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4초

농촌 마을회관 제로에너지 건축물 구축을 위한 에너지 성능 분석 연구 - 충남 태안군 정죽4리 마을회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of energy performance for zero-energy building of rural village hall - Focused on the Jung Juk 4-le village hall -)

  • 박미란;최정만;이정훈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1-8
    • /
    • 2018
  • In this study, we survey the 2 buildings at the Central 1 and 8 buildings at the Central 2, which are divided by each climate region in the rural regions. Major heat loss factors are 47% loss of the outer shell including outer wall, roof, and bottom, 30% loss through window, and 23% loss through crevice wind. We analyze the energy simulation of ECO2 program to construct a zero energy building regarding village hall located in Jung Juk 4-le at Centeral 2. We simulate the primary energy requirement regarding village hall and the simulated results show the $265.3kWh/m^2{\cdot}a$ and it may estimate '2' energy efficiency grade. The energy requirement regarding village hall is the $183.2kWh/m^2{\cdot}a$ when the passive technology are applied in village hall. We research total amount of energy requirement in village hall when the passive and active technologies such as solar cell with 3kW and solar thermal with $20m^2$, geothermal power with 17.5kW. The simulated results show the improved energy efficiency certification grade with $1^{{+}{+}{+}}$ due to the reduced primary energy requirement with 73% when passive technology including 3kW of solar panel is applied and the energy independence rate is 54%, which is estimated to be 4th grade of zero energy buildings. The order of energy consumption are solar panel, solar thermal, and geothermal power under applied passive technology in the building. In order to expand the zero energy building,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zero energy evaluation system in the rural region.

ZEB 활성화를 위한 부하기준 산정 방법 연구 (A Study on the Calculation Method of Load standard for ZEB activation)

  • 이항주;김인수
    • 에너지공학
    • /
    • 제26권4호
    • /
    • pp.92-99
    • /
    • 2017
  • 국내에서는 국토부 7대 신산업, 산업부 8대 신산업으로 제로에너지빌딩이 지정되었으며, 건물외피의 단열성능 극대화와 건물 기기 효율향상 및 신재생 보급 확대를 위해 부처간 융합을 통해 제로에너지빌딩 보급 활성화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내에서 시행 중인 제로에너지빌딩 인증제에 해당되는 건물에너지효율등급 1++이상이 되는 건축물들의 부하(냉방, 난방, 급탕, 조명, 환기)들의 에너지소요량을 분석하여 대략적인 부하들의 수준을 파악하고 제로에너지빌딩 인증제 고도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제로에너지빌딩 인증에 해당되는 건축물은 2017년 기준 61개 가량 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패시브 측면과 액티브 측면을 고려하여 5대 부하별 대략적인 기준 값과 1차 에너지소요량을 산정하였다. 부하기준 산정을 위한 데이터의 표본이 적어 명확한 기준이 된다고 보기는 어려우나 앞으로 제로에너지빌딩 인증 기준을 고도화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을 적용하여 해석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인터뷰 - "세대 간 연결, 이슈가 사라진 시대… 다름과 작은 소리를 축적하며 변화하는 사회를 바라보아야" (Interview - "Intergenerational connection, the era of disappeared issues - It is time to look at the changing society while putting together differences and small voices")

  • 장영호
    • 건축사
    • /
    • 통권600호
    • /
    • pp.34-41
    • /
    • 2019
  • 대통령 소속 국가건축정책위원회, 건축정책기본계획,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공공건축가. 지금 우리 건축계를 정의하는 중요한 개념들이다. 이 모두 2007년 제정된 건축기본법에 근거한 내용으로서 당시 건설기술 건축문화선진화위원회, 건설교통부, 문화관광부의 '건축문화 선진화전략' 핵심과제였다. 그러나 '건축기본법'이 있어야 한다고 처음 주장한 사람은 김광현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명예교수였다. 그가 연구책임자로서 건축기본법의 바탕을 만들었으며, 오늘의 건축계를 정의하는 건축기본법의 틀과 개념 그리고 용어의 설정도 거의 그의 구상에서 나왔다. 대한건축사협회(한명수 명예회장)와 건설기술 건축문화선진화위원회(김진애 위원장)가 이 법 제정을 위해 큰 힘을 기울였다면, 그는 이론적 기틀을 확립한 인물이다. 그는 학계에 있었지만 설계대가 제값 받기에 유독 관심이 많았다. 이유는 학생들이 사회에 나가 전문가로서 좋은 일을 할 수 있는 최대의 근거는 제대로 된 설계대가에 있다는 그의 지론 때문이었다. "학생들을 가르치는 최고의 목표는 그들이 사회에 나가 좋은 대접을 받게 하는 겁니다. 건축계에서 해야 할 가장 중요한 게 뭐냐고 지금 또 묻는다면 단언컨대 나는 제대로 된 '설계대가'라고 말할 겁니다." 김광현 명예교수는 과거 '공공발주사업에 대한 건축사의 업무범위와 대가기준'에서 '친환경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등 추가업무에 대한 대가를 제대로 받을 수 있게 하자고 주장하고 이를 연구한 책임자이기도 했다. 그는 지금 젊은 건축사 건축교육 저변확대를 위한 '공동건축학교'를 설립해 활발히 운영 중이다. 월간 "건축사"가 국내 건축계 발전을 위해 힘써오다가 작년 2월 정년퇴임한 김광현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명예교수를 3월 18일 그의 대학로 연구실에서 만났다. 그는 지난날을 회고하며 건축에 얽힌 이야기와 현재 하고 있는 일, 그리고 구상 중인 향후계획까지 다양한 이야기를 전했다.

  • PDF

건축물의 에너지효율등급 평가에 관한 연구 (Study on Evaluation of Energy Efficiency Rating of the Buildings)

  • 손원득;최영식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65-69
    • /
    • 2012
  • Since 2010, enhancement of the building energy efficiency and certification system and public office building should have been acquiring the first grade of Building Energy Efficiency. The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evaluation tool and Dynamic Analysis Energy simulation program for Building Energy Efficiency are widely used. The suitability to those programs have been discussed as a variety of programs have been used accordingly. In this study, evaluated the characteristic of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tool(ECO2) of the business building. At a result, the variables on the Weather Data, building Profile and building Load property in hourly between those Building Energy Efficiency evaluation tools have different.

공동주택 단지 내 동별 난방에너지소요량 비교 분석 - 대전지역 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 - (Comparison Analysis of Building's Heating Energy Consumption in the Apartment Complex - Focused on Apartment in Daejeon -)

  • 장영혜;김정국;김종훈;정학근;홍원화;장철용
    • KIEAE Journal
    • /
    • 제15권3호
    • /
    • pp.37-42
    • /
    • 2015
  • Purpose: Apartment is a typical residential type in Korea. In the past, apartment types were very monotonous. But today, the types of complex are changed because personal needs have been diversified and personalized. In order to meet those needs, construction companies are constructing various types of apartments. The more apartment types are diverse, the more the energy problems are taken place.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olve the problem of energy gap in the same complex through improving the thermal transmittance of wall. Method: Heating energy consumption of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System and heating energy usage of apartment show a similar trend on the graph. In order to identify the best position of heating energy consumption difference reduction, we change the building's U-value of front, back, side walls. Result: In the A complex, maximum and minimum heating energy consumption building's shapes are flat. the best efficiency is side U-value change and the worst is front change. In the E complex, maximum heating energy consumption building's shape is tower and minimum building shape is flat. Consequently, the front and back wall performance change was little effect to reduce energy gap, while the change of side wall's U-value show the great reduction between building's energy consump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