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격자분석

Search Result 1,72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Comparison of Topographical Parameter for DTED and Grid DEM from 1:50,000 Digital Map (DTED와 1:50,000 수치지형도에 의한 격자 DEM의 지형 매개변수 비교)

  • Kim, Yeon-Jun;Shin, Ke-J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5 no.3
    • /
    • pp.19-32
    • /
    • 2002
  • Topographic information is indispensable in the applications that require elevational data. These applications are exemplified by watershed partition, extraction of drainage networks, viewshed analysis, derivation of geomorphologic features, quantification of landslide-terrain, and identification of topographic settings susceptible to landsliding. Therefore, we study the accuracy of data on topographic parameters derived from digital elevation models(DEMs). This research wished to analyze the effect that data source and grid size get in topography parameter using gridded DEM. An analysis of topography parameter extract and compared drainage basin, watershed slope, stream network using DEM is constructed by digital map and DTED DEM. Especially, when extract stream network from gridded DEM, received much effects according to threshold value of flowaccumulation regardless of DEM grid size. Therefore, this study applied equal threshold value of flowaccumulation for two data sources, and compare and analyzed stream network.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Changes on Mixed Layer Depth with Climate Variability : SCHISM model (기후변동성을 고려한 연안해역의 혼합층 두께 변화양상 검토: SCHISM 적용)

  • Yoo, Hyung Ju;Lee, Joon-Soo;Kim, Dong Hyun;Lee, Seung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73-273
    • /
    • 2022
  • 혼합층(Mixed layer)은 온도가 일정한 수심층으로, 해수표면에 작용하는 바람의 영향으로 인하여 해수가 위아래로 섞여 형성된다. 이러한 혼합층은 영양염의 순환과 산소의 공급 등과 함께 일차생산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으며 혼합층 두께의 변동은 양식 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근에는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및 해수온 상승 등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해양생태계의 변화를 초래하여 수산업의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강원연구원, 2017). 이에 국립수산과학원, 기상청, 국립해양조사원 등 유관기관에서는 정선해양 수온 관측 및 해수순환모델을 이용하여 혼합층의 분석을 수행하고 있으나 격자 구축 및 초기·경계장 설정의 한계가 존재하여 정밀하고 정확한 혼합층 분석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정형격자를 사용하여 격자 구축에 제약이 없는 SCHISM (Semi-implicit Cross-scale Hydroscience Integrated System Model)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연안해역의 계절변화 및 기후변동성에 따른 혼합층 두께의 변화를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는 서해·동해·남해를 포함한 우리나라 전체 연안 해역(위도: 32°N ~ 39°N, 경도: 124°E ~ 132°E)으로 선정하였으며, 격자크기 100 ~ 3,000 m인 삼각격자로 격자를 구축하였다. 혼합층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직격자 층은 50층으로 SZ(Sigma Z coordinate system)좌표계를 사용하였다. 초기·경계장은 FES(Finite Element Solution)2014, HYCOM(Hybrid Coordinate Ocean Model) 및 대기모델 결과를 이용하여 설정하였다. 수치모형 검증을 위하여 수온관측소에서 수심별 측정한 수온 값과 SCHISM 결과 값을 비교하였고, 상대오차가 약 10% 이내로 나타나 모형의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해수면 상승 및 해수온 상승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계절별 연안해역의 혼합층 두께의 변화 양상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향후에는 보다 정밀한 대기모델과의 혼합모형 구축 및 다양한 수심 별 관측자료를 활용한다면 실무에서 적용 가능한 혼합층 분석 및 수산업 피해 발생 지역에 대한 피해저감 대책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Flood risk assessment for local government units in Gyeonggi-do using the number of buildings grid data (건축물수 격자자료를 활용한 경기도 지자체별 홍수위험도 평가)

