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축파사드조명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미디어 파사드 건축물의 야간조명 특성분석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Facade Buildings)

  • 정주희;김정태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45-55
    • /
    • 2010
  • 최근 서울시에는 도시의 야간경관을 풍성하게 하고 랜드마크성을 부여하는 미디어 파사드 건축물의 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무분별한 미디어 파사드의 적용은 오히려 도시이미지를 저해하는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미디어 파사드는 기존 건물외관의 장식이나 경관조명에 비하여 조명면적이 크기 때문에 심미적 고려와 도시환경의 건강성을 위해서 지나친 밝기의 규제가 필요하다. 따라서 미디어 파사드 건축물의 야간조명 특성을 분석하여 지역 기준에 맞게 적절히 설계되어 있는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 파사드 건축물의 표면휘도와 색온도 등의 조명물리량을 측정하여 옥외 야간조명환경을 분석하는 것이다. 현재 서울에 위치한 대표성을 가진 5개 미디어 파사드 건축물을 선정하여 해당건물이 위치한 반대편도로의 측정점에서 CS-100 기기와 ProMetric-1400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미디어 파사드 조명부분의 표면휘도를 분석한 결과, 5개 건물 중 3개 건물의 휘도차는 크지 않아 디자인이 잘 된 것으로 났으나 5개 건물 중 4개 건물에서 서울시 기준인 $25[cd/m^2]$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색온도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5,500[K]이상의 한색이 측정되어 서울시 도로조명 색온도 기준인 4,000~5,000[K]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LED미디어파사드의 유형별 디자인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design Based on the Case of Media Facade)

  • 이민진;한정완
    • 감성과학
    • /
    • 제14권2호
    • /
    • pp.301-310
    • /
    • 2011
  • 오늘날 도시의 야경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면서, 건물경관조명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경관조명과 미디어 요소가 결협된 미디어파사드가 국내에서도 확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스크린의 구현을 위해 건물의 외관에 LED를 설치하거나 프로젝터를 통해 영상을 투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미디어파사드에 현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인터랙티브와 작품의 예술성 항목을 결합하여 형태, 예술, 색채, 패턴, 인터랙션 5가지로 주요 항목을 도출하였고, 이 항목에 따라 83가지의 국내 외 미디어파사드 샘플을 분류하였다. 분류된 5가지 유형별로 조명기법, 조명방식, 표현방식, 변화방식을 기준으로 도시 공간속의 건축구조물과 조명이 어우러진 디자인 요소, 상호 소통을 위한 유희적 공간 등 관점으로 현재 미디어파사드의 조명디자인에 적용된 기법과 방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아직까지 컬러와 현란한 변화방식 등 한정적인 디자인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현재 트랜에 따라 변화된 기술적 가치와 예술적 가치가 적용된 미디어파사드의 조명디자인 요소를 파악하여 적용해야 하며, 미디어파사드와 IT기술의 결합으로 단순히 프로그래밍된 연출을 넘어 쌍방향으로 다양하게 소통할 수 있는 디자인을 지향해야 한다.

  • PDF

디지털영상으로써 미디어파사드의 매체적 의미성 연구 (Study for the meaning of facade as media)

