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조저항일

검색결과 286건 처리시간 0.031초

섬유보강에 의한 콘크리트 포장의 초기수축제어 (Early Shrinkage Control of Concrete Pavement by Fiber Reinforcements)

  • 최성용;박종섭;정우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433-434
    • /
    • 2010
  • 본 연구는 각 섬유 종류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의 수축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각종 길이변화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경우가 Plain에 비해 각종 수축저항성능이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건조수축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고, 국내산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혼입한 경우 건조수축에서 Plain에 비해 약 75% 이상 수축량이 감소하였다.

  • PDF

소입경 골재노출콘크리트포장의 환경하중 저항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istance Against Environmental Loading of the Fine-Size Exposed Aggregate Portland Cement Concrete Pavements)

  • 전범준;이승우;채성욱;배재민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99-109
    • /
    • 2009
  • 소입경 골재노출콘크리트포장은 콘크리트 타설 직후 포장표면에 응결지연제를 살포하여 표면으로부터 깊이 2$\sim$3mm 정도의 모르타르 경화를 늦추게 한 후 표면의 모르타르 제거를 통해 굵은골재를 포장표면에 노출시키는 공법이다. 소입경 골재노출콘크리트포장은 타이어-노면 소음이 일반 콘크리트포장보다 4$\sim$5dB(A)정도 작으면서도 적정한 미끄럼저항을 장기간 유지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소입경 골재노출콘크리트포장이 적정 평균조직깊이, 노출도 및 미끄럼저항을 확보하여 강도, 소음저감효과 및 장기간 적정 미끄럼저항성을 유지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성공적인 소입경 골재노출콘크리트포장의 건설을 위해서는 온도, 습도 등의 요인으로 발생하는 환경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요구된다. 콘크리트포장은 타설 후 경화과정에서 수분손실 및 초기건조로 인하여 필연적으로 체적변화가수반되며 과도한 체적변화는 콘크리트 균열발생에 주요한 원인이 될 수 있다. 동결융해를 받고 있는 지역에서 제설제를 사용할 경우 표면박리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균열 및 스케일링은 포장체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고 미끄럼저항을 감소시켜 장기공용성을 단축시키는 직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입경 골재노출콘크리트포장에 대하여 수분증발로 인한 수축균열 제어 성능 및 제설제를 사용하였을 경우에 반복되는 동결융해작용으로 인한 스켈링에 대해 내구성을 평가하여 환경하중 저항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 PDF

PANI 첨가 MWNT/PU 필름의 발포특성 (Analysis on Foaming Properties of the PANI added MWNT/PU Films)

  • 마혜영;최라희;박미라;김승진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2년도 제46차 학술발표회
    • /
    • pp.63-63
    • /
    • 2012
  • 전자제품 패키지에 요구되는 쿠션성과 정전방전 기능을 갖는 폴리우레탄 발포 필름의 제조기술을 확립하게 되면 IT산업용에 적용 가능한 필름제품이 개발되어 ESD(정전방전, Electrostatic Dissipation) 성능을 발휘하게 됨으로서 정전기 쇼크에 의한 각종 전자제품의 오작동이나 파손 방지가 가능하게 되어 포장재, 자동차 전자제품의 하우징 등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전도성 고분자인 Polyaniline (PANI)은 다른 여러 고분자와 비교하여 볼 때 다른 유형의 전도성 고분자보다 합성하기가 쉽고 높은 전기전도도를 보임은 물론 열적 및 대기 안정성이 우수하며 가격이 저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연구는 CNT 나노기술을 응용한 IT산업용 적층간지용 ESD PU발포필름의 제조 가공기술 및 상품화 개발을 수행하고자 방수, 투습방수성을 가지는 유연재료인 폴리우레탄(PU)의 1액형 PU와 DMF에 PANI의 함량을 5, 10, 15, 20, 25, 30wt%로 변화시켜 제조한 PANI/DMF 분산용액과 IPA/MWNT 3wt% 분산용액의 혼용비에 변화를 주어 $120^{\circ}C$에서 2분 건조시켜 그라운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2액형 PU와 IPA/MWNT 3wt% 분산용액과 발포제를 사용하여 발포온도 $150^{\circ}C$에서 5분간 건조시켜 발포필름을 제조하였으며 이들의 전기적 특성과 역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전기전도성은 전기저항측정기 KEITHLEY 8009를 사용하여 부피저항과, 표면저항을 각각 측정하여 확인하였으며, 필름의 마찰 대전압은 E.S.T-7 마찰 대전압 시험기를 이용하여 표면 마찰 대전압을 측정하여 확인하고, 필름의 물리적 특성은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breaking stress, breaking strain을 측정하였다. 필름단면의 CNT 발포특성은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사용하여 측정하여 발포특성과 물성과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필름의 전기적 특성은 PANI가 30% 함량일 때 전반적으로 낮은 저항값이 측정되었으며, 마찰대전압을 측정한 결과 대부분의 시료가 0에 가까운 낮은 값을 가졌다. 필름의 물리적 인장특성은 PANI가 10wt%의 함량일 때 가장 높은 절단강도를 가졌으며 분산용액의 혼용비에 따른 경향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필름의 단면형상을 확인하여 발포특성을 분석한 결과 PANI의 함량에 따라 발포 cell의 크기는 뚜렷한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30wt%의 PANI/DMF 분산용액 20part(gr)와 3wt% IPA/MWNT 분산용액 40part(gr)로 제조한 시료의 cell이 가장 균일하고 고르게 발포되었으며, 3.90E+06ohm으로 가장 낮은 표면저항 값으로 측정되어 가장 좋은 전기전도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 PDF

