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축행태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2초

환경조절 행태에 대한 관찰연구: 대학 아파트 설계를 위한 시사점 (An Observation on Environmental Modification Behavior: Implications for University Apartments' Design)

  • 김덕수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9-17
    • /
    • 2012
  • 본 연구는 미국 소재 T 대학교의 학생아파트를 대상으로 하여 창밖으로 보이는 외부 환경의 차이와 거주자의 환경조절 행태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관찰연구로 진행되었다. 거주자와 거주환경간에 발생하는 부조화는 환경 스트레스의 한 원인이 된다. 이러한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대응 전략으로 거주자는 그들의 환경을 조정하곤 한다. 본 연구는 실내에서 식물을 키우거나 거주자의 취향에 따라 커튼을 교체하는 등의 환경조절 행태를 분석의 대상으로 한다. 창문과 현관 영역에서 발생하는 환경조절 행태의 정도를 비교 관찰하기 위해 군집형과 일자형으로 되어 있는 두 개의 배치 유형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군집형 유형(cluster type: type A)은 상대적으로 도로에 가깝고 거실 창문의 조망이 다른 건물에 가로막혀 있으며, 일자형 유형(parallel type: type B)은 가로막고 있는 건물이 없어 자연경관을 거실 창문을 통해 조망할 수 있는 배치상의 두드러진 차이점이 있다. 관찰연구를 통해 군집형 유형에서 일자형 유형보다 더 높은 빈도로 식물 화분과 개별 커튼 등을 이용한 개인적 환경조절이 이루어진 흔적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창문을 통해 보이는 외부 경관의 특성이 거주자의 환경조절 행태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암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관찰연구에서 나타난 거주자의 환경조정 행태를 반영하여 디자인 고려사항을 제안하였다.

다인설 환자의 심리행태와 건축적 대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tients' Behavior and Architectural Correspondence for the Multi-patient Room)

  • 최영미;양내원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6권11호
    • /
    • pp.71-78
    • /
    • 2000
  • This study indicates bed-transfer as the significant behavior of a ward and points out architecture that cannot meet the patient's need. It is examined that inpatient's behavior depends on visibility, psychological security, privacy & communication, control, support and this study applies them to analyze the selected cases. This study also emphasizes the supportive role of hospital architecture so that the function of a ward as a healing environment may be maintained.

  • PDF

복합상업시설에서의 아동 동반 고객 행태분석을 통한 미아 발생원인 고찰 (A Study on the Causes of Child Loss through Behavioral Analysis of Customers Accompanied with Children in Urban Entertainment Centers)

  • 최재필;최소영;유세원;한규빈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6권1호
    • /
    • pp.49-60
    • /
    • 2020
  • Although the number of child loss in commercial facilities has been growing recently, the prevention method for child loss are still lacking in the environmental aspect. This research examines the causes of lost child in behavioral aspects in order to develop a guideline to prevent child loss in U.E.C. The observational study on the behaviors of guardians and children was conducted in the U.E.C that is visited by many customers accompanied with children. Then the results of the observational study were marked on the behavioral maps. After analyzing the behavioral maps, the causes of child loss were determined by classifying into behaviors by age and behaviors by functional space. As a result, when guardian is unable to pay attention to child by doing something else such as making a purchase, or an inquiry, child may lose guardian by going towards the interesting factors or playing around. Moreover, if the spaces related to children are located at the node with high pedestrian density and open structure or the environment that is hard for the guardians to watch over their children, it will be easy for guardians to be inattentive to their children, and get separated from each other.

외래 클리닉에서의 길찾기 행위 -진입로에서 출입구까지의 외부공간을 중심으로- (Wayfinding Performance in an Outpatient Clinic -Focused on Outdoor Space from Driveway to Entrance-)

  • 김덕수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53-59
    • /
    • 2011
  • 본 연구는 미국 텍사스 주의 소도시에 있는 스캇 앤 화이트 클리닉의 외부공간을 대상으로 하여 외래환자와 방문객들이 직면하는 길찾기의 문제점을 분석한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클리닉의 외부공간으로 한정하여 진입도로에서 진입하여 주차한 후 출입구에 도달하는 경로에서 관찰되는 행태적 특성을 분석한다. 분석의 초점은 진입도로에서 이루어지는 경로선택의 결정과 그것이 클리닉에 진입하기 위한 출입구 결정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둔다. 분석은 외부공간에서의 길찾기에 관한 기존 연구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한 연구모형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보면, 이용자들이 보이는 날씨, 성별, 그리고 나이에 따른 길찾기 행태의 차이를 클리닉의 남동측 출입구와 남서측 출입구에서 발생하는 이용자들의 하차 빈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하차의 위치를 행태 지도에 기록하여 연구모델에 나타나는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길찾기 행태분석 결과를 통해 파악된 외부주차장에 주차한 후 클리닉에 접근하는 이용자들의 경로선택의 문제점과 클리닉의 입구 공간에서 하차한 이용자들의 입구선택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토대로 하여 외부공간에서 발생하는 길찾기 행위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디자인 추천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1) 시각적 단서를 제공하기 위해 남서쪽 출입구의 형태와 색채 차별화; (2) 도로에서 클리닉 진입공간에 위치한 안내판의 글자 크기 확대; (3) 학습된 길찾기 행태를 보조하기 위해 동쪽에 랜드마크 시설물 설치 및 목적 지점의 최종경관 개선; (4) 과도한 클리닉의 정보에 의해 감소되는 가독성을 고려하여 안내판의 정보 간략화; (5) 색채의 대조를 고려(출입구 벽에 설치된 클리닉의 이름이 갈색에 푸른색으로 설치되어 있어 색채의 대비가 낮아 가독성 떨어짐); (6) 클리닉 중앙 출입구의 하차 공간 상부에 설치된 캐노피 기둥의 과도한 크기에 의해 발생하는 가시공간의 감소에 의해 발생하는 하차 공간 사용의 혼잡 문제를 제거하기 위해 기둥규모 축소; (7) 하차점 6까지 캐노피를 확장하여 우천시에 발생하는 공간 사용의 문제점 제거; 그리고 (8) 올바른 하차공간 사용을 위해 진입 접근도로에 차선 설치.

