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검출률

검색결과 1,395건 처리시간 0.04초

Toxocara canis 충란에 의한 놀이터 토양 오염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ntamination of soil in playgrounds with the eggs of Toxocara canis reduced ocular toxocariasis)

  • 김상문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47-453
    • /
    • 2004
  • 광주광역시 소재 어린이 놀이터 토양에서 채취한 80개의 토양시료와 123개의 견변시료를 통해 Toxocara canis 충란에 의한 오염 실태를 조사하였다. 어린이 놀이터에서 수집한 토양시료의 15%에서 Toxocara canis의 충란이 검출되었으며, 공원(25%)과 주택가 공터(17%) 토양의 충란 검출률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놀이터 토양의 충란 오염률은 봄 가을이 여름 겨울보다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오염률이 높은 공원과 주택가 공터에서 계절적 변동폭이 컸다. 놀이터에서 수집한 총 123개의 견변에 대한 충란 검출 결과 검출률은 31%로 나타났으며 토양시료의 검출률(21%) 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과실채소중(果實菜蔬中) 유기인계(有機燐系) 농약잔류(農藥殘留)에 관(關)한 연구(硏究) (Organophosphorus Insecticide Residues in Fruits and Vegetables)

  • 서윤수;류홍일;김인기;김학엽;김성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30-36
    • /
    • 1984
  • 수종(數種)의 과실채소류(果實菜蔬類)에 대(對)한 유기린계(有機燐系) 살충제들의 잔유량(殘留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채소류(菜蔬類)(무우, 배추, 오이, 토마토)에서 diazinon의 검출률(檢出率)은 20%, 검출범위(檢出範圍)는 부검출(不檢出)${\sim}0.020ppm$ 이었으며, 검출시료(檢出試料)의 평균(平均)은 0.004ppm이었다. DEP는 검출률(檢出率)이 52.5%, 검출범위(檢出範圍)는 부검출(不檢出)${\sim}0.273ppm$이었으며, 검출시료(檢出試料)의 평균(平均)은 0.096ppm 이었다. Malathion의 검출률(檢出率)은 15%이며 검출범위(檢出範圍)는 부검출(不檢出)${\sim}0.038ppm$이고 검출시료(檢出試料)의 평균(平均)은 0.021ppm 이었다. 2) 고추에서는 EPN은 전시료(全試料)에서 부검출(不檢出) 되었으며, PAP는 1점(點)의 시료(試料)에서만 0.006ppm으로 검출(檢出)되었다. 3) 포도에서의 PAP는 검출률(檢出率)이 20%이고 검출범위(檢出範圍)는 부검출(不檢出)${\sim}0.008ppm$ 이었으며 검출시료(檢出試料)의 평균(平均)은 0.006ppm 이었다. EPN은 전시료(全試料)에서 부검출(不檢出)되었으며 MEP의 검출률(檢出率)은 20%, 검출범위(檢出範圍)는 부검출(不檢出)${\sim}0.007ppm$이며 검출시료(檢出試料)의 평균(平均)은 0.005ppm이었다. 4) 복숭아에서 EPN은 전시료(全試料)에서 부검출(不檢出)이었고, demeton-methyl은 검출률(檢出率)이 30%, 검출범위(檢出範圍)는 부검출(不檢出)${\sim}0.047ppm$이였으며, 검출시료(檢出試料)의 평균(平均)은 0.032ppm이었다. parathion은 1점(點)의 시료(試料)에서만 0.003ppm으로 검출(檢出)되었다. 5) 본(本) 조사결과(調査結果)에서 대상농작물(對象農作物)인 국내생산(國內生産) 과실채(果實菜) 소중(蔬中) 유기린계(有機燐系) 농약(農藥)의 잔유량(殘留量)은 국내외(國內外)의 잔류허용기준(殘留許容基準)에 훨씬 미달(未達)되는 수준(水準)이었으며 그 잔유량(殘留量)도 세정(洗淨)이나 조리과정(調理過程)에서 상당한 량(量)이 제거(除去)될 것으로 생각되므로 실제(實際)로 인체내(人體內)에 섭취(攝取)되는 잔유농약(殘留農藥)의 량(量)은 극소(極小)한 것으로 판단(判斷)된다.

