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게임 테스트

Search Result 22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Quality Attributes of On-line Game Software and Evaluation Point (온라인게임 소프트웨어의 품질 평가 요소와 평가 적용 시점)

  • Seo, Kwang-Ik;Choi, Eun-Ma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3.05c
    • /
    • pp.1669-1672
    • /
    • 2003
  • 오늘날 컴퓨터와 인터넷의 빠른 보급과 발전으로 인해 게임은 급속도로 확산 보급되어왔다. 종합예술이라고 불릴 만큼 다양한 기술이 뒷받침되어 게임 산업은 21세기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새로운 게임의 종류와 장르가 다양해졌다. 그 중 온라인게임은 산업적인 면과 정부지원이란 면에서 주요한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게임 소프트웨어 품질 향상을 위한 테스트의 요소들을 파악하고 품질평가 요소로 제안한 후 개발 단계에서의 적용 시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utomation Technology for Efficient Mobile Game Quality Assurance (효과적인 모바일 게임 품질 보증을 위한 자동화 기술 적용에 관한 연구)

  • Hyo-Nam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4.01a
    • /
    • pp.67-70
    • /
    • 2024
  • 2022년 국내 게임 시장 규모는 2021년 대비 8.5% 성장한 22조 7,723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눈에 띄는 건 모바일 게임의 시장 규모이다. 국내 모바일 게임 시장의 규모가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 글로벌 게임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와 매출 증대를 위해서는 게임 업체에서 개발하는 게임의 품질에 대한 보증을 확보할 수 있는 완성도 높은 게임을 출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 시장에서 전세계 소비자 지출 중에 절반이 넘는 비중을 차지하는 모바일 게임에 대해서 완성도 높은 모바일 게임을 출시를 위해서는 개발도 중요한 부분이지만 개발과 함께 출시하는 게임에 대한 완성도를 검증하는 효과적인 자동화 테스트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업체탐방 / 제로소프트

  • Sin, Seung-Cheol
    • Digital Contents
    • /
    • no.12 s.127
    • /
    • pp.72-73
    • /
    • 2003
  • 장철호 제로소프트 사장의 전직은 경찰 공무원. 마약사범 검거 포도왕 출신인 그가 온라인게임 개발사의 수장으로 변신한 이유는 기존 온라인게임 서비스업체들의 구태의연한 태도에 혈압이 상승했기 때문이란다. ‘파이널 포스 온라인(FFO)’의 베타테스트를 눈앞에 두고 마무리 작업이 한창인 제로소프트를 둘러봤다.

  • PDF

Research on Intelligent Agent System for Online Game (온라인게임을 위한 지능형 에이전트 시스템에 대한 연구)

  • Jeong, Eon-S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5.11a
    • /
    • pp.165-168
    • /
    • 2005
  • 최근 온라인 게임 시장이 커지면서 게임을 위한 필수요소로 동시 접속자를 지속적으로 확보/유지해야 하는 문제가 이슈화 되고 있다. 온라인 게임을 즐기는 유저 수는 정해져 있는 반면, 게임 컨텐츠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상황에서 온라인 게임 시장은 전형적인 레드오션[1]의 시장형태로 변모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본 논문에서는 에이전트 시스템을 이용한 동시 접속자를 생성, 유지할 수 있는 솔루션에 대해서 제시한다. 이를 통해 경쟁력 있는 게임 컨텐츠가 시장 진입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아울러 게임 초반의 스트레스 테스트를 위한 툴로써의 활용, 게임의 라이프 사이클의 증대,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and Aggressive Action in Violent Video Game (폭력적 비디오게임의 사용자 경험과 공격행동성에 대한 연구)

  • Yun, Ju-Sung;Noh, Ghee-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11
    • /
    • pp.215-226
    • /
    • 2015
  • As violent video game is used based on active interaction and involvement of users, it is widely thought that it may have more effect on individual violence and aggressive action than existing violent video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user experiences in the violent video game such as hostility, anger, arousal, enjoyment and identification on users' aggressive action. For this purpose, the first person FPS shooting game that consists of violent contents was employed to carry out playtest for 80 subjects with 40 male and 40 female university studen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user's arousal level, state anger, enjoyment and identification experience by the use of violent video game had an effect on aggressive action. Among factors that have aggressive action in the used of violent video game, besides emotion and arousal, the level of identification with a game character was found to be important effect factor. Hostility factor that was assumed to have effect on aggressive action was not significant, but enjoyment of game was proved to have effect on aggressive action of users.

