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축 표절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담론 분석을 통한 건축계 표절 관련 쟁점 도출 (Addressing the issues on Architectural Plagiarism through the Analysis of Discourses)

  • 김영선;최재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12호
    • /
    • pp.3-1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Issues on Architectural Plagiaris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iscourses written in texts form. This study selected 60 texts of 20 suspected pairs of architectural plagiarism to derive key-words and key-passages to understand the Issues on Architectural Plagiarism. As a result, the Issues on Architectural Plagiarism are categorized into six different topics; Prototype, Archetype, Motif, Expression of Idea, Commodification, and Westernized-modernization. Meanwhile, the six issues were not discussed independently, but several issues were considered simultaneously in individual cases. This study is the first step to establish the objective guideline to judge Architectural Plagiarism and to be a basis in Architectural Plagiarism research.

건축 표절 논의를 위한 미학의 차용 적용에 관한 연구 (The Applicability of Aesthetics of Appropriation for the Discussion on Architectural Plagiarism)

  • 김영선;최재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6권5호
    • /
    • pp.11-22
    • /
    • 2020
  • It is the juristocracy in architecture to judge the architectural plagiarism by copyright law. The architectural plagiarism should judge by architectural criticism. From the point of the criticism to discuss architectural plagiarism, the study on artistic imitation should be preceding. The current discussion on architectural plagiarism doesn't consider artistic imitation. Therefore, the result of the discussion only focused on whether the building is plagiarizing or not. From the point of architectural criticism, there should be three considerations, which are creation, imitation, and plagiarism. In the study of Aesthetics, it theorized artistic imitation as the appropriation.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appropriation, contemporary art is developing the discourse on plagiarism beyond the boundary of plagiarism fundamental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appropriation to the discussion of architectural plagiarism. The study introduces the discourse on architectural plagiarism rather than judging it with copyright law. There so the study categorized the aesthetics standard of appropriation art, then apply it to the architecture cases. The architecture cases subjects of analysis are the glasshouse by Philip Johnson, National Museum of Australia by Howard Raggatt, and the Meiquan 22nd Century in China. At the point of the appropriation theory, the glasshouse is the only architectural appropriation, and others need to apply the evaluation criteria of plagiarism.

대중가요의 창작성 요소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Creative Elements of Popular Music)

  • 김혜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213-218
    • /
    • 2016
  • 1850년 프랑스에서 시작된 음악 저작권은 건축이나 미술 등의 분야처럼 시각적으로 고정이 되어있는 저작물에 대한 권리와는 다르게 곡 시간의 흐름에 의한 저작물이다. 음악 저작물의 보호되어지는 범위는 다른 분야의 저작물과 같이 전체 음악이기 보다 음악저작물 안의 각각의 요소와 구조를 분석하여 법적으로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창작적 표현이라 판단되는 부분을 보호의 범위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우리나라 대중가요에서 표절에 관한 이슈 중 창작성 판단은 원고의 저작물에 대한 보호에 해당 되는지 여부를 가리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저작물로 인정되는 곡안의 아이디어나 창작요소의 판단은 중요한 논점이다. 창작성을 판단하기에 앞서 해당 표현이 창작의 표현에 해당하는 음악적 요소에 대한 문제는 법원의 판단이 아닌 산업과 학계에서 검토되어 공감대를 형성해야 할 문제라 판단된다. 또한 오늘날 대중가요는 저작권을 보호받는 저작물 중 창작적 표현의 논의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을 통해서 대중가요의 창작적 요소와 비창작적 요소를 구분하고, 창작적 표현 요소에 대한 음악 창작자들의 공감대를 마련하는 시론이 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