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견갑골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39초

견갑골 두께의 전산화 단층 촬영을 이용한 기하학적 모델 (Geometric Assessment of Scapular Thickness by Computed Tomography)

  • 유정현;정수태;박상준;장준희;백두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5권2호
    • /
    • pp.73-78
    • /
    • 2012
  • 목적: 견갑골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 해부학적 및 형태학적인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견갑골의 정확한 두께를 측정하고, 기하학적인 형태를 재구성함으로써 견갑골의 정확한 해부학적 및 형태학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총 51개의 해부용 시체에서 적출한 102개의 견갑골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일반적인 견갑골의 형태를 얻기 위해 8개의 평균적인 길이와 2개의 각을 측정하였다. 또한 견갑골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해 각각의 견갑골에서 동일한 위치의 시상면을 얻고, 각각의 시상면에서 견갑골의 두께를 전산화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견갑골의 두께에 대한 실측치를 토대로 평균값을 계산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견갑골 두께의 차이를 Student t-test 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견갑골 관절와의 평균 두께는 22.4 mm, 외측연의 평균 두께는 13.83 mm, 내측연의 평균 두께는 4.44 mm, 견갑골 체부의 중간 1/3 위치의 평균 두께는 2.06 mm 로 측정되었으며, 남성의 견갑골이 여성의 견갑골 보다 더 두껍게 측정되었다. 측정된 실측치를 참고로 하여 견갑골들의 두께에 대한 3차원적인 기하학적인 모델을 재구성하였다. 결론: 측정 수치의 분석 결과 견갑골의 두께가 가장 두꺼운 부분은 관절와 부위 및 외측연 부위이며, 반대로 두께가 가장 얇은 부분은 견갑골 체부의 중간 1/3 지점이 견갑골에서 가장 얇은 부위로 나타났다.

견갑골 운동장애 (Scapular Dyskinesis)

  • 박진영;이상훈;오정환;김홍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271-277
    • /
    • 2009
  • 목적: 그동안 견관절과 견봉하 관절에 대한 연구는 전세계적으로 매우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고 많은 의사들의 관심분야로 각광받아왔다. 그러나 그에 비해서 견갑골과 그 주위근육들은 상대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어오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저자들은 견갑골의 운동장애에 대하여 기술해 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대상 및 방법: 기본적으로 견관절의 움직임은 언제나 견갑골의 운동을 동반하게 되어있고, 견관절의 운동에 이상이 발생하면 이는 직접적으로 견관절 움직임에도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결과 및 결론: 특히 운동선수에 있어서는 견갑골의 움직임과 견고한 고정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게 된다. 이에 저자들은 견갑골의 움직임과 중요성에 대해서 조명해보고자 한다.

병원 내원한 환자 견갑골(scapula) 진단을 위한 연구 (The shoulder diagnosis Scapula study of patients who visited the hospital)

  • 안병주;이준행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3-20
    • /
    • 2010
  • 견갑골의 골절 유 무와 외상에 의한 탈구를 진단하는데 있어 견갑골의 정측면상의 영상을 얻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견갑골 측방향 촬영시 한국인 성인을 대상으로 견갑골의 정측면상을 얻는데 가장 적합한 회전 각도를 알아보는데 있다. 견갑골의 촬영을 위해 내원한 환자 20명(여 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의 평균연령은 35.4세(15세부터 66세)였다. 수동각도기의 거상각도를 $30^{\circ}$, $40^{\circ}$, $45^{\circ}$로 하여 전 후방향 촬영하였다. 영상의 평가는 전문가 5명이 내측연과 외측연의 완전겹침이 있는 영상은 4점, 내측연과 외측연이 불완전 겹침이 있는 영상은 3점, 견갑골체 내측연과 외측연이 겹침이 없는 영상은 2점, 내측연과 외측연이 사방향으로 나타난 영상은 1점으로 4단계로 나누어 blind test를 하여 평가하였다. 평가한 각도별 평균점수는 $30^{\circ}$$1.53{\pm}0.39$점, $40^{\circ}$$3.83{\pm}0.15$점, $45^{\circ}$$2.17{\pm}0.43$ 점으로 나타났다. 도한 가슴둘레가 100cm이상인 군과 100cm이하인 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p<0. 05) 없었고, 남자와 여자 간에도 역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견갑골 정측면상을 얻는데 적합한 환자의 회전각도에 관한 연구가 없었으나, 본 연구를 통해 검사측을 $40^{\circ}$ 회전하며 검사측 상완골을 반대쪽으로 들며 촬영하는 것이 한국인 성인에서 견갑골의 정측면상을 얻는데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견갑골의 측방향 촬영을 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리 혈관화 견갑골피판을 이용한 하악골 복합결손 재건 (FREE VASCULARIZED SCAPULAR FLAP FOR MANDIBULAR RECONSTRUCTION)

