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게임 데이터 요소

Search Result 13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Interactive Game Designed for Early Child using Multimedia Interface : Physical Activities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기술을 이용한 유아 대상의 체감형 게임 설계 : 신체 놀이 활동 중심)

  • Won, Hye-Min;Lee, Kyoung-Mi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3
    • /
    • pp.116-127
    • /
    • 2011
  • This paper proposes interactive game elements for children : contents, design, sound, gesture recognition, and speech recognition. Interactive games for early children must use the contents which reflect the educational needs and the design elements which are all bright, friendly, and simple to use. Also the games should consider the background music which is familiar with children and the narration which make easy to play the games. In gesture recognition and speech recognition, the interactive games must use gesture and voice data which hits to the age of the game user. Also, this paper introduces the development process for the interactive skipping game and applies the child-oriented contents, gestures, and voices to the game.

The development of Metadata Prototype for Educational Game (교육용 게임을 위한 메타데이터 프로토타입 개발)

  • Yoon, Sean-Jeang;Yoon, Tae-Soo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8 no.1
    • /
    • pp.3-13
    • /
    • 2008
  • We think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the metadata for educational game. Because they are applicable to game contents, separate learning sources and studying components in the game-based LCMS. But markets of eduainment and educational games are newborn field, so systematic development of metadata is not advanced yet. Therefore in this paper, we first established the design process of educational game metadata, and then according to the rule, we suggested this as a prototype. And we defined the extracted data as metadata for educational game through inspection of an expert group. If these metadata prototype are operated by adopting through standardization stage of public institutes, we can provide the convenience of searching, managing and recycling these metadata to learner, instructor and the developing institute. And we can also expect the prevention of overlapping investment.

  • PDF

언명을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 객체의 시공간 동기화 모델

  • Seong, Hae-Gyeong
    • 한국게임학회지
    • /
    • v.6 no.1
    • /
    • pp.55-57
    • /
    • 2009
  • 멀티미디어 정보 표현에 있어서 서로 다른 미디어간의 동기화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멀티미디어 특성이 적용된 게임 개발에 있어서 각각의 시각 객체들이 시간 경과에 따라 공간 영역에서 동시에 움직여야 하므로 게임에서 필요한 멀티미디어적인 게임 요소들을 게임 운용상에 적절히 배치시키기 위해서는 게임 장면을 통한 시간과 공간 개념의 동기화가 필요하고 게임 객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시공간 특성이 논리적으로 설계되어 게임을 운용시켜야 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혼합된 형태의 미디어로 구성된 데이터의 표현을 위해서는 객체가 나타내는 상대적인 위치와 상대적인 시간을 나타내 주는 공간 합성과 시간 합성을 명시할 수 있는 정형화된 표현 연구가 요구된다. 간(刊)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시간적 동기화와 공간적 동기화 각각에 대한 표현에 많이 치우쳐 있으므로 시간과 공간이 통합된 미디어들의 동기화 표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시공간이 통합되지 않는 기존의 멀티미디어 표현법을 게임 개발에 적용할 때에는 게임에 사용되는 미디어 객체간의 원활한 동기화 표현이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게임 시나리오 스케치에서 나타난 게임 객체들의 시공간 개념이 적절히 표현될 수 있는 정형적 연구가 필요하다. 간(刊)본 논문에서는 시간 개념과 공간 개념이 통합된 형태의 시공간 동기화를 표현하기 위하여 명세 단계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시간 및 공간 개념을 적절히 변형하여 표현될 수 있도록 시간 및 공간 동기화가 통합된 새로운 표현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게임 요소들의 시간적, 공간적 동기화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을 언명으로 정의하고 시공간 관계성에 대한 확장을 제시한다. 간(刊)본 논문이 제안하는 언명 기반 멀티미디어 객체의 시공간 동기화 모델(an Assertion-based Multimedia objects Spatio-TEmporal Synchronization model : AMSTES)는 시간과 공간 모두에 적용되는 게임 객체들의 시공간 동기화 표현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실제 실행 가능한 코드 생성을 위한 시공간 공식을 제공한다.

