 전치환술 시행 후 기능적 결과에 대해서 평가 보고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1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상완골 원위부 관절내 골절을 주소로 내원한 65세 이상의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8명은 후방 도달법을 이용하여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을 시행하고 (Fig. 1), 6명은 주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다 (Fig. 2). 평균 추시 기간은 16.3 개월 이였으며 골절형태는 AO 분류로 8명이 C2, 16명이 C3 형태의 골절이였다. 추시 시 모든 환자들은 방사선촬영 및 신체검사를 시행하였고, Mayo 주관절 수행점수, 및 DASH 점수를 이용하여 임상적 결과를 측정하였다. 결과: Group I 18예 모두 골유합 되었으며 골절부터 골유합까지 평균 기간은 14주였다. 합병증으로 2예에서 주두골 절골부위에 불유합이 관찰되었으며 척골신경증상을 보였던 2예 중 1예는 전방이전술에도 불구하고 개선되지 않았다. Mayo 주관절 수행점수는 평균 87.0점이였으며, DASH 점수는 평균 32.4점이였다. 마지막 추시 시에 시행한 이학적 검사에서 굴곡은 평균 121.0도 (95~145도), 굴곡구축은 평균 12도 (0~35)이였다. Group II 6예 모두 추시 기간내 합병증은 없었으며, Mayo 주관절 수행점수는 평균 89.1점 이였으며, DASH 점수는 평균 44.3점이었다. 마지막 추시 시에 시행한 이학적 검사에서 굴곡은 평균 125.1도 (100~145도), 굴곡 구축은 평균 12.6도 (0~30)이였다. 결론: 골다공증을 동반한 고령의 상완골 원위부 관절내 골절 환자에서 적절한 환자 선택시 내고정술 뿐만 아니라 전치환술에서도 단기 추시 시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서 방사선학적 소견과 임상 소견 간의 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Features and Radiographic Grades in Massive Rotator Cuff Tear Patients)

  • 문은선;김명선;최민선;김형원;임근영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2호
    • /
    • pp.223-229
    • /
    • 2010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서 방사선학적 소견과 임상 소견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로 진단된 45예 (35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Hamada의 분류법을 사용하여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 환자의 방사선학적 소견을 분석하고, 임상적 평가는 UCLA 점수를 이용하였으며, 서로 간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서 관절염 등급과 임상 소견 사이에 유의한 연관성은 확인되지 않았다($r_s$=0.220, p=0.151). 우세수 측 침범이 더 높은 수술적 치료의 비율과 더 낮은 UCLA 점수와 관련이 있었다. 결론: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 환자에서 관절염의 방사선학적 소견이 일상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적 소견과 항상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닌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 환자의 치료 방법의 결정에 있어서는 신중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견봉 골의 수술적 치료 (Operative Treatment of Symptomatic Os Acromiale)

  • 지종훈;김원유;박상은;김영율;문창윤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2호
    • /
    • pp.123-130
    • /
    • 2008
  • 견관절에서 드물게 통증을 유발하는 견봉 골의 치료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6개월 정도의 보존적 치료에도 호전이 없을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게 된다. 이 중 수술적 치료로는 관절경하 견봉 성형술이나 개방적 견봉 성형술, 골편 제거술 또는 고정술 등 다양한 방법들이 있으나 최근 긴장대 강선 고정법 및 골 이식술을 시행하여 골유합을 얻는 방법이 선호되고 있다. 저자들은 2001년 4월부터 2006년 4월까지 본원에서 경험한 8예를 대상으로 최종 추시 기간이 2년 이상 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평균 나이는 45세였으며 남녀 비는 2: 6 이었다. 액와면 단순 방사선 검사상 8예 모두에서 mesoacromion의 소견을 보였다. 증상발현에서 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10개월이었으며, 개방적 정복 및 내고정 그리고 골 이식술을 시행하였다. 술 전ASES 및UCLA 점수는 $47.3\pm24.4$$16.6\pm5.8$점에서 최종 추시 상 $88.8\pm7.3$$31.5\pm1.9$점으로 향상되었다. UCLA 점수상, 우수 1예, 양호 7예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견봉 골의 치료로써, 골 이식술과 개방적 정복술 및 K-강선을 이용한 긴장대강선 고정법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3.5 mm T형 잠김 금속판을 이용한 원위 쇄골 골절의 치료 결과 (3.5 mm T-shaped LCP (Locking Compression Plate) Fixation for Unstable Distal Clavicular Fractures)

  • 이철우;김희천;노재영;박영수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1호
    • /
    • pp.41-45
    • /
    • 2008
  • 목적: 쇄골 원위부 불안정성 골절에 대하여 3.5 mm T형 잠김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을 시행한 후 임상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2월부터 2006년6월까지 3.5 mm T형 잠김 금속판을 이용하여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Neer 2형 원위 쇄골 골절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0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남자가 6예 여자가 4예였으며, 평균 연령은 45.7세($32{\sim}62$)였다. 동반 손상은 다발성 골절이 1예가 있었으며, 비수술적 치료의 실패로 불유합이 발생하여 자가골 이식술을 동반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예가 2예 있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14.8개월($12{\sim}22$)이었으며, 골유합은 단순 방사선검사 소견으로 판정하였고, 임상적 결과는 UCLA점수와 관절 운동 범위 등으로 평가 하였다. 결과: 방사선학적 골유합은 평균 9주($6{\sim}12$주)에 얻을 수 있었으며, 최종 추시 시 UCLA 점수는 평균 33.4점($30{\sim}35$)으로 전예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얻었고, 관절 운동 범위도 전예에서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합병증으로 1예에서 나사못의 이완소견이 관찰 되었고, 1예에서 견봉-쇄골 관절의 경도의 아탈구가 발생하였으나,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결론: 불안정성 원위 쇄골 골절에 사용한 3.5 mm T형 잠김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은 견봉 쇄골 관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견고한 고정을 얻을 수 있었고, 분쇄의 정도가 아주 심하지 않은 원위쇄골 골절의 치료 시 고려 할 수 있는 유용한 술기로 사료된다.

모형과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하악 전치 발치 치료의 안정성 평가 - 미국교정학회에서 제시한 방법 (Postretention stability after mandibular incisor extractions assessed by cast and radiograph - The American Board of Orthodontics cast and radiographic evaluation)

  • 이진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3호
    • /
    • pp.223-230
    • /
    • 2014
  • 목적: 하악 절치 발치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치료로 인한 향상과 유지기간 후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하악 절치를 발치한 환자 총 20명을 대상으로 치료 전, 치료 직후, 2년의 유지기간 후의 모형 및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분석하였다. Irregularity index, overjet, overbite, 치아 크기와 악궁 길이의 차이, 견치간 폭경, 제1 대구치간 폭경 및 미국교정학회에서 제시한 방법(ABO-CRE)을 평가하였다. 통계분석은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치료 전후 irregularity index가 유의하게 감소되었고(P = 0.000), 치아 크기와 악궁 길이의 차이는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P = 0.028). 유지기간 동안에 irregularity index는 유의하게 악화 되었다(P = 0.001). ABO-CRE 전체값의 변화는 치료 전후에 유의한 감소를 보이고(P = 0.000), 유지 전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3). 결론: 모형과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치료의 안정성 평가 결과, 하악 절치 발치 치료는 2년간의 유지기간 동안 치료 결과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