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중량 구성비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Cockle shell and walnut shell in a bioretention facility (Bioretention 내 꼬막 및 호두껍질의 적용성 평가)

  • Jeon, Minsu;Geronimo, F.K.F.;Choi, Hyeseon;Kim, Lee-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03-203
    • /
    • 2019
  •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의 증가는 물순환 왜곡, 비점오염원 발생 및 수생태계 건상성 훼손 등을 야기시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LID 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LID 내 적용 되는 여재들은 무기성여재로 중량이 크고 미세공극의 부재로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저감기능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량성이 낮은 생물폐자원을 선정하여 LID 시설 적용성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생물폐자원은 발생량, 경량성 및 용이성을 고려하여 꼬막껍질(CS)과 호두껍질(WS)을 선정하였다. 생물폐자원의 산화부식을 고려하여 무기성 여재인 화산석과 혼합하여 Bioretention 시설에 적용하였으며, 여재 혼합비율에 따라 총 3가지의 Case 로 구성하였다. 식생은 구절초와 꽃댕강나무를 식재하였으며, 여재의 물리적 특성 분석을 위하여 적용 전과 후의 SEM(Scanning Electronic Microscope)을 수행하였다. 모니터링은 도로퇴적물 100g과 물 110L를 제조하여 인공강우유출수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0.0003{\sim}0.007m^3/sec$의 유속으로 주입하였다. 시설의 유입 및 유출부에서 유량 측정 및 수질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채취된 시료는 수질오염공정 시험법에 준하여 입자상 물질, 유기물, 영양물질 및 중금속 등을 분석하였다. Bioretention 시설의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물수지 및 TSS 저감 효율을 산정하였으며. 물수지 분석결과 시설의 저류율은 Case 1(soil) > Case 3(WS+RV) > Case 2(CS+RV) 순으로 나타났다. 시설 내 공극률이 가장 낮았던 Case 1에서 저류율이 약 55%로 가장 높게 것으로 분석되었다. Case 3(WS+RV)은 Case 2(WS+RV)와 시설 내 공극률이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저류율이 약 10%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오염물질 저감효율 분석 결과, TSS와 TP의 제거효율은 모든 Case에서 약 75%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COD의 경우 모래를 적용한 Case 1에 비해 생물폐자원인 꼬막껍질과 호두껍질을 적용한 Case에서 약 1.3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호두껍질과 꼬막껍질의 SEM 분석 결과 표면에 다공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여과 및 저류기작으로 인한 물순환 효과증대와 다공성과 돌기사이로 인한 입자상의 물질 여과 및 흡착으로 인하여 오염물질의 제거효율이 증대 된 것으로 평가된다. LID시설 내 생물폐자원과 무기성여재를 적절히 배합하여 복합여재로 조성할 경우 침하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저류 및 침투기능 향상과 미생물의 서식환경을 제공하기에 물순환 회복 및 비점오염물질 저감에 기여할 것으로 평가된다.

  • PDF

A Study on the Production Structure and Biomass Productivity of Quercus variabilis Natural Forest (굴참나무천연림(天然林)의 생산구조(生産構造) 및 물질생산력(物質生産力)에 관(關)한 연구(硏究))

  • Kim, Si Kyung;Jeong, Jwa Y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70 no.1
    • /
    • pp.91-102
    • /
    • 1985
  • Growth and biomass production of natural stands of Quercus variabilis in relation to tree density were studied to obtain basic guide lines for future tending operation. Two natural stands of Quercus variabilis located at 900m (A stand: 6,600trees/ha, $15.84m^2/ha$, $\frac{19}{17-20}$) and 800m (B stand: 4,300trees/ha, $16.65m^2/ha$, $\frac{20}{17-21}$) elevation in Sancheong, Kyongnam Province were selected for the comparative study an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a sample plot method. After diameter of individual trees in the sample plots was measured, twelve average trees from each diameter class were cut felled to measure dry weight of $W_S$, $W_B$, $W_L$, $W_{Ba}$, and standing biomass and biomass production rates by a allometrior regressions related to $D^2H$. Vertical distribution of leaves along the stems indicated that photosynthesis was carried out 2.2m above the ground in Stand A and 1.2m in Stand B. Maximum photosynthesis was located 4.2m and 6.2m above the ground in Stand A and B, respectively. Leaf area index was 4.25ha/ha for Stand A, and 3.89ha/ha for Stand B. Above-ground standing biomass was 49.51 ton/ha for Stand A and 59.20 ton/ha and net annual production was 6.75 ton/ha/yr. for Stand A and 8.99 ton/ha/yr. for Stand B. The ratio of net annual production to standing biomass was 17.5% for Stand A and 16.7% for Stand B. Net assimilation rate was 2.75kg/kg/yr. for Stand A and 3.58kg/kg/yr. for Stand B. Stem wood production rate was 1.46kg/kg/yr. for Stand A and 2.09kg/kg/yr. for Stand B. Bark production rate was 0.60 kg/kg/yr. for Stand A and 0.34kg/kg/yr. for Stand B. Above data indicated that Stand B utilized growing spaces and sites more efficiently than Stand A. It is concluded chat productivity of natural stands of Quercus variabilis can be enhanced through optimization of basal areas and number of tree per hectare and that sound management of natural oak stands should be based on systematic sampling of the area for periodic productivity estim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