  • Wang, Won-joon;Seo, Jae Seung;Eom, Junghyun;Kim, Sam Eu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71-71
    • /
    • 2021
  •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자체 단위 위험도 평가 기법들은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으로부터 유발되는 여러 위험성들을 함께 고려하여 평가에 반영하고 있다. 또한, 지자체 내에서 홍수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대상만을 선별하여 분석한 것이 아닌 지자체별 단순 통계값으로 평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홍수위험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ndicator Based Approach(IBA)에서 제시하는 평가 항목인 Hazard, Exposure, Vulnerability, Capacity 중 Exposure에 해당하는 건축물수를 대상으로 홍수위험지도와 중첩되는 건축물들을 선별하여 홍수위험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지자체별 건축물수 산정은 2018년 11월 기준 경기도 31개 시군별 도로명주소 전자지도(건물)와 500m × 500m 건축물수 격자자료를 사용하였다. 건축물수 격자자료는 도로명주소 전자지도의 건물 폴리곤 자료 대비 분석이 간편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비교 분석을 통해 공간분석자료의 유형에 따라 발생하는 통계값의 차이는 격자자료에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보완하였다. 보정된 경기도 지자체별 건축물수 격자자료로 세부지표 지수를 산정한 결과 단순히 자지체별 건축물수를 사용했을 때에는 화성시, 용인시, 평택시 순으로 지수가 크게 산정되었다, 하지만 홍수위험지도와 중첩된 건축물수를 사용했을 때에는 고양시, 광명시, 김포시 순으로 지수가 크게 산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건축물수 격자자료와 홍수위험지도를 사용하여 위험도 평가를 수행했을 때 기존 방법론 대비 합리적인 평가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f GMR Phenomenon by Asymmetric Multi-layered Dielectric Gratings (비대칭 다층 유전체 격자구조에 의한 GMR 현상의 분석)

  • Ho, Kwang-Chu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7 no.3
    • /
    • pp.209-214
    • /
    • 2017
  • A plane-wave incident upon asymmetric multi-layered dielectric grating as well as symmetric grating structure generates space harmonics. Selected space harmonics among those harmonics can undergo strong resonance scattering variations known as GMR(guided-mode resonance). In this paper, to clarify these effects, the field propagation and dispersion curve inside the grating region are analyzed by using a rigorous equivalent transmission-line theory(RETT) based on eigenvalue problem. The results show that, at the peak of a scattering resonance, the reflected mode is almost identical to a leaky wave that can be supported by the grating structure. Thus, it confirms to be occurred GMR effect associated with the free-resonant character of leaky waves at asymmetric multi-layered dielectric gratings. Quantitative simulation results illustrating the behavior of typical gratings are given, and the special case of normal incidence is discussed for TE and TM modes.

NIST PQC Round 3 격자 기반 암호의 부채널 대응 기법 동향 분석

  • Song, JinGyo;Kim, YoungBeom;Kwak, Yujin;Seo, Seog Chung
    • Review of KIISC
    • /
    • v.31 no.1
    • /
    • pp.41-49
    • /
    • 2021
  • NIST(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양자 내성 암호 표준화 사업이 3차 라운드에 접어들면서, 3라운드 후보자에 대한 실제 구현 결과 및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3라운드 후보자 중 대부분(5/7)은 격자 기반 암호이며, 격자 기반 암호는 다른 기반의 양자 내성 암호보다 효율적인 연산 처리로 인해 제약적인 리소스를 가진 임베디드 환경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특히 임베디드 환경에서는 암호 알고리즘이 동작 시 발생하는 추가적인 정보(전력, 전자파, 시간차, 오류주입 등)를 이용한 부채널 공격에 취약하다. 실제 다수의 연구가 양자 내성 암호의 부채널 공격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여전히 부채널 공격은 양자 내성 암호를 표준화하기 위해 상당한 장애물이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구현 시 부채널 대응 기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NIST PQC 3라운드 격자 기반 암호의 부채널 대응 방안에 대한 최신 동향을 분석한다, 또한 향후, NIST PQC 3라운드 격자 기반 암호의 연구 전망을 논의한다.