열저항 특성을 고려한 지중송전관로 되메움재의 최적화(II) (Optimization of the Backfill Materials for Underground Power Cables considering Thermal Resistivity Characteristics (II))

  • 김유성;조대성;박영준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123-130
    • /
    • 2011
  • 본연구의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강모래를 포함한 각종 되메움재 후보군에 대하여 함수비, 건조단위중량, 입도분포 등의 차이에 따른 열저항 특성을 조사,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지중송전관로의 송전용량의 증대 및 열폭주(thermal runaway)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되메움재의 개발에 주안점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 강모래, 재생모래, 쇄석, 석분과 같은 원재료에 플라이 애쉬(fly-ash), 슬래그(slag), 플록(floc)과 같은 입자가 작고 보습효과가 있는 재료를 혼합하여 혼합비와 함수상태에 따룬 열저항률의 변화를 측정,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단일재료만으로는 되메움재로의 사용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나, 쇄석의 입도분포 개선을 위해 평균입경이 작은 재생모래와 석분, 술래그 및 플록을 혼합한 결과, 최적함수비에서 $50^{\circ}C$-cm/Watt이하의 열저항률을 얻을 수 있고, 최적함수비 상태 후의 건조시에도 열저항률의 증가가 일어나지 않고 있어, 어느 정도 되메움재로서의 최적화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다.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내구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urability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 서치호;김병윤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385-392
    • /
    • 2005
  • 본 연구는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하여 재생굵은골재를 대체율에 따라 혼합골재로 하는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동결응해 저항성, 탄산화 저항성 및 건조수축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여 내구특성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내구성 증진방안을 강구함으로써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품질과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생굵은골재를 혼합골재로 하는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은 모든 대체율에서 $90\%$를 상회하는 상대동탄성계수로 나타나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전 사이클에서는 $99.2{\~}91.0\%$의 상대동탄성계수의 범위를 보여 쇄석을 사용한 보통 콘크리트의 상대 동탄성계 수 범위인 $97.5{\~}90.6\%$에 비해 향상된 내동해성으로 나타났다. (2)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촉진탄산화 깊이는 대체율이 증가함에 따라 대체하지 않은 보통 콘크리트와 유사하거나 다소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3) 재생굵은골재를 혼합골재로 하는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의한 길이변화율은 전 배합에서 쇄석을 사용한 보통 콘크리트보다 $18.5{\~}3.9\%$ 작게 나타났다.

모르타르의 전기비저항 특성 (Mortar Characterization using Electrical Resistivity Method)

  • ;박삼규;송영수;김정호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2권2호
    • /
    • pp.215-220
    • /
    • 2009
  • 시멘트 모르타르는 고속도로 건설 및 댐 사이트의 연약지반 보강과 석회암 공동의 지반보강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모르타르의 물리적 성질은 많은 연구 결과로부터 잘 알려져 있지만, 연약지반의 개량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알아야 할 가장 중요한 물성 중의 하나인 전기비저항에 대해서는 극히 일부의 연구만 수행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물과 포틀랜드 시멘트의 배합비(0.35, 0.45, 0.50, 0.65)를 달리하여 원통형의 모르타르 시료를 제작하여, 웨너 배열 방식으로 전기비저항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모르타르 시료의 전기비저항은 경과시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함수비와 물/시멘트의 배합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모르타르의 전기비저항과 압축강도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포스포늄염을 포함하는 가교 고분자의 제조 및 그들의 감습특성 (Preparation and their humidity-sensitive properties of crosslinked polymer containing phosphonium salts)

  • 이칠원;공명선;이승재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45-250
    • /
    • 2000
  • 고습도 또는 결로시 내수성을 지니는 저항형 습도센서를 제조하기 위하여 vinylbenzyl tributyl phosphonium chloride를 포함하는 4원 공중합체를 합성하여 저습도와 고습도 범위에서 측정이 가능한 습도센서용 감습막을 제작하였다. 1,5-dibrompentane과 4차 염화 가교 반응을 통하여 최종 저항형 습도센서를 제작하였다. 감습막은 알루미나 기판에 한 쌍의 금 paste가 인쇄된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감습막은 다양한 비율의 vinylbenzyl tributyl phosphonium chloride, 2-(dimethlamino)ethyl meth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그리고 [2-(methacryloyloxy)ethyl]trimethyl ammonium chloride 등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감습막은 micro-syringe를 이용하여 도포하였으며 건조 oven에서 50℃에서 6시간 동안 가교반응을 진행하였다. 습도센서의 임피던스 특성은 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또는 [2-(methacryloyloxy)ethyl]trimethyl ammonium chloride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vinylbenzyl tributyl phosphonium chloride / 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2-ethylhexyl acrylate / [2-(methacryloyloxy)ethyl]trimethyl ammonium chloride의 조성비가 4/4/1/1인 공중합체의 경우 30-90%RH 범위에서 2.64 ㏁ - 3.11 ㏀의 임피던스 특성을 보였으며 우수한 직선성과 낮은 히스테리시스 나타내었다.

