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축표준설계기준

Search Result 52,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건축전기설비표준시방서 개정

  • 송언빈;김수길;최창선;정용기;지철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8.11a
    • /
    • pp.236-241
    • /
    • 1998
  • 건축전기설비 표준시방서는 건축설비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자 또는 설계등의 용역업자가 공사 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이다. 이번에 개정된 건축전기설비공사 표준시방서는 국제규격(NEC)등의 내용을 참조하여 종전 시방서의 수변전설비, 조명설비, 동력설비, 방재전기설비, 예비전원설비, 정보설비 부분에 대한 대폭적인 개정이 이루어졌다.

  • PDF

건축실무 전문화에 관한 UIA 국제 표준안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3 s.359
    • /
    • pp.90-95
    • /
    • 1999
  • WTO 세계무역기구의 발족과 더불어 국가간의 개방과 정책에 따라 건설시장은 물론 사회 전 분야에 걸쳐 새로운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건축 관련 부분은 민간사업뿐 아니고 정부 조달시장까지도 개방되어 정부부처나 지방 자치단체에서 구매하는 물품(설계 및 시공 포함)에 외국업체가 참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건축 설계의 경우 "서비스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에 의해 원칙적인 기준만 체결되어 있을 뿐 상호인증에 관한 세부사항은 서로의 제도가 동일하거나 합의한 나라를 제외하고는 당사국간의 상이한 제도와 운영체제로 인하여 실용화되고 있지 않고 있다. 국내에서는 지난 4년간 "국가를 상대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건설제도 기획단을 운영하여 시장개방에 대처해 왔으나 국제적인 건축 설계 관련 단체인 UIA와는 의견 교환이 없었다. 특히 상호인증에 따른 기본 요건으로 대두되고 있는 건축교육, 실습 및 훈련, 건축사 자격 등에 대한 우리의 입장을 정리하여 국제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건축설계 관련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관심사의 하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국제건축가연맹(UIA)에서는 용역실무협의회를 설치하여 이미 2년여에 걸쳐 인정방법에 대한 세부사항을 검토하고 있으며, 올해(6월) 북경 총회에서 상호인정 표준안을 공포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건축3단체(대한건축사협회, 대한건축학회, 한국건축가협회)주관으로 건축사자격 상호인정에 대한 공동 대응책을 논의하고자 건축계와 정부가 함께 참석하여 토론회를 개최한 바 있으며, 또한 본협회 국제위원회에서 한국측을 대표하여 지난 98년 12월에 열린 UIA 용역실무위원회(PPC)에 참석하여 상호인정에 대한 우리측 입장을 개진한 바 있다. 이에 본지에서는 문호 개방에 따른 한국건축의 현안에 대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문제점이 검토되고 아울러 우리 건축계의 입장 정리와 실질적인 의견을 수렴하고자 UIA 국제 표준안 전문에 이어 부록을 정리하여 게재한다

  • PDF

정압관리소의 지진계측기 설치를 위한 지진응답 특성 분석

  • 권기준;김익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0.06a
    • /
    • pp.235-240
    • /
    • 2000
  • 도시가스는 도시생활을 유지하는데 필수 불가결한 라이프라인으로 가스사업자는 평상시 안정공급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지진과 같은 대규모의 자연재해가 발생한 경우에도 대처할 수 있도록 평상시부터 준비를 철저히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88년 건축물의 내진설계기준이 도입된 이래 일부시설에 대한 내진 설계기준이 설정되어 있다. 가스시설에 대해서도 1997년 한국지진공학회으로부터 우리나라의 지진환경을 고려한 가스시설의 내진성능기준(안) 및 내진설계 표준서(안)이 제시되어 가스시설물의 내진설계를 위한 기본적인 틀을 갖추었다. (중략)

  • PDF

Evaluation of Spatial Distribution of Secondary Compression of Songdo Marine Clay by Probabilistic Method (확률론적 방법을 이용한 인천송도지반 이차압축침하량의 공간적 분포 평가)

  • Kim, Dong-Hee;Bae, Kyung-Doo;Ko, Seong-Kwon;Lee, Woo-Jin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6 no.9
    • /
    • pp.25-35
    • /
    • 2010
  • Settlement at reclamation area caused by secondary compression should be considered using spatial evaluating method because the thickness of consolidation layer varies at every location. Probabilistic method can be implemented to evaluate uncertainty of spatial distribution of secondary compression. This study spatially evaluate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secondary compression in the overall analyzing region using spatial distribution of consolidation thickness estimated by ordinary kriging method and statistical values of soil properties. And then, the area where secondary compression exceeds a design criterion at the specific time was evaluated using probabilistic method. It was observed that the area exceeding the design criterion increased as the variability of $C_{\alpha}/(1+e_o)$ increased or the probabilistic design criterion 0: decreased. It is considered that the probabilistic method can be used for the geotechnical design of soft ground when a probabilistic design criterion is established in the specification.