  • 박광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3호
    • /
    • pp.339-347
    • /
    • 1996
  • 하악골 재건을 위한 여러 골이식 방법중 유리혈관화 견갑골은 다른 방법에 비해 여러 가지장점을 갖고 있다. 저자는 독일 Wuerzburg 대학에서 연수중 다수의 하악골 복합결손환자를혈관화 견갑골판을 이용 재건하여 우수한 결과를 얻는 것을 경험하였다. 견갑골 피판은 혈관분포를 보존하면서 여러 군데의 쐐기형 부분절골술에 의해 쉽게 하악골 외형에 따라 형성할 수 있었으며, 대부분의 증례에서 혈관경의 길이는 충분하였고, 수혜부의 조건에 따라 견갑골판 단독으로 또는 피부판을 포함하여 채취되었으며, 공여부의 유병율은 거의 없이 우수한 심미적 기능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유리골관은 다양한 피판의 유용성과 하악골의 3차원적인 재건 그리고 적은 유병율을 가지고 있어, 연조직을 포함한 하악골 복합결손부 재건에 매우 적합하리라 사료된다.

  • PDF

견갑골 측방향 촬영에서 견갑골 정측면상을 얻기 위한 환자의 회전각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patient rotation angle to get the scapular true lateral image in scapular lateral projection)

  • 박기봉;강인희;최남길;장영일;전주섭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8권3호
    • /
    • pp.203-209
    • /
    • 2005
  • 목 적 : 견갑골의 골절 유 무와 외상에 의한 탈구를 진단하는데 있어 견갑골의 정측면상의 영상을 얻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견갑골 측방향 촬영시 한국인 성인을 대상으로 견갑골의 정측면상을 얻는데 가장 적합한 회전 각도를 알아보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 견갑골의 촬영을 위해 내원한 환자 30명(여 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의 평균연령은 35.4세(15세부터 66세)였다. 수동각도기의 거상각도를 $32^{\circ}$, $37^{\circ}$, $42^{\circ}$로 하여 전 후방향 촬영하였다. 영상의 평가는 전문가 5명이 내측연과 외측연의 완전겹침이 있는 영상은 4점, 내측연과 외측연이 불완전 겹침이 있는 영상은 3점, 견갑골체 내측연과 외측연이 겹침이 없는 영상은 2점, 내측연과 외측연이 사방향으로 나타난 영상은 1점으로 4단계로 나누어 blind test를 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 : 평가한 각도별 평균점수는 $32^{\circ}$$1.53{\pm}0.39$점, $37^{\circ}$$3.83{\pm}0.15$점, $42^{\circ}$$2.17{\pm}0.43$ 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슴둘레가 100 cm이상인 군과 100 cm이하인 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p<0.05) 없었고, 남자와 여자 간에도 역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고찰 : 지금까지 견갑골 정측면상을 얻는데 적합한 환자의 회전각도에 관한 연구가 없었으나, 본 연구를 통해 검사측을 $37^{\circ}$회전하며 검사측 상완골을 반대쪽으로 들며 촬영하는 것이 한국인 성인에서 견갑골의 정측면상을 얻는데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견갑골의 측방향 촬영을 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견갑골 내측부 하방에 발생한 자루를 동반한 해면 혈관종 -증례 보고- (A Pedunculated Cavernous Hemangioma located beneath the Inferomedial Scapular Area -A Case Report-)