  • PDF

Design of PPO-based Reinforcement Learning Agents for Match-3 Game Stage Configuration (Match-3 Game 스테이지 구성을 위한 PPO 기반 강화학습 에이전트 설계)

  • Hong, Jamin;Chung, Jae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05a
    • /
    • pp.648-651
    • /
    • 2022
  • Match-3 Game 은 스테이지 구성 및 난이도 설정이 중요한 게임이나 다양한 밸런스 요소로 인해 스테이지 구성에 중요한 요소인 난이도 설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특히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가 재미를 느끼는 수준으로 난이도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자동화하기 위해 실제 유저의 플레이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람과 유사한 수준의 자동 플레이 에이전트 개발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플레이 데이터의 확보는 쉽지 않기에 연구 방향은 플레이 데이터가 없는 강화학습으로 확장되고 있다. 스테이지 구성에 중요한 요소인 난이도를 설정하기 위함이라면 각 스테이지 간의 상대적인 난이도 차이를 파악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이를 위해 게임의 규칙을 학습한 강화학습 에이전트로 밸런스 요소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난이도의 스테이지를 50 회씩 플레이하여, 평균 획득 점수를 기준으로 스테이지 구성에 필요한 각 스테이지들의 난이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etadata Management System for Serious Game (기능성 게임을 위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Yoon, Sun-Jung;Park, Hee-So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4 no.4
    • /
    • pp.893-900
    • /
    • 2010
  • One of the most interests is currently a field related with serious game. Also, the scale of serious game industry is rapid quantitative growth every year. For effective management of metadata of serious game is an important issue so that we propose design of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effective management of metadata of serious game. The system provide a service based on internet. Users(general users, developers, experts and managers of metadata) of serious game who can carry out effectively works using proposed system such as new metadata information input, existing metadata information search, generated document files(HTML, XML, EXCEL, MS-WORD) as search results saving into their owns local computer system and so on.

Market Success factors of Mobile Games: Differences by Genres and Changes over Time (모바일 게임의 시장 성공 요소: 게임 장르별 차이와 출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

  • Yi, Sang-Yoon;Kim, Moon-Yong;Han, Sung-Don;Ahn, Jae-Hyeon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0 no.3
    • /
    • pp.21-38
    • /
    • 2008
  • After the introduction stage, Korean mobile game market is approaching to the growing stage leading mobile contents market. The environment for the mobile contents business is getting better by the expansion of the 3G mobile networks and the enhancement of the mobile devices. In this research, at a content level, not a service level, market success factors of mobile games and the differences by genres and their changes over time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al market data of mobile games launched by a Korean mobile carrier.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market success, especially for the genres of RPG/Tycoon/Simulation and Shooting/Action/Arcade, were found to be the 'design' factor and its effect turned to be getting stronger as time goes by after the launch. Consumers' purchase rate was actually higher for the mobile games of popular genres or in relation with socially popular subject matters. Also 'design' and 'creativity' factors which are related to the quality of contents, have gotten more important over time. One of the most interesting results was that there existed a "blue ocean" genres like Sports/Racing/Leisure which had a steady demand but not many competing games. In the analysis of the 'convenience' factor, one interesting implication for mobile game producers was that there exists a trade off between the ease of initial adoption and the steady sales of a mobile game.

A Study on the Correlation about Creating Component of Pleasure and Satisfaction on FPS Game (FPS게임에서 쾌감의 구성 요소 창출과 선호도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Kim, Sang-Jung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9 no.6
    • /
    • pp.45-56
    • /
    • 2009
  • This Study has limited our scope to the study of satisfaction factor. Due to the extensiveness of fun factors of games. We had identified satisfaction factors through investigating various theories based on funology. Then, we have directly applied the satisfaction factors to games in order to define the satisfaction factors of online FPS game. Then, we have applied the satisfaction factors on to four online games, at the first phase of the study. We interviewed a group of online FPS game experts to identify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factors and concluded the second phase of our investigation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first and second phases, we have conducted a survey to verify the hypothesis. We have verified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factors and game popularity by conduct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survey results. To conclude,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online FPS games and the satisfaction factors; the satisfaction factors cause the users to be absorbed into the game and to enjoy it for a long period of time.