건축실무 전문화에 관한 UIA 국제 표준안(Ⅱ) - 부록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4 s.360
    • /
    • pp.58-69
    • /
    • 1999
  • WTO 세계무역기구의 발족과 더불어 국가간의 개방과 정책에 따라 건설시장은 물론 사회 전 분야에 걸쳐 새로운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건축 관련 부분은 민간사업뿐 아니고 정부 조달시장까지도 개방되어 정부부처나 지방 자치단체에서 구매하는 물품(설계 및 시공 포함)에 외국업체가 참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건축 설계의 경우 "서비스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에 의해 원칙적인 기준만 체결되어 있을 뿐 상호인증에 관한 세부사항은 서로의 제도가 동일하거나 합의한 나라를 제외하고는 당사국간의 상이한 제도와 운영체제로 인하여 실용화되고 있지 않고 있다. 국내에서는 지난 4년간 "국가를 상대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건설제도 기획단을 운영하여 시장개방에 대처해 왔으나 국제적인 건축 설계 관련 단체인 UIA와는 의견 교환이 없었다. 특히 상호인증에 따른 기본 요건으로 대두되고 있는 건축교육, 실습 및 훈련, 건축사 자격 등에 대한 우리의 입장을 정리하여 국제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건축설계 관련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관심사의 하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국제건축가연맹(UIA)에서는 용역실무협의회를 설치하여 이미 2년여에 걸쳐 인정방법에 대한 세부사항을 검토하고 있으며, 올해(6월) 북경 총회에서 상호인정 표준안을 공포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건축3단체(대한건축사협회, 대한건축학회, 한국건축가협회)주관으로 건축사자격 상호인정에 대한 공동 대응책을 논의하고자 건축계와 정부가 함께 참석하여 토론회를 개최한 바 있으며, 또한 본협회 국제위원회에서 한국측을 대표하여 지난 98년 12월에 열린 UIA 용역실무위원회(PPC)에 참석하여 상호인정에 대한 우리측 입장을 개진한 바 있다. 이에 본지에서는 문호 개방에 따른 한국건축의 현안에 대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문제점이 검토되고 아울러 우리 건축계의 입장 정리와 실질적인 의견을 수렴하고자 UIA 국제 표준안 전문에 이어 부록을 정리하여 게재한다.

  • PDF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Seismic Source and Response Spectrum of Ground Motions from Recent Earthquake near the Backryoung Island (최근 백령도해역 발생지진의 지진원 및 응답스펙트럼 특성 분석)

  • Kim, Jun-Kyoung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14 no.4
    • /
    • pp.274-281
    • /
    • 2011
  • We analysed ground motions form Mw 4.3 earthquake around Backryoung Island for the seismic source focal mechanism and horizontal response spectrum. Focal mechanism of the Backryoung Islands area was compared to existing principal stress orient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horizontal response spectrum was also compared to those of the US NRC Regulatory Guide (1.60) and the Korean National Building Code. The ground motions of 3 stations, including vertical, radial, and tangential components for each station, were used for grid search method of moment tensor seismic source. The principal stress orientation from this study, ENE-WSW, is consistent fairly well with tha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horizontal response spectrum using 30 observed ground motions analysed and then were compared to both the seismic design response spectra (Reg Guide 1.60), applied to the domestic nuclear power plants, and the Korean Standard Design Response Spectrum for general structures and buildings (1997). Response spectrum of 30 horizontal ground motions were used for normalization with respect to the peak acceleration value of each ground mo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orizontal response spectrum revealed higher values for frequency bands above 3 Hz than Reg. Guide (1.60). The results were also compared to the Korean Standard Response Spectrum for the 3 different soil types and showed that the vertical response spectra revealed higher values for the frequency bands below 0.8 second than the Korean Standard Response Spectrum (SD soil condition). However, through the qualitative improvements and quantitative enhancement of the observed ground motions, the conservation of horizontal seismic design response spectrum should be considered more significantly for the higher frequency bands.

Literature Review of Construction Guide and Design Standard for Root Barrier Design of Green Roof System (인공지반녹화용 방근 설계 및 품질 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 및 기준 고찰)

  • Suh, Jung-Il;Kim, Young-Sam;Shin, Hong-ch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9.11a
    • /
    • pp.239-240
    • /
    • 2019
  • The existing evaluation of root barrier resistance takes at least two years as an evaluation based on plant growth, and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early performance in the process of quality control in the field. In this study, thus, the direction of the root barrier resistance evaluation system was presented by considering the construction specifications and design standards for root barrier design. As a result,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a test method for reproducing simple and consistent test results for evaluating the durability of root barrier materials.

  • PDF

The Development of Select System for Energy Saving Construction Materials (에너지 저감형 건축자재 선정시스템 개발)

  • Yang, Dong-Suk;Chon, Myung-Hoon;Lee, Do-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113-1114
    • /
    • 2015
  • 국내의 에너지 저감형 건축자재 기술은 정부의 에너지 절감정책 및 사회적 인식에 따라서 비약적으로 성장하고 있고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다양한 첨단 재료들이 생산됨에 따라 새로운 설계기준 및 방법, 시공방법, 표준규격에 대한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구축하여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에너지 저감형 건축자재의 실용화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공동주택 에너지 저감형 건축자재 선정시스템을 구축하여 단열성능(열전도율) 계산을 통한 최적의 단열재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하여 설계자가 쉽고, 정확하고 신속하게 자재를 선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