Numerical Simulation of Groundwater Discharge Into a Tunnel (터널 지하수 유출량 산정을 위한 수치모델)

  • Jeong, Jae-Hyeon;Koo, Min-Ho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5 no.3
    • /
    • pp.369-376
    • /
    • 2015
  • Numerical models simulating groundwater flow are often used to estimate groundwater discharge into a tunnel. In designing numerical models, the grid size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to ensure that groundwater discharge is accurately predicted. However, several recent studies have employed various grid sizes without providing an adequate explanation for their choice. This paper suggests the optimal grid size based on a comparison of numerical models with analytical solutions. Discrepancies between numerical and analytical solutions result from the effect of model boundaries as well as the grid size. By nullifying boundary effects, the errors solely associated with the grid size could be analyzed. The optimal grid size yielding accurate numerical solutions was thus derived. The suggested relationship between tunnel radius and optimal grid size is analogou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quivalent well block radius and grid size.

Sensitivity analysis of grid size for bubble flow field analysis using image analysis methods (영상분석기법 기반 기포유동장 해석을 위한 격자의 민감도 분석)

  • Kim, Sung Jung;Jang, Chang-La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7 no.8
    • /
    • pp.549-559
    • /
    • 2024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using image analysis methods to examine the flow characteristics of air bubbles discharged underwater. A bubble screen was created using multiple nozzles in a laboratory flume filled with stagnant water.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bubbles were analyzed, and the suitability of the analysis method was evaluated. Several parameters, such as projection area ratio and depth ratio, were defined to conduct laboratory experiments and analyze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bubble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assess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variables. Specifical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ubble's projection area and its rising speed across eight water depth ratios was examin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as the depth ratio increased, the bubble size exhibited a linear increase with a strong correlation as it rose to the water surface due to pressure effects. Regarding the sensitivity of different grid sizes in the ten analysis grids when applying image analysis methods, it was observed that the sensitivity to grid size based on the projection area ratio (0.09~0.96) was not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mage analysis techniques can be effectively utilized to observe the flow characteristics of bubbles.

Tribological properties of CrN / CrAlN superlattice thin films by CFUBMS (CFUBM 시스템으로 합성한 CrN / CrAlN 초격자 박막의 마찰 특성)

  • Byeon, Tae-Jun;Kim, Yeon-Jun;Han, Jeon-G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7.11a
    • /
    • pp.130-131
    • /
    • 2007
  • 초고경도 박막을 얻기 위해 질화물을 이용한 CrN / CrAlN 초격자 박막을 CFUBM 시스템을 통해 합성하였다. 초격자 박막의 각층의 두께 (${\lambda}$)는 기판의 회전 속도를 이용하여 제어하여 4.4 에서 44.1 nm 까지 합성하였다. 박막의 결정구조 및 미세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고분해능 X선 회절 분석기 (HR-XRD)를 이용하였으며, 박막의 기계적 성질은 나노 인덴터와 ball on disk tester를 통해 분석하였다. CrN / CrAlN 초격자 박막은 각층의 두께 (${\lambda}$)에 따라 28.77 GPa에서 31.97 GPa의 경도 값을 나타내었으며, 미세구조와 기계적 특성이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Fiber Grating-based Torsion Sensor with Intensity Measurement (빛의 세기 측정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비틀림 센서)

  • 박현수;송종섭;한원택;백운출;정영주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7a
    • /
    • pp.192-193
    • /
    • 2003
  • 광센서로 이용되는 광섬유 브라고 격자(이하 FBG)는 주변 환경에 대한 반응을 공진파장의 이동으로 나타내기 때문에 이것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광 스펙트럼 분석기(OSA)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상용화된 광 스펙트럼 분석기는 고가이며 부피가 커서 광섬유 격자가 광센서로 상용화되는데 걸림돌이 되어 왔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그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기술로는 Mach-Zehnder Inteferometer(MZI) 같은 간섭계를 이용한 방법과 Fabry-Perot (FP) filter, acousto-optic filter, FBG-based filters 등과 같은 변조기를 사용하여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바꿔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방법들이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