한국회화(韓國繪畵)에 나타난 건축적(建築的) 행태구성(行態構成)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를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architectural act and attitude by Korea landscape painting - Focus on the real view landscape painting -)

  • 조남두;이재국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40-47
    • /
    • 2005
  • As we know usually architecture of Korea landscape painting inside, pavilion(Jung-ja) and many-storied building(Ru-gak) have painted mainly. But besides general building that home, mountain fortress wall, temple, royal palace was expressed by a real view landscape painting.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nhance the basis that can understand well tradition architecture by korea landscape painting. To achieve this goal, Even if it is same kind of building, a lot of differences become by material of roof, position of building, expenditure of building. Division of inside and outside is precious data that can know life physiognomy of general peoples. In Structural side, Expression of fabrication and value as data that can know composition and arrangement of plane are important.

  • PDF

보행행태조사방법론의 변화와 모바일 빅데이터의 가능성 진단 연구 - 보행환경 분석연구 최근 사례를 중심으로 - (Changes in Measuring Methods of Walking Behavior and the Potentials of Mobile Big Data in Recent Walkability Researches)

  • 김현주;박소현;이선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1호
    • /
    • pp.19-2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walking behavior analysis methodology used in the previous studies, paying attention to the demand for empirical data collecting for urban and neighborhood planning. The preceding researches are divided into (1)Recording, (2) Surveys, (3)Statistical data, (4)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devices, and (5)Mobile Big Data analysis. Next, we analyze the precedent research and identify the changes of the walkability research. (1)being required empirical data on the actual walking and moving patterns of people, (2)beginning to be measured micro-walking behaviors such as actual route, walking facilities, detour, walking area.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rend of research, it is analyzed that the use of GPS device and the mobile big data are newly emerged. Finally, we analyze pedestrian data based on mobile big data in terms of 'application' and distinguishing it from existing survey methodology. We present the possibility of mobile big data. (1)Improvement of human, temporal and spatial constraints of data collection, (2)Improvement of inaccuracy of collected data, (3)Improvement of subjective intervention in data collection and preprocessing, (4)Expandability of walking environment research.

종합병원(綜合病院) 대기공간(待期空間)에 관한 건축설계적(建築計劃的) 연구 - 공간이용행태(空間利用行態)를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Waiting Space in General Hospital)

  • 권혁기;김길채;최강석;김광문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105-112
    • /
    • 1995
  • This study proposes the basic data on the waiting space in general hospital through to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s and seat arrangements in the waiting space.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conditions and activities in the waiting space, this study is to awaken user to the influence environment, to suggest the planning guideline for the waiting space in the general hospital. Therefore, by observation over the waiting space in the general hospital, the realities, theories and problems can be found in accordance with the hospital planning throughly.

  • PDF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SNS 상에서 우울감을 언급한 도시공원 이용자의 이용행태 분석 (Analysis of Use Behavior of Urban Park Users Expressing Depression on Social Media Using Text Mining Technique)

  • 오지연;남성우;이상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319-328
    • /
    • 2022
  • 본 연구는 COVID-19 대유행에 의한 우울감과 공원 이용행태의 관계를 온라인상에 게시된 공원 이용에 대한 게시물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COVID-19 방역이 활발해진 기간 동안 네이버와 다음의 블로그 및 카페에서 '공원'과 '우울'을 포함한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하여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과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우울감을 언급한 공원 이용자는 '보다', '산책/걷다', '먹다'의 이용행태를 주로 보였고, 소통 행태인 '보다'를 중심으로 다른 이용행태들이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NCOR 분석 결과, 소통 행태 및 동적 행태의 군집의 경우, 단일 행태 유형으로 군집이 형성되어, 우울감을 언급한 이용자는 공원을 소통활동과 신체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COVID-19의 대유행으로 소통활동과 신체활동의 결핍이 증가되었고 공원에서 이를 해소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또한 우울감의 발생으로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이용행태가 주요한 이용행태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도시민에게 효과적인 공원의 조성 및 관리 계획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후속 연구에서 COVID-19 대유행과 우울감의 유무를 연계한 공원 이용자의 이용행태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