Design of the Player's Response According to the Type of Sound Direction in the Horror Game (공포게임 속 사운드 연출에 따른 플레이어 반응 설계)

  • Moon, Ji-Yoon;Park, Yoon-Seo;Oh, Chae-Won;Kim, Go-Un;Park, Jae-A;Kim, Hyeon-Jin;Sin, Yu-Ra;Lee, Geon-Ju;In, Sun;Kang, Myung-Ju;Park, Chan-Il;Lee, Jong-Won;Oh, Hyoun-Ju;Kim, Sang-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489-49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청강문화산업대학교 게임전공 2014학년도 졸업 작품인 '사이코메트리(Psychometry)' 게임 내에서 등장하는 연출용 이펙트 사운드에 따른 플레이어의 반응을 테스트하고 그 결과를 도출한다. 이 테스트 결과에 따라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하면서 가장 자극을 받는 이펙트 사운드가 무엇이며, 그 이유를 연구하고 추후 개발에 적용하여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에게 사운드를 가장 효과적으로, 영향력 있게 전달할 수 있도록 게임을 설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First-Person Shooter Game based on Unreal Engine 5 (언리얼 엔진 5 기반 1인칭 슈팅 게임 설계 및 구현)

  • Chaehun Lee;Seongho Kim;Kiwon Seo;Minseok Kim;Soyoung H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4.01a
    • /
    • pp.489-490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게임 논리와 밸런스를 바탕으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게임 개발의 요구를 고려하여 언리언 엔진 5 기반 하이퍼 FPS 게임의 설계와 구현을 제안한다. FPS 게임 내에도 정통 FPS, 배틀로얄, 그리고 하이퍼 FPS 등 여러 종류가 있는데 그 중 순전히 총으로만 싸우지 않고 캐릭터마다 고유스킬을 사용하여 전투할 수 있는 것이 하이퍼 FPS이다. 제안하는 게임 개발을 위해 다양한 게임엔진 중에서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와 비교적 쉬운 작업 흐름을 가지고 있는 언리얼 엔진을 선정하였다. 개발 결과의 테스트를 통해 제안한 게임과 EOS(Epic Online Services) 연동으로 다중 사용자들의 접속과 플레이를 확인하였다.

  • PDF

A Genetic Algorithm-based Pattern Diversity Technique for Scrolling-Shooter Games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비행슈팅게임의 패턴 다양화 기법)

  • Park, Chang-Hoon;Seo, Ji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301-304
    • /
    • 2016
  • 슈팅게임은 플레이어에게 두 가지 목표를 제시한다. 하나는 겉으로 드러난 목적으로 게임의 보스를 처치하여 엔딩을 보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플레이어에게 도전하고자 하는 심리를 자극하는 것으로 게임의 패턴을 파악하고 적응하여 최단시간 내에 클리어하는 것이다. 하지만 플레이어의 게임에 대한 흥미는 슈팅게임의 이동 패턴에 적응하는 순간부터 감소하게 되고 또 다른 패턴을 찾아 다른 게임으로 떠나게 된다. 본 연구는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패턴을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해 다양화하는 방법을 새로이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을 통하여 게임 디자이너는 적은 양의 디자인으로 다양한 패턴을 쉽게 얻을 수 있다. 이는 최적의 패턴을 위한 밸런스 테스트 기간을 단축시키며, 플레이어에게 다양한 패턴을 제공하여 게임의 수명을 연장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PDF

A Study of Evaluation Model of VR(Virtual Reality) Game (가상현실 게임의 평가 모델 연구)

  • Park, Chan-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345-34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 게임의 평가 모델을 제안한다. 게임의 평가 모델은 장르별, 재미요소 특성에 맞게 연구 되어 왔다. 가상현실 게임에 대한 평가 모델은 아직까지 연구 제안된 모델이 없었다. 4차 산업과 연관하여 가상현실은 최근 가장 각광 받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며 기술의 발달은 게임 분야와 관련하여 많은 발전을 지속하고 있다. 가상현실 게임의 평가 모델 항목은 5가지로 구분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슈팅 게임을 활용하여 이를 평가 할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평가영역을 바탕으로 가상현실 게임을 평가할 수 있으며 이는 게임 개발의 성공을 위한 하나의 가치 척도로 활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