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축물 실내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23초

퍼스날 컴퓨터를 이용한 실내음향 해석 소프트웨어의 개발 (Development of Room Acoustic Simulation Software Using Personal Computer)

  • 이희원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3년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제12권 1호
    • /
    • pp.3-5
    • /
    • 1993
  • 실내 음향특성의 컴퓨터 씨뮬레이션 기법은 모형실험 기법과 더불어 건축물의 음향설계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의 음향특성을 설계단계에 예측하기 위해 영상법에 기초한 실내음향 해석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소프트웨어는 건축물의 3차원 형상모델, 벽면등 반사체의 흡음특성, 음원과 수음점의 위치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면, 음선의 전파경로, 수음위치에서의 반사음 패턴, 실내 음향 특성의 평가척 (음의 명료도, 잔향시간 등)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기존의 씨뮬레이션 기법이 소요 장비나 비용, 시간적 제약으로 널리 실용화되기 어려웠던 점을 고려하여 PC급에서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고 음선 전차경로의 그래픽 표현, 반사음 패턴의 분석등, 건축물의 음향 설계를 위한 기능을 부여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 PDF

법령과 고시-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개정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3호통권188호
    • /
    • pp.34-35
    • /
    • 2006
  • 건축법 중 건축물의 설비기준등에 관한 규칙의 일부가 지난 2월 13일 개정, 공포되었다. 이번에 개정된 주요 내용은 그동안 공동주택 및 다중이용시설의 환기설비기준이 없어 적정수준의 실내의 공기 질을 확보하지 못하여 국민건강을 해치는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공동주택의 필요환기 횟수를 시간당 시간당 0.7회 이상이 되도록 하고 다중이용시설 중 지하 역사의 경우 필요 환기량을 1인 기준으로 시간당 25㎡ 이상이 되도록 하는 등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 환기설비기준을 정함으로써 공동주택 및 다중이용시설의 실내의 공기 질 개선을 통해 국민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피뢰설비의 설치기준을 강화하여 건축물의 높이가 60m 이상인 고층 건축물은 측면에 낙뢰방지시설을 설치하도록 개정함으로써 고층 건축물의 벼락 피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지는 건축물의 설비기준등에 관한 규칙 중 신∙구조문 대비표를 게재하오니 회원사 여러분의 많은 참고를 바란다.

  • PDF

플로팅 건축물 창호의 개방감 평가를 위한 사례 연구

  • 김익현;도근영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83-284
    • /
    • 2013
  • 플로팅 건축물은 일반 건축물과 달리 광활한 수상에 위치하며 따라서 개구부를 통해 보이는 조망에 의해 재실자의 거주 만족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바다라는 특수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육상에 비해 외부 기후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특히 창호 등의 외장재는 비교적 높은 열관류율과 낮은 강도로 인해 무분별한 확장을 실행할 경우 실내 냉 난방에너지 소비가 증대와 태풍 및 월파 등으로 인한 인명 재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플로팅 건축물에서 대부분의 재실자가 충분한 만족을 느낄 수 있는 창호 크기의 범위를 알아내기 위해서 일반 건축물의 조망 및 실내 개방감 평가에 관련된 국내외 연구의 사례를 조사하고 플로팅 건축물에서의 적용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인체의 시야각을 이용해 내부 공간에서의 개방감을 측정하는 방법과 실물 축소모형을 이용해 개방감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영상 음원법을 이용한 실내 음향 특성의 예측 (Prediction of Room Acoustics Using Image Method)

  • 이희원;이병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29-37
    • /
    • 1990
  • 건축물이 갖게 될 음향학적 특성을 미리 예측함으로써 그 건축물의 음향학적 특성을 미리 예측 함으로써 그 건축물의 음향학적 요구에 맞는 설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computer simulation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simulation 방법은 영상음원법을 기초로 하였으며, simulation 에 의한 임펄스 응답이 유한한 시간 내로 제한되어 발생되어 오차를 줄이기 위한 방법이 제시되었다. 개발된 simulatio 방법으로 실내에서의 임펄스 응답, 잔향 곡선, early/rate energy ratio 등을 예측하고 실험 결과와 비교 하였으며, 실용적인 응용 가능성도 검토하였다.