해양레저 대중화를 위한 고속레저보트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High Speed Leisure Boat for Marine Leisure Popularization)

  • 권수연;이희준
    • 선박안전
    • /
    • 통권37호
    • /
    • pp.12-2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증가하는 해양레저 수요 및 관심에 따른 대응을 위하여 고속레저 선박을 개발하고 이에 따른 국내 레저선박 건조기술 축적 및 경쟁력 향상을 목적으로 하였다. 따라서 선형 및 도면 개발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내용들을 수요자들에게 홍보할 수 있는 정보변환알림시스템 및 홍보영상 매뉴얼도 함께 개발하였다. 따라서 연구 결과물을 통해 수요자 의견을 보다 쉽고 정확하게 반영하여 보트의 제품화를 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콘크리트 침투성 표면보호재의 자기세정 및 내구특성 (Self Cleaning and Durability of Silicate Impregnant of Concrete)

  • 송훈;추용식;이종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433-436
    • /
    • 2008
  • Silicate계 표면보호재는 Sodium silicate 혹은 Lithium 및 Potassium silicate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용액이며 탄산화한 부분의 알칼리 부여와 성능저하가 예상되는 부위의 강화 등 콘크리트 성능회복에 주로 이용된다. Silicate계는 콘크리트에의 침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계면활성제나 콘크리트 중의 Calcium hydroxide와의 반응을 개선하기 위한 반응촉진제, 경화제 등이 첨가된다. Sodium silicate계는 습윤 바탕에 적용하며 Lithium silicate계는 건조바탕에 도포하여 양생을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콘크리트 구조물 외관의 손상없이 비교적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미세기공을 완전하게 메우지 않으므로 콘크리트 본래의 호흡성을 손상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침투성 표면보호재로서 가격이나 시공성에서 우수한 Lithium 및 Potassium silicate를 이용하여 부유 오염원 제거를 위한 친수성 표면형성과 상온경화가 가능한 표면보호재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표면보호재의 탄산화 저항성 및 Cl- 침투저항성, 동결융해 저항성 등의 내구성능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 PDF

아그로박테리움을 통한 제초제 저항 꿩의비름(Sedum erythrostichum) 형질전환체 개발 (Genetic transformation of Sedum erythrostichum via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by introducing herbicide-resistant gene)

  • 윤의수;정재훈;최용의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2년도 제9차 국제심포지움 및 추계정기학술발표회
    • /
    • pp.30-30
    • /
    • 2002
  • 꿩의비름 (Sedum erythrostichum)은 매우 우수한 지피식물이며 건조에 강한 대표적 식물로 바위정원 (rock garden)을 가꾸는데 있어서 중요한 수종으로 이용되며, 유럽등지에서는 지붕에 식재하기도 하며 최근에는 빌딩옥상녹화의 대표적 수종으로 식재되고 있다. 또한 한방에서는 경천이라 불리우기도 하는데 피부상처 치유 및 미백효과가 탁월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Agrobacterium을 매개로한 꿩의비름의 형질전환 시스템을 개발하고 아울러 phosphinothricin-N-acetyltransferase (PAT) 유전자를 도입하여 제초제 저항 식물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꿩의비름 잎을 Agrobacterium에 담근후 0.5 mg/l NAA와 2 mg/1 BA가 첨가된 MS 배지에 3일간 공동배앙 하였다. 그 후 300 mg/1 cefotaxime이 첨가된 같은 배지에 옮겨 계대하면서 Agrobacterium을 제거하였다. 약 3주후에 잎 절편으로 부터 직접적으로 부정아가 형성되기 시작 하였는데 이 시기부터 잎 절편을 25 mg/1 kanamycin이 첨가된 선발배지에 옮겨 주었다. 이 결과 배양된 잎 절편 절편 중 3.75%에서 kanamycin에 저항하는 부정아를 얻을 수 있었다. 형질전환체는 X-gluc 반응, PCR, Southern, Nothern analysis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약 94%의 형질전환 식물체는 성공적으로 토양에 옮길 수 있었으며 약 3개월후에 꽃을 피웠다. 형질전환체는 제초제인 Basta ($^{(R)}$ phosphinothricine at 200 mg/1)를 살포하여 주었을 경우 생존함을 확인 하였다.

  • PDF