  • 이종한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1호
    • /
    • pp.209-226
    • /
    • 2013
  • 멀티미디어 환경의 급격하고 다양한 예술적 변화와 함께 사회 인프라의 디지털 첨단화로 문화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도시환경 건설이 활성화되고 있다. 최근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미디어 파사드(Media Facade)라 표현되는 도시 건축물 전면의 대형 영상이미지들은 이제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다. 또한 도시 공간속에 녹아든 IT 기술은 이제 건축과의 만남을 통하여 새로운 미디어로서의 가능성을 시험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인프라적 확산과는 다르게, 미디어 파사드에 대한 정의가 불분명하여 야간의 경관조명이나 옥외 영상광고 정도의 수준에서 제도가 구축되었다. 이러한 가이드라인은 미디어 표현의 다양한 시각적 예술성 표현의 가능성 보다는 부정적 측면에서의 규제를 목적으로 하고 있어 미디어 파사드의 본질적 개념을 살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미디어 파사드의 뉴미디어적 측면에서의 의미를 찾아 도시 캔버스화라는 매체적 차원에서 의미를 분석한다. 이에 따라 미디어와 파사드의 각각의 사전적 정의를 조사하여 미디어파사드의 본질적 정의는 무엇인지 문헌을 통해 새롭게 정의되도록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 과정에 미디어파사드 라는 용어는 한.중.일 3개국에서만 통용되고 서구권 나라들에서는 미디어아트의 한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결국 미디어파사드는 경관조명 차원에서 기술적으로 분류되기 위한 목적이 강하며, 학술적으로 명확히 규명되지 않는 용어이다. 예술분야에서 바라보는 미디어 파사드는 신 매체적 차원에서 미디어아트의 한 분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도시 미디어파사드 정책에 대한 올바른 가이드라인이 구축되어야 할 것으로 보며, 이 가이드라인을 통해 무분별한 조명연출이 아닌 도시의 캔버스화라는 개념에서 예술적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건축파사드 LED칼라의 감성평가모형 연구 (A Study on the Emotional Evaluation Model of LED Colors in Architectural Pacade)

  • 유용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01-11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emotional evaluation model related to LED lighting colors and suggest basic informations that enable planned directions of architectural pacade lighting to simulate beforehand in a laboratory. As experimental methods, extracted PAD emotional evaluation model and then directed a experimental model of 10 LED lighting colors, studied and analyzed survey ques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P(Pleasure-Unpleasure), Red, Yellow, Green, Cyan, Magenta, White and Combination of $G{\leftrightarrow}B$ Colors are satisfying, vibrant and positive distribution chart has shown. Second, in the case of A(Arousal-Unarousal), Red, Yellow, Green, Cyan, Blue, White and Combinations of $R{\leftrightarrow}G$, $G{\leftrightarrow}B$, $R{\leftrightarrow}B$ Colors, it makes a little difference, they have shown useful distribution chart to induce sight in a aroused state. Third, in the case of D(Dominance-Submissiveness), Red, Cyan, Green and Combinations of $G{\leftrightarrow}B$ Colors are free, controlling and extent of effect was excellent.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Yellow and Magenta and Combinations of $R{\leftrightarrow}B$, they are gentle and arouse the protective instinct or feminine distribution chart has shown. Fourth, it showed difference of preference that difference of select ratios of both men and women in Orange, Blue, Greenish-Yellow (preference of man) and Magenta, Combinations of $R{\leftrightarrow}B$ Colors(preference of woman).

  • PDF

미디어파사드를 적용한 건축외관조명의 평가구조 추출 및 이미지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Construct Model Extraction of Building Exterior Lighting applying Media Facade and Image Evaluation)

  • 김성희;박지영;이진숙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9권5호
    • /
    • pp.1-12
    • /
    • 2015
  • In this study, we derive an evaluation structure and 18 Valuation vocabulary for the media facade lighting conditions. In addition, this study deduced the applicable elements that could be applied in time of building nightscape lighting design using media facade by conducting affective evalua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image axis of "Dynamic, Colorful" showed the lighting change speed was fast with diverse application of lighting color, and its evaluation object applied by general emphasis, vertical emphasis, partial emphasis lighting method was highly assess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Luxurious, Unusual" axis showed lighting change speed was slow with the application of lighting color in warm hue series, and its evaluation object applied by line lighting, dot lighting, general emphasis lighting methods was highly assessed. Lastly, it was found that "Soft, Secure" image axis showed the lighting change speed was slow with the application of pastel tone lighting color, and the evaluation object applied by general emphasis lighting method was highly ass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