  • PDF

도미니크 페로의 프로젝트에 나타난 공간적 투명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Transparency: Focusing on Dominique Perrault's Projects)

  • 김자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1-18
    • /
    • 2009
  • 현대 건축은 시공 기술과 재료생산 및 개발의 발전을 바탕으로 점차적으로 투명성을 띄게 되었다. 이러한 건축적 투명성은 재료나 기술적인 발전도 많은 영향이 있었으나 그 보다 사용자들의 공간적 인지와 요구에 맞춰 생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도미니크 페로의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건축 공간적 투명성의 근본적 요소들을 분석하여 프로젝트에 나타난 공간적 구획과 인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도미니크 페로는 투명성을 건축적 구축방법 및 표현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건축물이 하나의 고립된 물체로 보기 보다는 대지와 건축물의 구분이 불분명하여 공간적인 경험이 건축물과 대지의 경험을 넘나들게 만들어 진 것을 볼 수 있다. 실내공간의 투명성은 공간 구획에서 표현이 되었는데, 도미니크 페로의 대부분의 프로젝트에는 매우 간단하고 개방된 구획을 추구한 것을 미뤄 볼 때 실내 공간구획과 외부와의 밀접한 관계를 동시에 설계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공간적으로나 표피적인 투명도가 높은 공간의 사용하는 사용자의 생활패턴이나 공간적 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개방된 공간이나 공간적 노출에 의식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적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현대건축 공간에 나타나는 투명성은 물리적인 영향보다는 사용자의 공간인식과 시각적 인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실태조사 연구

  • 이윤규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3권6호
    • /
    • pp.24-31
    • /
    • 2004
  • 국내의 경우, 2004년 5월부터 시행예정인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에 따라서, 학교 등의 일부 건축물을 제외하고 신축공동주택 및 대부분의 거주용 공간에 대한 실내공기질관리법이 제정되었다. 이러한, 건축물 내에는 다양한 오염원(sources)과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포름알데히드(HCHO), 라돈(Radon), 석면(Asbestos),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_2$), 이산화질소(NO$_2$), 오존(O$_3$), 미세 먼지(PM10), 부유세균 등 유해오염물질(contaminants)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실내공기오염은 각 오염원에서의 유해오염물질 방산정도(emission rate)가 실내외 환경조건, 적용 건축자재의 종류 및 공법 , 환기설비의 특성 및 유형 등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정확한 측정방법의 정립과 그에 따른 적절한 실태조사의 실시가 필요하다. (중략)

  • PDF

건축물 음환경 평가 프로그램

  • 오양기;정대업;이희원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1권4호
    • /
    • pp.22-28
    • /
    • 2002
  • 건축물의 실내 음향계획 및 평가를 위해 활용되고 있는 건축음향 프로그램에 대해서 소개를 하고자 한다.

  • PDF

솔잎추출물을 혼입한 시멘트 경화체의 항균류 저항 특성 (Antimicrobial Properties of Cement Matrix using Pine Needle Extract)

  • 김호진;정현의;임동현;한송이;박선규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17-123
    • /
    • 2022
  • 현대인은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에서 보내고 있기 때문에 실내 공기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실내 공기의 주요 오염원으로는 인간의 활동, 건축자재, 생활용품, 외부로부터 오염된 대기의 유입 등을 들 수 있다. 실내 공기질 관리법에서는 실내공기 오염물질로 미세먼지, 총 부유세균, 곰팡이, 이산화탄소 등 17종을 규정하고 있다. 현대인의 실내 환경은 세균과 곰팡이균의 생육환경이 흡사하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세균과 곰팡이에 항상 노출된다. 특히 많은 사람이 모이는 다중이용시설의 경우에는 세균감염의 위험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솔잎은 예전부터 항균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약재, 식용 등 쓰임새가 다양하다. 그 외에 의약, 식품 및 염색제 관련 산업에서는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건축자재로 이용하기 위한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솔잎의 항균효과에 관한 연구는 상당히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항균 성분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솔잎 추출물의 항세균, 항곰팡이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솔잎 추출물을 혼입한 시멘트 경화체를 제작해 솔잎 추출물의 혼입 비율별 세균과 곰팡이에 대한 항균 활성 효과를 연구하였다. 솔잎 추출물은 황색포도상구균과 대장균에 대해 항세균 효과를 나타났으며, 검정 곰팡이에 대해 생육환경을 저해하는 것이 나타났다. 솔잎 추출물을 혼입한 시멘트 경화체는 황색포도상구균과 대장균에 대해서 항균 활성 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검정 곰팡이에 대해서 항균 활성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솔잎추출물을 혼입한 시멘트 경화체는 병원균 억제에는 효과적이지만 곰팡이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며, 솔잎추출물을 항균재료 사용하기 위해서는 곰팡이의 생육을 저해하는 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내공기질의 중요성과 최근 관심 이슈

  • 손종렬
    • 환경정보
    • /
    • 통권408호
    • /
    • pp.17-21
    • /
    • 2013
  • 최근 실내공기질의 관심은 사무실 등의 건축물에서 신축공동주택, 학교, 교통수단 등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건강한 삶을 추구하며 쾌적한 실내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환경성 질환과 연계하여 민감계층군(어린이의 어린이집 등)과 사회취약계층(노인, 장애인들의 노인 및 장애복지시설)등 사회복지시설에 관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