  • PDF

Microbial Contamination in Kitchens and Refrigerators of Korea Households

  • Hong, Joonbae;Lim, Seung-Yong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03-308
    • /
    • 2015
  • 본 연구는 경기도, 인천 및 서울 지역에 있는 50 곳의 가정 내 주방을 대상으로 미생물학적 오염 정도에 대해 조사하여 가정 내 주방 위생 관리 실태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행주, 냉장고 칸, 도마의 대장균군과 다양한 병원성 미생물의 존재 여부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주방기구의 대장균군을 분석한 결과, 행주는 $4.8{\pm}1.84log\;CFU/100g$, 검출률 94.0% (50건 중 47건)의 값을 나타내었고, 냉장고 칸은 $4.11{\pm}1.65log\;CFU/100cm^2$, 검출률 96% (50건 중 48건), 도마는 $4.04{\pm}1.53log\;CFU/100cm^2$, 검출률 90.0%(50건 중 45건)로 나타났다. 병원성 세균의 오염 실태를 조사한 결과, E. coli는 행주에서 6.0%, 냉장고 칸에서 2.0%의 검출률을 보였으며, Listeria monocytogenes 같은 경우에는 냉장고 칸에서 4.0%의 검출률을 보였다. Salmonella spp.과 Campylobacter jejuni의 경우에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Staphylococcus aureus의 경우에는 행주, 도마, 냉장고 칸에서 각각 42.0%, 24.0%, 28.0%로 모두 높은 검출률을 보여 위생관리 소홀의 심각성을 나타내었다. 가정 내 주방용품 및 기구의 미생물학적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위생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행주 및 도마, 냉장고 칸에서 위생지표세균인 대장균군과 병원성 세균인 황색포도상 구균의 높은 검출률을 보여 가정 내 주방의 위생관리가 잘 되고 있지 않음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가정 내 주방에서의 위생 관리와 사용실태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어 가정에서도 위생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열화상과 가시광선 카메라 영상의 이동 객체 탐지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Moving Object Detection between Visual and Thermal Cameras)

  • 김충만;문찬기;남윤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48-550
    • /
    • 2015
  • 본 논문은 열화상 카메라와 가시광선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한 영상에서 움직이는 객체에 대한 검출률을 비교한다. 각 카레라는 객체로부터 8m 떨어진 지점에 위치시켰으며, 촬영한 영상에 가우시안 필터만을 적용하여 객체를 검출하였다. 객체가 존재하는 구간에서 객체가 검출된 영상으로부터 검출률을 계산하였고, 두 개의 이동 물체로부터 얻은 영상에서 열화상 카메라와 가시광선 카메라에서 각각 98.6%와 55%의 검출률을 얻었다.

각국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한 바나나 중 농약 잔류 실태 조사 (Residual characteristics of pesticide in banana from international pesticide residue monitoring data)