  • PDF

Patterning of Visual Environmental Elements and Player Reactions in Game Space of Adventure Games (어드벤처 게임공간에서 시각적 환경요소와 플레이어 반응의 패턴화)

  • Choi, GyuHyeok;Kim, Miji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21 no.1
    • /
    • pp.139-148
    • /
    • 2021
  • In a game, the visual environment element is a means of expressing the intention of the developer, and is mediums that enable the player to gain to play experience of interaction. In this paper, the player's reaction to the visual environmental elements of the adventure game was patterned with a collection and analysis process by empirical experiments.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experiment were about 10,000,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24 types of player reaction patterns were found in total. This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game space design by matching the properties of visual environment elements and the reactions against players occurring in the game play process to examine the play experience.

Volumetric Capture data-driven Real Object-Virtual Space Adjustment and Virtual Reality Contents Design (볼류메트릭 캡처 데이터 기반 실사-가상공간 정합 및 VR 실감 미디어 콘텐츠 디자인 설계)

  • Ryoo, Miohk;Yoo, Sanghyun;Yun, Kugjin;Kim, Myoungha;Kim, Sa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06a
    • /
    • pp.1-3
    • /
    • 2022
  •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인한 4차 산업혁명이 앞당겨지고 초현실, 초실감, 초연결 사회 등의 키워드가 대두되고 언택트(Untact) 시대가 일상생활에 불가항력적으로 접목되면서 몰입감과 흥미성, 유희성을 목적으로 한 콘텐츠들이 다양하게 활성화되었다. 특히, 메타버스(Metaverse) 플랫폼이 빠르게 진화하면서 물리적 현실과 디지털 가상성을 융합한 다중 사용자에게 다양한 경험이 가능한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메타버스는 다중 사용자 플랫폼에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과 대규모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온라인 비디오 게임, 오픈 게임 월드, AR 협업 공간과 호환되는 사회적, 몰입감이 있는 VR(Virtual Reality) 플랫폼 서비스 중 하나이다. 우리는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 시 필요로 하는 요소기술 및 3D 데이터 획득을 통한 VR 콘텐츠를 설계하고 구현하고자 한다. 1) 콘텐츠 시나리오 및 사용자 인터랙션 설계; 2) 볼류메트릭 캡처를 활용한 실사 기반의 동적(Dynamic) 데이터 생성; 3) 컴퓨터 그래픽 기반 가상공간 설계 및 정적(Static)데이터 요소기술 개발; 4) 가상 현실 공간 데이터와 볼류메트릭 캡처의 실사 데이터 정합; 5) 공간 데이터 시각화 생성 및 모듈형 공간 이동 제어 기능 개발; 최종적으로 6) VR 환경에서의 콘텐츠 구현을 목표로 한다.

  • PDF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Paying Time and Game Usage Period in Partially Paid Online Game (부분 유료 온라인 게임에서 처음 결제시기와 게임 이용기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Shin, Yu-Been;Bae, Eun-Chae;Kim, Young-Won;Hwang, Seong-Jun;Lee, Jong-Won;Shin, Dae-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87-88
    • /
    • 2018
  • 본 연구는 부분유료온라인 게임에서 유저의 게임 이용 기간과 처음 결제 시기간의 상관관계의 검증을 통해 점차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는 게임 이용 기간에 대한 요소로서 처음 결제 시기가 적절한지를 알아보았다. 게임 이용 기간과 처음 결제 시기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설문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회귀분석을 실행하였고 처음 결제 시기가 게임 이용 기간에 양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끼치는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