  • 박태수;김성재;류정아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93-96
    • /
    • 2011
  • 저자들은 견갑골의 하내측연과 승모근의 외측연 사이에서 발생한 혈관종으로, 견갑골 밑으로 자라난 부위가 음향 그림자(acoustic shadowing)로 인해 초음파 검사상 확인할 수 없었으나 수술 시 견갑골 밑으로 연결된 긴 자루(peduncle)를 포함한 혈관종이 발견되어 수술적으로 완전 절제후 초음파 검사로 추시하여 관찰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견갑골 관절와의 골내 결절종: 증례 보고 (Intraosseous Ganglion of the Scapular Glenoid: A Case Report)

  • 신규호;조용진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7-40
    • /
    • 2012
  • 골내 결절종은 양성 낭종으로서 주로 관절 근처의 연골하골에 위치하며 점액성으로 변화된 섬유성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골내 결절종은 다양한 골격 부위에서 보고되고 있으며 경골 및 대퇴부의 원위부 등에서는 비교적 흔하게 발견되지만, 견갑골의 관절와에 위치한 골내 결절종 증례는 매우 드물며, 문헌 조사상 국외에서 14개 증례만 찾아볼 수 있다. 이에 본 교실에서는 견갑골의 관절와 골내 결절종에 대한 2예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견갑골 체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the Fracture of the Scapular Body)

  • 류인혁;서보건;정재익;김경철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2호
    • /
    • pp.150-157
    • /
    • 2008
  • 목적: 견갑골 체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견갑골 외측 경계가 100% 전위된 경우, 관절와가 $25^{\circ}$ 각변형 되거나 1 cm 이상 내측 전위된 경우, 견갑골 체부와 쇄골 골절이 동반된 경우를 수술적 치료의 대상으로 삼았다. 남자가 5명 여자가 2명, 평균 나이는 49(40~58)세, 평균 추시는 11(6~24)개월 이였다. 두 명은 다발성 늑골 골절과 척추 골절을 동반하였다. 기능적 평가를 위해 UCLA score 와 Korean shoulder score, 술 후 주관적인 만족도를 이용하였다. 결과: UCLA score는 평균29(17~33)점 이었고 평균 Korean shoulder score는 86(63~94)점이었다. 환자의 주관적인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7.7(4~9)이었다. 합병증으로 정복된 골절의 소실 없는 나사못 이완이 1예에서 관찰되었으며 관절와로 돌출된 나사못으로 1예에서는 교환하여야 하였다. 결론: 심하게 전위된 견갑골 체부골절에서는 견관절 및 견갑흉곽관절의 생역학적 이상으로 인한 견관절의 운동 장애를 예방하기 위해 수술적 치료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점박이송사리 Rivulus ocellatus marmoratus (진구아강 : 점박이송사리과)의 부속지골격 발생에 관하여 (Development of Appendicular Skeleton in Rivulus ocellatus marmoratus (teleostomic: Aplocheilidae))

  • 이승휘;복완근박은호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9-80
    • /
    • 1991
  • 점박이송사리에 관한 해부학적 자료축적의 일환으로 부속지골격의 형댈 발생 및 골화 진전양상을 조사하였다. 각 부속지의 구성골은 전피성골이 연골성골보다 먼저 골화되었다. 부속지의 기조는 가슴지느러미, 구리지느러미, 등 및 됫지느러미, 그리고 배지느러미의 순으로 골화되었다. 골화 진전에 따라 초기 자어시 유함되어 있던 수직지느러미의 기골은 방사기골과 중담기골로, 가슴지느러미의 오초-견갑골은 오훼골과 견갑골로 분리, 분화되었다. 그러나 골화진전에 따른 구성 골간의 유합은 나타나지 않았다. 5가지 부속지의 골화 완성은 가슴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 등지느러미, 됫지느러미 그리고 배지느러미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