  • 김서홍;김정아;임무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1호
    • /
    • pp.9-22
    • /
    • 2020
  • 이 연구는 농산물의 원산지에 따른 검출 농약을 조사하여 대한민국의 수입 바나나 중 잔류농약 안전 관리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미국, 일본, EU, 영국 및 대한민국의 2007에서 2018년까지 바나나 중 잔류농약 검사 결과를 활용하여 검출 농약, 검사 건수, 농약 검출 건수 및 검출량으로 정리하였다. 이들 바나나의 잔류농약 검사에서 검출된 농약은 총 109종이었으며, 전체 검사 건수는 206,894건이었다. 이 중 9,483건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으며, 농약 검출률은 4.58%였다. 검출된 농약은 chlorpyrifos, imazalil, methyl-bromide, azoxystrobin, carbendazim, pretilachlor 및 thiabendazole 등 이었으며, 이 농약들의 검출률은 10.62-24.62% 범위였다. Chlorpyrifos가 검출 건수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다음으로 imazalil, azoxystrobin, thiabendazole, bifenthrin 및 carbendazim 순이었다. EU, 일본, 미국, 영국 및 대한민국의 잔류농약 검사에서 각각 85, 57, 23, 18 및 8종 농약이 검출되었다. Azoxystrobin, bifenthrin 및 chlorpyrifos는 모든 국가의 모니터링에서 검출되었다. 코스타리카 및 에콰도르산 바나나에서 각각 14 및 12종 농약이 검출되었다. Imazalil 및 thiabendazole은 각각 16 및 11개 원산지에서 검출되었다. Myclobutanil 및 iprodione은 각각 4 및 2개국산에서 검출되었다. Azoxystrobin 및 bifenthrin은 코스타리카산 바나나에서 각각 11.8 및 9.8% 검출 건수를 보였고, azoxystrobin의 검출률은 콜롬비아산에서 19%였다. 벨리즈산, 콜롬비아산 및 코스타리카산 바나나 중 chlorpyrifos는 각각 22.7, 13.3 및 10.8%의 검출률을 보였고, 콜롬비아산 및 코스타리카산 바나나 중 myclobutanil의 검출률은 각각 17.9 및 10.4%였다.

음성인식을 위한 자동차 소음환경에서의 끝점 검출 (Endpoint Detection in the Car Noise Environment for Speech Recognition)

  • 서동권;신원호;양태영;김원구;윤대희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6-79
    • /
    • 1998
  • 소음이 존재하지 않는 환경에서는 에너지 파라메터만으로도 정확한 끝점 검출을 수 행할 수 있으나 신호대 잡음비가 0dB에 가까운 자동차 환경에서는 끝점 검출이 거의 불가 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 소음 환경에서 음성 구간 검출을 위하여 단구간 영교차율과 2∼4kHz의 주파수 영역 에너지를 사용한 끝점 검출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과 기 존의 방법의 성능을 DTW를 이용한 단독음 인식 시스템에 적용하여 인식률로 비교하였으 며 제안된 음성 구간 검출 방법을 적용한 경우가 보다 좋은 인식률을 나타내었다.

  • PDF

토양수분 품질관리 시스템 개발 - 튀는 값 검출 알고리즘 평가 (Developement of Soil Moisture Quality Control System - Evaluation of Spike Detecting Algorithm)

  • 이용준;김기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407-407
    • /
    • 2021
  • 토양수분량은 그 양은 작지만 다양한 수문현상에 관여하는 주요한 수문인자 중 하나이다. 특히, 강우, 유출, 홍수 및 가뭄 등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어 국내에서도 그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일찍이 해외에서는 토양수분량 위성자료나 관측기기의 검증 및 교정을 위해 다수의 지상 관측소를 운영해왔으며, ISMN(International Soil Moisture Network)과 같은 기관을 통해 자료의 취합 및 품질관리, 배포 등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최신 관측기기의 도입이나 수자원위성의 개발 등 토양수분량에 관한 연구가 점차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위성자료와 관측기기의 검증 및 교정을 위한 지상관측소도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국내 지상관측소는 현재 다양한 기관과 단체에 의해 운영되고 있으며, 품질관리 기준이 통일되어 있지 않아 자료의 접근 및 활용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은 국내 환경에 맞는 품질관리 기준을 제시하고, 자료의 접근성 및 활용성 개선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품질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량화된 품질관리 기준을 바탕으로 spike를 판별하는 알고리즘에 대한 성능평가를 다루고 있으며, 청미천 토양수분량 관측소 2020년 자료에 임의의 튀는 값(spike)을 추가하고, 해당 이상치의 검출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각각의 지점자료에서 강우사상 중 하강부, 무강우기간 중 하강부를 1개씩 선정하고, 해당 구간에 positive spike를 추가한 case와 negative spike를 추가한 case를 생성해 강우조건 및 spike 유형에 따른 검출성능 차이를 평가했다. 평가 결과, 강우기간 검출률 84.3%, 무강우기간 검출률 96.3%로 강우조건에 따른 성능차이가 명확하게 나타났으며, positive spike는 91.7%, negative spike는 88.9%로 spike 유형에 따른 검출성능차이는 미미했다. 강우조건과 spike 유형을 동시에 고려했을 때는 무강우기간의 positive spike가 98.2%로 가장 높은 검출률을 보인 반면에 강우기간의 negative spike는 83.3%로 가장 낮은 검출률을 보였다. 알고리즘이 검사시간대를 중심으로 24시간 동안의 토양수분량 변화를 감지하기 때문에 강우기간에 검출성능이 저하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선 강우사상에 따른 유동적인 window size 조절 알고리즘의 추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문장 거부를 위한 음소기반 인식 네트워크에서의 필러 모델 비율과 단어 검출률의 성능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Filler Models and Word Spotting Ratio for Sentence Rejection in Phoneme-based Recognition Networks)

  • 김형태;이병혁;하진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2 No.1 (B)
    • /
    • pp.856-858
    • /
    • 2005
  • 음성인식 시스템에서 입력된 음성 데이터에 대해 비인식 대상을 거부하는 기능은 신뢰도 보장 측면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하며,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단순한 인식기능 외에 부적절한 입력 패턴의 거부 기능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음소기반 인식 네트워크에서 필러 모델 방법과 단어 검출률 방법을 사용하여 실험하였고, 문장의 단어 수에 따른 두 방법의 문장 거부 성능을 FAR과 FRR의 평균을 최소화 하는 값을 각각 구함으로써 비교${\cdot}$분석 하였다. 그 결과 필러모델 방법이 좀 더 나은 거부 성능을 보였고, 단어 검출률을 이용하는 방법이 인식 네트워크를 전부 거치지 않아도 되므로 실행속도와 메모리 절약에서 효과적이었다.

  • PDF

합성곱 신경망 기반의 차량 번호판 인식 시스템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based Vehicle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 임성훈;이재흥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49-752
    • /
    • 2018
  • 깊은 신경망 모델을 이용한 차량 번호판 검출과 번호판 문자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차량 번호판 인식 시스템은 세 가지 종류의 깊은 신경망 모델로 구성된다. 기존의 영상처리 기반의 차량 번호판 검출과 문자 인식을 전부 신경망으로 대체함으로써 영상의 밝기, 회전, 왜곡 등의 변형에 강인한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차량 번호판 검출률은 99.3%, 문자 영역 검출률은 99%, 문자 인식률을 98.5%를 얻었다.

2005년부터 2007년 사이 양식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질병에 대한 통계 자료 (Statistical data on infectious diseases of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rom 2005 to 2007)

  • 김진우;조미영;박경현;원경미;최혜승;김명석;박명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69-377
    • /
    • 2010
  • 2005년부터 2007년 사이 매분기별로 포항, 울산, 기장, 거제, 완도 지역에서 채집한 양식넙치를 대상으로 기생충, 세균 및 바이러스에 대한 병원체 모니터링 결과를 분석하였다. 총 2,238마리 중 1,528마리(68.3%)에서 병원체가 검출되었다. 연도별 검출률을 비교한 결과, 2005년도에는 60.6%, 2006년도에는 66.7%, 2007년도에는 72.3%의 병원체 검출률을 나타내어 해마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시기별 총 병원체 검출률은 2월에 63.5%, 5월에 67.3%, 8월에 75.1%, 11월에 64.2%로 나타났다. 기생충, 세균 및 바이러스의 검출률은 각각 36.7%, 32.8%, 31.4%로 나타났다. 병원체의 단독감염률 및 혼합감염률은 각각 33.6%와 34.6%로 나타났다. 질병별 분포 조사에서 가장 높은 검출률을 나타낸 병원체는 Trichodina sp. (28.2%), viral nervous necrosis virus (24.3%), Vibrio spp. (11.6%), viral hemorrhagic septicaemia virus (10.5%)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